목차
제1장 국제정치의 기본
제1절 국제정치의 개념 = 2
Ⅰ. 국제정치의 용어 = 3
Ⅱ. 국제정치의 정의 = 5
제2절 국내정치와 국제정치의 비교 = 7
Ⅰ. 국내정치와 국제정치의 이질성 = 8
Ⅱ. 국내정치와 국제정치의 동질성 = 10
Ⅲ. 국내정치와 국제정치의 관계 = 12
제3절 국제정치연구목적과 대상 = 14
Ⅰ. 국제정치연구목적 = 14
Ⅱ. 국제정치연구대상 = 15
1. 국제사회 = 16
2. 국제정치연구대상 = 17
제4절 국제정치연구의 기원 = 20
Ⅰ. 제1차 세계대전과 국제정치학의 의식 = 20
1. 제1차 세계대전 전후 = 20
2. 1920년대 후반에서 양차대전 사이 = 22
Ⅱ. 양차대전의 경험과 국제정치학의 발전 = 25
1. 제2차 세계대전후 1950년대까지 = 25
2. 1960년대 이후 행태주의 연구동향 = 27
3. 후기행태주의와 최근 연구동향 = 29
제2장 국제정치학 분석방법과 인접학문
제1절 국제정치학의 분석방법 = 36
Ⅰ. 체계적 역사분석 = 37
Ⅱ. 행동·속성데이터에 의한 분석 = 40
Ⅲ. 서브 데이터에 의한 분석 = 42
Ⅳ. 내용분석 = 44
Ⅴ. 수학·수리모형 = 46
Ⅵ. 통계적·계량적 분석 = 47
제2절 국제정치학과 인접학문 = 48
Ⅰ. 국제정치학과 국제관계론 = 49
Ⅱ. 국제정치학과 외교정책론 = 50
Ⅲ. 국제정치학과 국제정치사 = 52
Ⅳ. 국제정치학과 국제경영학 = 53
Ⅴ. 국제정치학과 국제법학 = 54
제3장 국제정치학 이론
제1절 전통적 이론 = 56
Ⅰ. 이상주의 = 57
Ⅱ. 현실주의 = 58
Ⅲ. 절충주의 = 62
Ⅳ. 지정학설 = 63
Ⅴ. 마르크수주의 = 69
제2절 행태적 이론 = 71
Ⅰ. 국제체제이론 = 71
1. 체제이론의 의의와 발전 = 71
2. 카플란의 국제체제이론 = 73
3. 국제체제이론에 대한 평가 = 76
Ⅱ. 외교정책결정이론 = 77
1. 스나이더의 정책결정모형 = 78
2. 정책결정관련 제모형 = 80
3. 정책결정의 단계와 유형 = 83
4. 외교정책결정이론의 장·단점 = 87
Ⅲ. 커뮤니케이션이론 = 88
1. 도이치의 커뮤니케이션이론 = 89
2. 커뮤니케이션이론의 유효성 = 91
3. 커뮤니케이션이론의 한계 = 92
Ⅳ. 연계이론 = 93
1. 연계이론의 주요착상 = 94
2. 침투된 체제와 체제간 분석 = 97
3. 연계이론의 공과 = 99
Ⅴ. 게임이론 = 100
1. 게임이론의 성격과 요건 = 101
2. 게임이론의 기본유형 = 103
3. 게임이론의 대한 평가 = 106
Ⅵ. 통합이론 = 107
1. 통합이론의 유형 = 108
2. 도이치의 통합유형 = 111
3. 통합이론에 대한 평가 = 114
Ⅶ. 상호의존이론 = 115
1. 상호의존의 등장과 개념 = 116
2. 상호의존의 발전과 관리 = 120
3. 상호의존이론에 대한 비판 = 124
제3절 전통적 이론과 행태적 이론의 차이 = 128
Ⅰ. 인식론의 차이 = 128
Ⅱ. 논리적 방법의 차이 = 130
Ⅲ. 기술적 방법의 차이 = 131
제4장 국제정치의 행위주체
제1절 다양한 국제행위주체 = 134
제2절 국가 = 137
Ⅰ. 국가의 구성요소 = 137
