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행사
서문
제1편
Ⅰ. 연구의 배경 = 1
1. 행정학의 도입 : 현대적 한국행정학사의 시작 = 1
1) 여명기 = 1
2) 성장기 = 8
3) 반성기 : 한국행정학의 여명기 = 9
2. 연구목적과 방법 = 12
Ⅱ. 행정사학의 학문적 영역과 행정사의 기원 = 15
1. 행정사학의 학문과 영역 = 15
1) 역사(학)의 특성 = 15
2) 행정사학의 학문적 영역 = 16
2. 고전적 한국행정사와 기원 = 18
1) 지배와 피지배관계의 성립 = 18
2) 부족연맹국가의 형성 = 19
제2편 고대국가의 행정제도
Ⅰ. 삼국시대 이전의 행정제도 = 23
1. 서론 = 23
2. 고조선의 행정제도 = 24
3. 위씨조선의 행정제도 = 25
4. 옥저·동예의 행정제도 = 26
5. 부여의 행정제도 = 26
6. 삼한의 행정제도 = 28
Ⅱ. 삼국시대 이후의 행정제도 = 29
1. 서론 = 29
2. 고구려의 관계 = 30
1) 관직의 구조 = 31
2) 관제의 변천 = 38
3. 백제의 관제 = 43
1) 행정관제의 성립 = 43
2) 행정관제의 발달 = 44
3) 조세제도 = 47
4) 백제행정의 특징 = 47
4. 신라의 관제 = 48
1) 신라의 발흥 = 48
2) 중앙행정제도 = 49
3) 지방행정조직 = 52
4) 군사행정조직 = 52
5) 조세제도 = 53
6) 신라골품제의 모순점 = 53
7) 신라행정의 특징 = 53
5. 통일신라의 정치관제 = 54
1) 행정 환경 = 54
2) 중앙행정조직 = 55
3) 지방행정조직 = 56
4) 군사행정조직 = 57
5) 조세제도 = 58
6) 행정의 특징 = 58
제3편 고려시대의 행정제도
Ⅰ. 고려 전기의 관제 - 경인 무신란 이전 = 61
1. 전·후기 시대구분 = 61
2. 중앙관료제도 = 62
1) 국초의 통치제도 = 62
2) 중앙관료제도의 확립 = 63
3) 중앙정치체제의 성격 = 66
3. 지방행정제도 = 67
4. 인사제도 = 69
5. 성종대 정치체제의 성격 = 70
Ⅱ. 고려 후기의 관제 - 무신정권기의 관료제 = 71
1. 무신란 발생의 배경 = 71
2. 무인정치기구 = 72
3. 몽고지배기의 관료제 = 77
제4편 조선시대의 행정제도
Ⅰ. 조선 전기의 관제 = 81
1. 머리말 = 81
2. 조선조의 사회구성 = 82
1) 정치·경제·사회적 특성 = 82
2) 지배계층의 형성과 변천 = 84
3) 관제변천의 시기별 분류 = 88
3. 조선 전기 관제의 형성과 변천 = 92
1) 관제의 특징 = 92
2) 행정제도 = 97
3) 군사제도 = 109
4) 인사제도 = 114
5) 세제와 재정기관 = 122
4. 맺음말 = 129
Ⅱ. 조선 후기의 관제개혁 = 130
1. 머리말 = 130
2. 조선 후기 관제개혁의 배경 = 131
1) 개항 이후 조선사회의 특성 = 131
2) 근대화를 둘러싼 제세력의 갈등 = 140
3. 조선 후기 관제개혁의 방향 = 145
1) 갑오개혁의 의의와 경과 = 145
2) 관제개혁의 방향 = 151
4. 조선 후기의 관제개혁 = 158
1) 행정제도의 개혁 = 158
2) 인사제도의 개혁 = 166
3) 경제제도의 개혁 = 170
5. 맺음말 = 174
제5편 일본식민통치시대의 치안 중심의 행정제도
Ⅰ. 서론 = 177
1. 연구의 목적과 범위 = 177
2. 연구분석을 위한 이론적 전개 = 181
Ⅱ. 식민지통치를 위한 치안제도의 성립과정 = 185
1. 대한제국의 치안제도 = 185
2. 대한제국 치안제도의 붕괴과정 = 187
3. 식민지 치안제도 수립과정상의 특징 = 195
Ⅲ. 무단정책기의 헌병경찰제도 = 199
1. 헌병경찰제도의 수립 = 199
2. 헌병경찰제도의 구조와 성격 = 201
1) 헌병경찰제도의 구성 = 201
2) 헌병경찰의 업무 = 203
3) 성격 = 204
3. 헌병경찰제도의 운영 원칙 = 211
1) 조직 구성상의 원리 = 212
2) 집행 과정상의 원칙 = 213
4. 헌병경찰제도의 실효성과 의의 = 217
Ⅳ. 문화정책기의 치안제도 = 220
1. 시대적 상황과 식민정책의 변화 = 220
1) 시대적 상황 = 220
2) 식민정책의 변화 = 222
2. 보통경찰제도의 구조와 성격 = 226
1) 보통경찰제도의 구조 = 226
2) 보통경찰제도의 성격 = 229
3. 보통경찰제도의 운영원칙 = 231
4. 보통경찰제도의 실효성과 의의 = 234
Ⅴ. 공출기의 치안제도 = 235
1. 시대적 상황과 식민정책의 변화 = 235
2. 치안정책의 변화와 운영원칙 = 238
1) 치안정책의 기조 = 238
2) 치안제도의 운영원칙 = 241
3. 치안제도의 실효성과 의의 = 246
Ⅵ. 결론 : 일제시대 치안제도의 성격과 의의 =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