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행정사연구

한국행정사연구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유완빈
단체저자명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정치경제연구실
서명 / 저자사항
한국행정사연구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정치.경제연구실 편.
발행사항
성남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형태사항
xi, 252 p. ; 23 cm.
총서사항
연구논총 ;97-5
ISBN
8971052619
일반주기
연구자 : 유완빈  
000 00000cam c2200205 k 4500
001 000000570347
005 20221201164459
007 ta
008 971017s1997 ggk 000a kor
020 ▼a 8971052619 ▼g 93340 : ▼c \53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51.53
090 ▼a 351.53 ▼b 1997L
110 ▼a 한국정신문화연구원. ▼b 정치경제연구실 ▼0 AUTH(211009)28259
245 1 0 ▼a 한국행정사연구 / ▼d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정치.경제연구실 편.
260 ▼a 성남 : ▼b 한국정신문화연구원, ▼c 1997.
300 ▼a xi, 252 p. ; ▼c 23 cm.
490 0 0 ▼a 연구논총 ; ▼v 97-5
500 ▼a 연구자 : 유완빈
700 1 ▼a 유완빈
950 0 ▼b \5300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청구기호 351.53 1997L 등록번호 1110956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유완빈(지은이)

<어린이 명심보감>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간행사

서문

제1편

 Ⅰ. 연구의 배경 = 1

  1. 행정학의 도입 : 현대적 한국행정학사의 시작 = 1

   1) 여명기 = 1

   2) 성장기 = 8

   3) 반성기 : 한국행정학의 여명기 = 9

  2. 연구목적과 방법 = 12

 Ⅱ. 행정사학의 학문적 영역과 행정사의 기원 = 15

  1. 행정사학의 학문과 영역 = 15

   1) 역사(학)의 특성 = 15

   2) 행정사학의 학문적 영역 = 16

  2. 고전적 한국행정사와 기원 = 18

   1) 지배와 피지배관계의 성립 = 18

   2) 부족연맹국가의 형성 = 19

제2편 고대국가의 행정제도

 Ⅰ. 삼국시대 이전의 행정제도 = 23

  1. 서론 = 23

  2. 고조선의 행정제도 = 24

  3. 위씨조선의 행정제도 = 25

  4. 옥저·동예의 행정제도 = 26

  5. 부여의 행정제도 = 26

  6. 삼한의 행정제도 = 28

 Ⅱ. 삼국시대 이후의 행정제도 = 29

  1. 서론 = 29

  2. 고구려의 관계 = 30

   1) 관직의 구조 = 31

   2) 관제의 변천 = 38

  3. 백제의 관제 = 43

   1) 행정관제의 성립 = 43

   2) 행정관제의 발달 = 44

   3) 조세제도 = 47

   4) 백제행정의 특징 = 47

  4. 신라의 관제 = 48

   1) 신라의 발흥 = 48

   2) 중앙행정제도 = 49

   3) 지방행정조직 = 52

   4) 군사행정조직 = 52

   5) 조세제도 = 53

   6) 신라골품제의 모순점 = 53

   7) 신라행정의 특징 = 53

  5. 통일신라의 정치관제 = 54

   1) 행정 환경 = 54

   2) 중앙행정조직 = 55

   3) 지방행정조직 = 56

   4) 군사행정조직 = 57

   5) 조세제도 = 58

   6) 행정의 특징 = 58

제3편 고려시대의 행정제도

 Ⅰ. 고려 전기의 관제 - 경인 무신란 이전 = 61

  1. 전·후기 시대구분 = 61

  2. 중앙관료제도 = 62

   1) 국초의 통치제도 = 62

   2) 중앙관료제도의 확립 = 63

   3) 중앙정치체제의 성격 = 66

  3. 지방행정제도 = 67

  4. 인사제도 = 69

  5. 성종대 정치체제의 성격 = 70

 Ⅱ. 고려 후기의 관제 - 무신정권기의 관료제 = 71

  1. 무신란 발생의 배경 = 71

  2. 무인정치기구 = 72

  3. 몽고지배기의 관료제 = 77

제4편 조선시대의 행정제도

 Ⅰ. 조선 전기의 관제 = 81

  1. 머리말 = 81

  2. 조선조의 사회구성 = 82

   1) 정치·경제·사회적 특성 = 82

   2) 지배계층의 형성과 변천 = 84

   3) 관제변천의 시기별 분류 = 88

  3. 조선 전기 관제의 형성과 변천 = 92

   1) 관제의 특징 = 92

   2) 행정제도 = 97

   3) 군사제도 = 109

   4) 인사제도 = 114

   5) 세제와 재정기관 = 122

  4. 맺음말 = 129

 Ⅱ. 조선 후기의 관제개혁 = 130

  1. 머리말 = 130

  2. 조선 후기 관제개혁의 배경 = 131

   1) 개항 이후 조선사회의 특성 = 131

   2) 근대화를 둘러싼 제세력의 갈등 = 140

  3. 조선 후기 관제개혁의 방향 = 145

   1) 갑오개혁의 의의와 경과 = 145

   2) 관제개혁의 방향 = 151

  4. 조선 후기의 관제개혁 = 158

   1) 행정제도의 개혁 = 158

   2) 인사제도의 개혁 = 166

   3) 경제제도의 개혁 = 170

  5. 맺음말 = 174

제5편 일본식민통치시대의 치안 중심의 행정제도

 Ⅰ. 서론 = 177

  1. 연구의 목적과 범위 = 177

  2. 연구분석을 위한 이론적 전개 = 181

 Ⅱ. 식민지통치를 위한 치안제도의 성립과정 = 185

  1. 대한제국의 치안제도 = 185

  2. 대한제국 치안제도의 붕괴과정 = 187

  3. 식민지 치안제도 수립과정상의 특징 = 195

 Ⅲ. 무단정책기의 헌병경찰제도 = 199

  1. 헌병경찰제도의 수립 = 199

  2. 헌병경찰제도의 구조와 성격 = 201

   1) 헌병경찰제도의 구성 = 201

   2) 헌병경찰의 업무 = 203

   3) 성격 = 204

  3. 헌병경찰제도의 운영 원칙 = 211

   1) 조직 구성상의 원리 = 212

   2) 집행 과정상의 원칙 = 213

  4. 헌병경찰제도의 실효성과 의의 = 217

 Ⅳ. 문화정책기의 치안제도 = 220

  1. 시대적 상황과 식민정책의 변화 = 220

   1) 시대적 상황 = 220

   2) 식민정책의 변화 = 222

  2. 보통경찰제도의 구조와 성격 = 226

   1) 보통경찰제도의 구조 = 226

   2) 보통경찰제도의 성격 = 229

  3. 보통경찰제도의 운영원칙 = 231

  4. 보통경찰제도의 실효성과 의의 = 234

 Ⅴ. 공출기의 치안제도 = 235

  1. 시대적 상황과 식민정책의 변화 = 235

  2. 치안정책의 변화와 운영원칙 = 238

   1) 치안정책의 기조 = 238

   2) 치안제도의 운영원칙 = 241

  3. 치안제도의 실효성과 의의 = 246

 Ⅵ. 결론 : 일제시대 치안제도의 성격과 의의 = 24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