Ⅱ. 국가이익과 국가정책 = 142
1. 국가이익 = 142
2. 국가목표 = 147
3. 국가정책 = 153
Ⅲ. 국력 = 160
1. 국력의 의미 = 160
2. 국력의 구성요소 = 163
3. 국력의 평가 = 175
제3절 다국적기업 = 181
Ⅰ. 다국적기업의 개념 = 181
1. 다국적기업의 정의 = 181
2. 단일국적기업과 다국적기업의 차이점 = 183
Ⅱ. 다국적기업의 생성요인과 전개 = 185
1. 다국적기업의 생성요인 = 185
2. 다국적기업의 전개 = 187
Ⅲ. 다국적기업의 해외투자동기와 영향 = 190
1. 다국적기업의 해외투자동기 = 190
2. 다국적기업의 영향 = 191
제4절 국제기구 = 197
Ⅰ. 국제기구의 개념 = 199
1. 국제기구의 정의 = 199
2. 국제기구의 법적 성격 = 201
3. 국제기구의 분류 = 202
Ⅱ. 국제기구와 국가의 관계 및 역할 = 203
1. 국제기구와 국가의 관계 = 203
2. 국제기구의 역할과 기능 = 205
Ⅲ. 국제연맹 = 208
1. 국제연맹의 경험 = 208
2. 국제연맹의 붕괴 = 211
Ⅳ. 국제연합(UN) = 213
1. UN의 목적 및 기관 = 213
2. 국제연맹과 UN의 비교 = 219
Ⅴ. 지역적 국제기구 = 222
1. 평화유지(방위) 기구 = 222
2. 정치적(종합적) 기구 = 225
3. 경제적 기구 = 227
4. 자원관계 기구 = 228
제5장 국제정치의 전개
제1절 현상유지 = 233
Ⅰ. 현상유지의 의의 = 233
Ⅱ. 현상유지의 구체적 표현 = 234
1. 유화정책 = 235
2. 국제협조정책 = 237
3. 시위정책 = 239
제2절 제국주의 = 242
Ⅰ. 제국주의의 개념 = 242
1. 제국주의의 연혁 = 242
2. 제국주의의 정의 = 243
Ⅱ. 제국주의에 관한 이론 = 244
1. 고전적 제국주의 = 244
2. 마르크스주의적 제국주의 = 247
3. 구조적 폭력으로서의 제국주의 = 250
Ⅲ. 제국주의의 목적과 수단 = 254
1. 제국주의의 목적 = 254
2. 제국주의의 수단 = 256
Ⅳ. 신제국주의 = 259
제3절 민족주의 = 262
Ⅰ. 민족주의의 본질 = 262
1. 민족의 의미 = 262
2. 민족주의의 개념 = 264
3. 민족주의의 역사적 기원과 전개과정 = 266
4. 민족주의의 특성과 현단계 = 272
Ⅱ. 서구민족주의 = 274
1. 국가주의적 민족주의 = 274
2. 국민주의적 민족주의 = 276
3. 제국주의적 민족주의 = 277
4. 국제협조적 민족주의 = 279
Ⅲ. 비서구민족주의 = 280
1. 아시아민족주의 = 280
2. 아프리카민족주의 = 283
3. 분단국 민족주의 = 285
제6장 국제정치의 체제
제1절 국제정치체제의 본질과 기원 = 290
Ⅰ. 국제정치체제의 본질 = 290
Ⅱ. 국제정치체제의 기원 = 293
제2절 세력균형체제 = 296
Ⅰ. 세력균형의 개념 = 296
Ⅱ. 세력균형의 유형 = 298
1. 모겐소의 분류 = 299
2. 하르트만의 분류 = 303
Ⅲ. 세력균형의 방법 = 307
1. 분할과 지배 = 307
2. 보상 = 308
3. 군비증강과 군축 = 309
