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 5
감사의 글 = 9
추천의 글 = 11
제1부 모델의 기본 구조 = 10
제1장 서론 = 23
1. 우리 모델에서 합리성의 의미 = 24
2. 우리 모델의 구조 = 34
3. 정부에 관한 이 모델과 과거의 경제적 모델의 관계 = 38
4. 요약 = 45
제2장 정당의 동기와 사회에서 정부의 기능 = 47
1. 이 모델에서 민주적 정부의 개념 = 47
2. 이 모델에서 정당의 역할 = 51
3. 윤리학 및 서술적 과학과 이 모델의 관계 = 59
4. 요약 = 64
제3장 투표의 기본 논리 = 65
1. 정부행동에서 얻는 효용수입 = 65
2. 투표행위의 논리구조 = 67
3. 불확실성의 도입에 따른 초기 문제 = 76
4. 다당제에서의 변화 = 78
5. 요약 = 81
제4장 정부 결정작성의 기본 논리 = 83
1. 정부 결정작성의 기본 논리 = 83
2. 다수자 원칙에 대항하는 반대당의 전략 = 87
3. 모델에서 확실성의 역할 = 96
4. '다수 의지'의 우월성 = 98
5. 예산 과정 = 104
6. 정부행동은 유권자의 효용함수와 어떻게 연관되는가 = 108
7. 요약 = 109
제2부 불확실성의 일반적 효과 = 111
제5장 불확실성의 의미 = 113
1. 불확실성의 속성 = 113
2. 이성, 지식 그리고 정보 = 115
3. 우리 모델에서 불확실성의 형태들 = 116
4. 요약 = 118
제6장 불확실성이 정부 결정작성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 = 119
1. 불확실성이 어떻게 설득을 낳는가 = 120
2. 선동가와 다른 유형의 유권자들 = 122
3. 분기점의 역할 = 124
4. 우리 모델에서 정치적 지도력의 속성과 형태 = 125
5. 중개인의 기능 = 128
6. 요약 = 135
제7장 득표수단으로서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발달 = 137
1. 불확실성의 역할 = 139
2. 신뢰성, 성실성, 책임성 = 146
3. 이데올로기적 일관성과 안정성 = 154
4. 이데올로기와 득표 사이의 갈등 = 157
5. 요약 = 158
제8장 정당 이데올로기의 정학과 동학 = 161
1. 공간적 비유와 초기 이론 = 162
2. 다양한 유권자 분포의 효과들 = 165
3. 신생 정당의 기원 = 177
4. 이데올로기적 일관성과 통합성 = 182
5. 국가정치의 기본적 결정요인 = 191
6. 요약 = 193
제9장 연립정부하에서 합리성의 문제 = 195
1. 모델의 수정 = 196
2. 연립하에서 유권자의 합리성 = 200
3. 연립에서 정당의 합리성 = 212
4. 정당 합리성과 개인 합리성의 갈등 = 216
5. 요약 = 219
제10장 정부의 득표극대화와 개인의 한계균형 = 223
1. 자유시장에서의 자원 배분 = 224
2. 정부의 계획과 개인의 한계균형 = 235
3. 개관과 결론 = 266
4. 요약 = 269
제3부 정보비용의 구체적 효과 = 271
제11장 정보화의 과정 = 273
1. 결정작성에서 정보의 역할 = 274
2. 어떻게 선택원칙이 합리적으로 골라지는가 = 280
3. 획득하기에 합리적인 정보의 양 = 282
4. 주의를 집중할 필요성 = 284
5. 합리적인 정보체계의 특성 = 286
6. 요약 = 287
제12장 합리적 시민이 정보이용을 줄이는 방법 = 289
1. 무상 정보의 흐름 = 290
2. 정보제공자들의 관심을 집중시키는 방법 = 295
3. 합리적 시민이 자료비용을 줄이는 방법 = 298
4. 정보의 차별적인 권력 효과 = 306
5. 요약 = 309
제13장 정보로부터의 보상과 그 감소 = 311
1. 투표를 위한 정보 획득 = 313
2. 정부정책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정보 획득 = 322
3. 요약 = 336
제14장 합리적 기권의 원인과 결과 = 339
1. 투표에 비용이 들지 않을 때의 선거 참여 = 340
2. 투표에 비용이 들 때의 선거 참여 = 346
3. 요약 =356
제4부 도출되는 의미와 가설 = 361
제15장 경제학의 정부행위론들에 대한 논평 = 363
1. 전통적인 경제학 이론의 정부에 관한 비일관성 = 364
2. 정부행위에 관한 이론들이 지니고 있는 일반성 = 373
3. 요약 = 381
제16장 이론으로부터 도출되는 검증가능한 명제들 = 383
1. 기본 가설들과 그것들의 상호관계 = 383
2. 검증가능한 구체적 명제들 = 385
3. 요약 = 390
참고문헌 = 391
찾아보기 = 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