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삼국사기. 2 (10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부식 이재호
서명 / 저자사항
삼국사기 / 김부식 지음 ; 이재호 옮김. 2.
발행사항
서울 :   솔 ,   1997.  
형태사항
504 p. ; 20 cm.
총서사항
나랏말씀 ; 4
ISBN
8981332096 8981331243(세트)
일반주기
색인포함  
000 00696camccc200265 k 4500
001 000000569848
005 20100805043342
007 ta
008 971013s1997 ulk 001a kor
020 ▼a 8981332096 ▼g 04910 : ▼c \12000
020 1 ▼a 8981331243(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093133 ▼l 111093134 ▼l 111093135
082 0 4 ▼a 089.97 ▼2 21
090 ▼a 089.97 ▼b 1997 ▼c 4
100 0 ▼a 김부식 ▼0 AUTH(211009)51158
245 1 0 ▼a 삼국사기 / ▼d 김부식 지음 ; ▼e 이재호 옮김. ▼n 2.
260 ▼a 서울 : ▼b 솔 , ▼c 1997.
300 ▼a 504 p. ; ▼c 20 cm.
440 0 0 ▼a 나랏말씀 ; ▼v 4
500 ▼a 색인포함
700 1 ▼a 이재호
740 ▼a 나랏말쌈,4
950 0 ▼b \12000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089.97 1997 4 등록번호 1110931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1997 4 등록번호 11109313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1997 4 등록번호 1110931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089.97 1997 4 등록번호 1510537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089.97 1997 4 등록번호 1510537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089.97 1997 4 등록번호 1110931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1997 4 등록번호 11109313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1997 4 등록번호 1110931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089.97 1997 4 등록번호 1510537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089.97 1997 4 등록번호 1510537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정연한 체재와 일정한 사관에 의해 씌어진 우리 나라 최고의 역사서이자 우리 민족의 귀중한 정사인 <삼국사기>의 완역본. <삼국사기>는 사관에 의하여 씌어져 체재가 정연하고 문장이 유려하며, 삼국의 역사를 전폭적으로 정리하고 관찰하려 한 정사라는 점에서 귀중한 문헌으로 평가받고 있다.

<삼국사기>는 논찬이라는 독특한 서술 구조를 갖고 있어서 주목받고 있는데, 모화 사상에 치중했다는 비판도 있으나 삼국을 완전한 자주적인 국가로 인정했으며, 제왕의 사적을 기술한 본기라는 편명으로 삼국의 사적을 서술한 점 등은 자주 국가 의식을 표현한 좋은 예라 하겠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부식(지은이)

고려인종 때 대문장가. 본관은 慶州. 자는 입지(立志). 호는 뇌천(雷川), 시호는 문렬공(文烈公). 신라 왕실의 後裔로 1145년,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삼국사기’ 正史를 찬진(撰進)함. 얼굴은 검고 우람하였으며 고금의 학식에 있어 그를 당할 사람이 없었다. 신라 무열왕(武烈王)의 후손으로 신라가 망할 무렵에 증조부인 위영(魏英)이 고려태조(太祖)에게 귀의해 경주지방의 행정을 담당하는 주장(州長)에 임명되었다. 그 뒤 김부식(金富軾) 4형제가 중앙관료로 진출할 때까지의 생활기반은 경주에 있었다. 묘청의 난을 평정하여 수충정난정국공신(輸忠定難靖國功臣)의 호를 받았다. 관직에서 물러난 뒤, 1145년에 《삼국사기》를 완성하였다. 한림원에 있을 때에는 사륙변려문체(四六騈儷文體)에서 당, 송 시대의 고문체(古文體)를 수용하였다. 현재 삼국사기 목판본이 보관되어 전하고 있다.

이재호(옮긴이)

1920년 경상남도 함안에서 태어났다. 동국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부산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2008년 현재 부산대학교 명예교수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사韓國史의 비정批正』, 『조선정치제도연구朝鮮政治制度硏究』, 『한국사의 천명闡明』, 『창주산문집滄洲散文集』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징비록懲毖錄』, 『서애전서西厓全書』, 『삼국유사三國遺事』, 『삼국사기三國史記』, 『금오신화金鰲新話』, 『회재전서晦齋全書』, 『반계수록磻溪隨錄』, 『정다산문선丁茶山文選』, 『망우당문집忘憂堂文集』, 『논어정의論語正義』, 『맹자정의孟子正義』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일러두기 = 4
삼국사기 제13권 : 고구려본기 제1
 시조동명성왕(始祖東明聖王) = 15
 유리명왕(琉璃明王) = 22
삼국사기 제14권 : 고구려본기 제2
 대무신왕(大武神王) = 43
 민중왕(閔中王) = 55
 모본왕(慕本王) = 56
삼국사기 제15권 : 고구려본기 제3
 태조대왕(太祖大王) = 63
 차대왕(次大王) = 74
삼국사기 제16권 : 고구려본기 제4
 신대왕(新大王) = 83
 고국천왕(故國川王) = 87
 산상왕(山上王) = 93
삼국사기 제17권 : 고구려본기 제5
 동천왕(東川王) = 107
 중천왕(中川王) = 113
 서천왕(西川王) = 116
 봉상왕(烽上王) = 118
 미천왕(美川王) = 122
삼국사기 제18권 : 고구려본기 제6
 고국원왕(故國原王) = 135
 소수림왕(小獸林王) = 139
 고국양왕(故國壤王) = 141
 광개토왕(廣開土王) = 142
 장수왕(長壽王) = 145
삼국사기 제19권 : 고구려본기 제7
 문자명왕(文咨明王) = 163
 안장왕(安長王) = 168
 안원왕(安原王) = 170
 양원왕(陽原王) = 172
 평원왕(平原王) = 174
삼국사기 제20권 : 고구려본기 제8
 영양왕(영陽王) = 185
 영류왕(榮留王) = 203
삼국사기 제21권 : 고구려본기 제9
 보장왕(寶藏王)·상 = 217
삼국사기 제22권 : 고구려본기 제10
 보장왕(寶藏王)·하 = 251
삼국사기 제23권 : 백제 제1
 시조온조왕(始祖溫祚王) = 279
 다루왕(多婁王) = 289
 기루왕(已婁王) = 291
 개루왕(蓋婁王) = 293
 초고왕(肖古王) = 294
삼국사기 제24권 : 백제 제2
 구수왕(仇首王) = 307
 고이왕(古爾王) = 309
 책계왕(責稽王) = 313
 분서왕(汾西王) = 314
 비류왕(比流王) = 314
 계왕(契王) = 316
 근초고왕(近肖古王) = 317
 근구수왕(近仇首王) = 319
 침류왕(枕流王) = 321
삼국사기 제25권 : 백제 제3
 진사왕(辰斯王) = 329
 아신왕(阿莘王) = 331
 전지왕(전支王) = 333
 구이신왕(久爾辛王) = 335
 비유왕(毗有王) = 336
 개로왕(蓋鹵王) = 337
삼국사기 제26권 : 백제 제4
 문주왕(文周王) = 359
 삼근왕(三斤王) = 360
 동성왕(東城王) = 362
 무령왕(武寧王) = 367
 성왕(聖王) = 370
삼국사기 제27권 : 백제 제5
 위덕왕(威德王) = 381
 혜왕(惠王) = 384
 법왕(法王) = 385
 무왕(武王) = 385
삼국사기 제28권 : 백제 제6
 의자왕(義慈王) = 399
삼국사기 제29권 : 연표·상 = 425
삼국사기 제30권 : 연표·중 = 449
삼국사기 제31권 : 연표·하 = 473
부록
 색인 = 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