4. 간섭과 불간섭 = 310
5. 동맹 = 311
6. 완충국가 = 313
Ⅳ. 세력균형의 기능 = 315
1. 평화유지기능 = 316
2. 독립보장기능 = 317
3. 전쟁방지기능 = 318
Ⅴ. 세력균형의 성패조건 = 318
1. 세력균형의 유지조건 = 318
2. 세력균형의 파괴조건 = 321
Ⅵ. 세력균형체제의 평가 = 323
제3절 양극체제 = 324
Ⅰ. 양극체제의 의의 = 324
Ⅱ. 양극체제의 성립 = 327
Ⅲ. 양극체제의 특징 = 330
Ⅳ. 양극체제와 세력균형체제의 비교 = 333
제4절 다극체제 = 335
Ⅰ. 다극체제의 의미 = 335
Ⅱ. 양극체제의 와해 = 338
1. 탈스탈린화 = 339
2. 중·소분쟁 = 340
3. 서방제국의 성장 = 342
4. 공포의 균형 = 343
Ⅲ. 비동맹국가군의 등장 = 343
1. 비동맹의 의미 = 343
2. 비동맹의 발생과 자격요건 = 344
3. 비동맹의 현실과 장래 = 345
Ⅳ. 다극체제의 특징과 한계 = 347
1. 다극체제의 특징 = 347
2. 다극체제의 한계 = 348
제5절 국제환경변화와 신국제체제 = 349
Ⅰ. 국제체제환경의 변화내용 = 350
1. 독일의 통일 = 350
2. 동구공산권의 붕괴 = 353
3. 걸프전쟁 = 357
4. 소련의 해체·소멸 = 362
Ⅱ. 신국제질서와 체제 = 369
1. 신국제질서의 성격 = 369
2. 미국중심의 팍스 콘소티아체제 = 370
제7장 국제정치의 수단
제1절 외교적 수단 = 379
Ⅰ. 외국의 개념 = 380
1. 외교의 어원 = 380
2. 외교의 정의 = 381
Ⅱ. 외교의 방법 = 382
1. 외교방법의 유형 = 382
2. 외교방법의 제한조건 = 384
3. 외교적 간섭 = 387
Ⅲ. 외교의 기능과 형태 = 388
1. 외교의 기능 = 388
2. 외교의 형태 = 389
Ⅳ. 외교기관과 임무 = 395
1. 외교기관 = 395
2. 외교사절의 임무 = 397
제2절 경제적 수단 = 400
Ⅰ. 경제적 수단의 배경과 전제 = 401
1. 경제적 수단의 배경 = 401
2. 경제적 수단의 전제 = 402
Ⅱ. 재정적 조작과 무역정책활용 = 404
1. 재정적 조작 = 405
2. 경제적 침투 = 406
3. 무역정책활용 = 407
Ⅲ. 해외원조 = 413
1. 해외원조의 종류 = 413
2. 해외원조의 정치적 목적 = 415
제3절 군사적 수단 = 418
1. 군사적 수단의 성격 = 419
1. 군사적 수단의 의미 = 419
2. 군사적 수단의 원칙 = 420
Ⅱ. 군사적 수단의 유형 = 422
1. 비밀정치행위 = 422
2. 무력시위 = 423
3. 전복활동 = 424
4. 비정규(게릴라)전 = 425
5. 군사개입 = 427
제4절 테러적 수단 = 429
Ⅰ. 테러의 정의와 역사 = 429
1. 테러의 정의 = 429
2. 테러의 역사 = 431
Ⅱ. 테러의 유형과 추이 = 433
1. 테러의 유형 = 433
2. 테러리즘의 추이 = 438
Ⅲ. 테러의 형태와 국제적 조직 = 440
1. 테러의 형태 = 440
2. 대표적인 국제테러조직 = 442
제5절 선전적 수단 = 446
Ⅰ. 선전의 본질 = 447
1. 선전의 의미 = 447
2. 선전의 기능 = 448
Ⅱ. 선전대상과 목적 = 450
1. 선전의 대상 = 450
2. 선전의 목적과 원칙 = 452
Ⅲ. 선전의 기술 = 454
제6절 문화적 수단 = 456
Ⅰ. 문화적 수단의 중요성과 목적 = 456
1. 문화적 수단의 중요성 = 456
2. 문화적 수단의 목적 = 458
Ⅱ. 문화적 수단의 효과 = 459
제8장 국제정치와 갈등
제1절 갈등 = 463
Ⅰ. 갈등의 정의 = 463
Ⅱ. 갈등의 유형 = 464
1. 개인적 갈등 = 464
2. 집단과 갈등 = 465
3. 국가와 갈등 = 466
Ⅲ. 갈등의 처리방법 = 468
제2절 분쟁 = 471
Ⅰ. 분쟁의 정의 = 471
Ⅱ. 분쟁의 원인 = 474
Ⅲ. 분쟁의 해결 = 480
1. 분쟁해결의 수단 = 480
2. 분쟁해결의 기록 = 483
3. 세계분쟁현황 = 487
제3절 전쟁 = 489
Ⅰ. 전쟁의 정의 = 489
Ⅱ. 전쟁의 원인 = 491
1. 생물학적 관점 = 492
2. 심리학적 관점 = 492
3. 사회학적 관점 = 493
4. 정치학적 관점 = 494
Ⅲ. 전쟁의 목적과 형태 = 497
1. 전쟁의 목적 = 497
2. 전쟁의 형태 = 501
Ⅳ. 현대전과 핵전략이론 = 512
1. 현대전의 특성 = 513
2. 핵전략이론의 변천 = 520
제9장 국제정치와 군비관리
제1절 무기 = 528
Ⅰ. 무기의 개념 = 528
Ⅱ. 무기의 종류 = 530
1. 통상무기 = 530
2. 핵무기 = 530
3. 생화학무기 = 534
제2절 무기확산과 통제 = 537
Ⅰ. 무기의 확산 = 537
1. 핵무기의 확산 = 538
2. 통상무기의 거래·교역 = 542
Ⅱ. 무기확산의 통제 = 545
1. 핵확산금지조약 = 545
2. 생화학무기 금지협정 = 552
Ⅲ. 무기확산과 국제평화 = 556
제3절 군축과 군축교섭성과 = 558
Ⅰ. 군축의 개념 = 558
1. 군축의 용어 = 558
2. 군축의 의미 = 560
Ⅱ. 군축필요성과 방법 및 절차 = 561
1. 군축의 필요성 = 561
2. 군축의 방법과 제약 = 563
3. 군축의 절차 = 567
Ⅲ. 군축교섭의 성과 = 569
Ⅳ. 군축의 촉진요인과 저해요인 = 581
1. 군축의 촉진요인 = 582
2. 군축의 저해요인 = 584
제10장 국제정치와 질서
제1절 국제도덕 = 591
Ⅰ. 국제도덕의 의미 = 591
Ⅱ. 국제도덕의 실체와 특성 = 593
1. 국제도덕의 실체 = 593
2. 국제도덕의 특성 = 595
Ⅲ. 국제도덕과 국제평화 = 596
제2절 국제법 = 602
Ⅰ. 국제법의 개념 = 602
1. 국제법의 정의 = 602
2. 국제법과 국내법의 관계 = 604
Ⅱ. 국제법의 법원과 종류 = 606
1. 국제법의 법원 = 606
2. 국제법의 종류 = 609
Ⅲ. 국제법의 기능과 준수이유 = 610
1. 국제법의 기능 = 610
2. 국제법의 준수이유 = 612
제3절 집단안전보장 = 614
Ⅰ. 집단안보의 개념 = 615
Ⅱ. 집단안보와 세력균형 = 618
1. 집단안보와 세력균형의 유사점 = 618
2. 집단안보와 세력균형의 차이점 = 619
Ⅲ. 집단안보의 실제 = 620
1. 국제연맹규약과 집단안보 = 620
2. UN헌장과 집단안보 = 621
Ⅳ. 집단안보의 현실 = 624
1. 지역적인 안전조치 = 624
2. 동맹과 반대동맹의 등장 = 624
3. 거부권에 대한 제약 = 625
4. 평화를 위한 단결결의 = 626
5. UN의 평화유지활동 = 627
제4절 국제통합 = 629
Ⅰ. 통합의 개념 = 630
Ⅱ. 통합의 목적과 조건 = 632
1. 통합의 목적 = 632
2. 통합의 전제조건 = 634
Ⅲ. 통합의 실제 = 637
1. 유럽연합 = 637
2. 동남아국가연합 = 640
3. 기타 지역경제통합체 = 647
제11장 국제정치와 남북문제
제1절 남북문제의 대두 = 654
제2절 남북격차의 내용과 원인 = 658
Ⅰ. 남북격차의 내용 = 658
Ⅱ. 남북격차의 원인 = 664
제3절 남북갈등의 요체 = 669
1. 국제무역의 불균형문제 = 669
2. 국제통화의 문제 = 670
3. 다국적기업의 직접투자문제 = 671
제4절 남북문제와 UN개발 = 673
Ⅰ. UN개발 10년 = 674
Ⅱ. 제2차 UN개발 10년 = 676
Ⅲ. 제3차·4차 UN개발 10년 = 678
제5절 남북문제와 UN무역개발회의 = 681
Ⅰ. UNCTAD의 성립과 발전과정 = 681
1. UNCTAD의 성립경위 = 681
2. UNCTAD의 발전과정 = 683
Ⅱ. UNCTAD의 과제와 한계 = 688
1. UNCTAD의 과제 = 688
2. UNCTAD의 한계 = 691
제6절 남북문제에 관한 국제간 논의 = 694
제7절 남북문제의 정치적 고찰 = 702
Ⅰ. 주권과 발전의 문제 = 703
Ⅱ. 이익배분을 둘러싼 문제 = 705
제12장 국제정치경제
제1절 국제정치경제의 개념 = 711
Ⅰ. 국제정치경제의 정의 = 711
Ⅱ. 국제정치경제의 연구영역 = 712
제2절 국제정치경제의 이념 = 714
Ⅰ. 자유주의적 시각 = 714
Ⅱ. 급진주의적 시각 = 716
Ⅲ. 중상주의적 시각 = 717
Ⅳ. 3대시각의 상호비교 = 720
Ⅴ. 절충주의적 시각 = 723
제3절 국제정치경제의 요소 = 726
Ⅰ. 국제무역 = 727
Ⅱ. 국제통화 = 729
Ⅲ. 국제투자 = 731
제4절 국제정치경제질서의 변천 = 735
Ⅰ. 브레튼우드체제의 성립 = 735
Ⅱ. 국제통화질서와 IMF·IBRD = 737
Ⅲ. 국제무역과 GATT = 739
1. GATT의 특징과 기본원칙 = 739
2. GATT의 변화 = 740
3. GATT의 다자간 협상 = 741
Ⅳ. 우루과이라운드 협상 = 744
1. UR협상의 배경 = 744
2. UR협상의 특징 = 746
3. UR협상의 경과 = 746
4. UR협정 주요쟁점과 내용 = 747
5. UR의 파급효과 = 751
Ⅴ. 세계무역기구의 창립 = 751
1. WTO창립의 배경 = 752
2. WTO체제의 특징과 기본원칙 = 753
3. WTO의 조직과 기능 = 755
4. WTO의 관할범위 = 757
5. WTO의 분쟁해결방식 = 758
제13장 국제정치와 인류공동과제
제1절 인구·식량문제 = 762
Ⅰ. 인구문제 = 763
1. 인구의 개념 = 763
2. 세계인구현황 = 765
Ⅱ. 식량문제 = 767
1. 식량의 개념 = 768
2. 식량수급의 낙관론과 비관론 = 769
3. 세계식량수급현황 = 773
Ⅲ. 식량수급의 문제점 = 776
1. 수급불균형과 녹색혁명 = 777
2. 기상재해와 식량감산 = 779
3. 남북격차와 기아인구 = 781
4. 국제협력과 빈곤퇴치 = 784
제2절 자원·에너지문제 = 786
Ⅰ. 자원의 본질 = 787
1. 자원의 개념 = 787
2. 자원의 분류 = 788
3. 자원의 특질 = 789
Ⅱ. 에너지자원문제 = 791
1. 에너지자원의 범위 = 791
2. 에너지자원의 내용과 현황 = 794
Ⅲ. 자원문제의 중심과제와 해결책 = 804
1. 자원문제의 본질과 중심과제 = 804
2. 자원문제의 국제화 = 806
3. 자원위기해결책 = 813
제3절 환경문제 = 816
Ⅰ. 환경문제의 본질 = 817
1. 환경의 개념 = 817
2. 환경문제의 원인 = 819
3. 환경문제의 특성 = 823
Ⅱ. 인간과 환경의 관계 = 825
1. 인간과 자연환경과의 상호작용 = 825
2. 인간과 인공환경과의 상호작용 = 825
3. 인간과 사회환경과의 상호작용 = 826
Ⅲ. 국제환경동향과 국제협약 = 828
1. 국제환경동향 = 828
2. 환경을 이유로 한 무역규제 = 833
3. 환경문제 주요국제협약 = 837
제4절 인권문제 = 846
Ⅰ. 인권의 개념 = 846
1. 기본적 인권과 인권개념 = 846
2. 인권의 국제적 관심과 인권내용 = 848
Ⅱ. 국제적인 인권보장활동 = 852
1. UN헌장과 인권보장 = 852
2. 세계인권선언과 인권보장 = 854
3. 인권보장을 위한 기타 조치 = 855
Ⅲ. 신인권개념과 쟁점 = 858
1. 신인권개념 = 858
2. 인권논의의 쟁점 = 863
제14장 국제정치와 한반도
제1절 해방전 국제상황과 한반도 = 872
Ⅰ. 대전중 열강의 한반도정책 = 872
1. 카이로, 테헤란회담 = 873
2. 얄타회담 = 874
3. 포츠담회담 = 876
Ⅱ. 미·소냉전과 분단고착화 = 880
1. 미·소공동위원회 = 880
2. 냉전체제의 표면화 = 883
제2절 해방후 미·소의 한반도정책 = 885
Ⅰ. 소련의 한반도정책 = 885
1. 소련군 철수와 인민군 전력증강 = 886
2. 중국공산군의 승리와 신세력형성 = 888
Ⅱ. 미국의 대한국 소극정책 = 889
1. 대일정책과 한반도의 위치 = 889
2. 한반도의 전략적 평가와 미군철수 = 890
3. 미국의 태평양방위선 선언과 한국 = 893
제3절 동북아정세와 주변제국의 정책 = 896
Ⅰ. 동북아정세의 특징 = 896
Ⅱ. 주변국의 동북아정책 = 898
1. 미국의 동북아정책 = 898
2. 러시아의 동북아정책 = 901
3. 중국의 동북아정책 = 903
4. 일본의 동북아정책 = 906
Ⅲ. 주변국의 한반도정책 = 909
1. 미국의 한반도정책 = 909
2. 러시아의 한반도정책 = 912
3. 중국의 한반도정책 = 915
4. 일본의 한반도정책 = 918
참고문헌 = 923
인명색인 = 961
사항색인 = 9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