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51c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00560193 | |
005 | 20100805033312 | |
007 | ta | |
008 | 970909s1997 ulk 001a kor | |
020 | ▼a 8933703071 ▼g 93910 : ▼c \12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jpn |
049 | 1 | ▼a ACCL ▼l 111093440 ▼l 111093441 ▼l 111093442 |
082 | 0 4 | ▼a 953.06 ▼2 21 |
090 | ▼a 953.06 ▼b 1997i | |
100 | 1 | ▼a 宮田節子 ▼0 AUTH(211009)130658 |
245 | 1 0 | ▼a 朝鮮民衆과 皇民化 政策 / ▼d 宮田節子 著 ; ▼e 李熒娘 譯. |
260 | ▼a 서울 : ▼b 一潮閣 , ▼c 1997. | |
300 | ▼a xii,223 p. ; ▼c 23 cm. | |
500 | ▼a 색인포함 | |
700 | 1 | ▼a 이형낭 |
950 | 0 | ▼b \12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6 1997i | 등록번호 11109344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6 1997i | 등록번호 11109344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6 1997i | 등록번호 11109344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953.06 1997i | 등록번호 1510571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953.06 1997i | 등록번호 15105713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6 1997i | 등록번호 11109344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6 1997i | 등록번호 11109344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6 1997i | 등록번호 11109344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953.06 1997i | 등록번호 1510571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953.06 1997i | 등록번호 15105713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한국어판 서문 제1장 조선민중의 중일전쟁관-'유언비어'를 통해서- 1. 머리말-매스컴의 상황과 '유언비어' = 1 2. 민중의 중일전쟁관 (1) 전쟁과 가뭄의 피해 = 8 (2) 전쟁의 실태에 대한 파악 = 11 (3) 매스컴에 대한 불신, 비판 = 13 (4) 전쟁목적에 대한 인식 = 14 (5) 일본의 패전에 대한 바람 = 16 (6) 총독부 정책에 대한 비협력 = 18 3. 맺음말 = 26 제2장 중일전쟁단계의 황민화정책 제1절 志願兵制度의 전개와 그 의미 1. 머리말 = 29 2. 지원병제도의 제정과정-'조선군'의 동향을 중심으로 = 30 3. 지원병제도의 실시 상황 (1) 육군특별지원병제도의 개요 = 36 (2) 지원자와 그 출신계층에 대해서 = 42 4. 지원병제도의 의의-황민화정책에서 지원병제도의 위치 = 50 5. 맺음말 = 56 제2절 創氏改名 1. 머리말 = 59 2. '창씨개명' 제정의 의도 = 60 3. '창씨개명'의 전체 모습과 문제점 (1) '氏'란 무엇인가 = 67 (2) '氏'의 설정 = 68 (3) 創氏 제20호, 조선인의 氏名에 관한 건 = 71 (4) 개명에 대해서 = 72 (5) 세 가지 선택과 수속 = 73 (6) '창씨개명'의 문제점 = 76 4. '창씨개명'의 실시과정 (1) 초기 신고자의 직업·계층분석 = 80 (2) '창씨개명'에 대한 비판·반대 = 84 (3) 총독부의 대응 = 89 5. 맺음말 = 97 제3절 황민화정책의 구조 1. 머리말 = 103 2. '황국신민'의 인간상 = 104 3. 황민화정책의 구조 (1) 조선군의 동향-지원병제도와 교육령개정을 중심으로 = 110 (2) 제3차 조선교육령 제정과정 = 113 (3) 창씨개명에 대해서-대만의 改姓名과 관련해서 = 119 4. 맺음말 = 122 제3장 태평양전쟁 단계와 황민화정책-징병제도의 전개를 중심으로- 1. 머리말 = 125 2. 징병제의 제정과정 = 126 3. 징병제 실시를 목표로 한 황민화정책의 전개 (1) 황민화정책의 이데올로기적 특질-징병제에 대한 의의 부여를 통해서 = 135 (2) 황민화정책의 모순의 심화(1)-「조선청년특별연성령(鍊成令)」을 통해서」 = 139 (3) 황민화정책의 모순의 심화(2)-'국어보급운동'을 통해서 = 144 4. 징병제의 실시와 황민화정책의 종언 = 147 5. 맺음말 = 157 제4장 일본의 조선지배정책의 본질-'내선일체'의 구조를 중심으로- 1. 머리말 = 159 2. 동화의 논리로서의 '내선일체' = 160 3. '차별로부터의 탈출'이라는 논리의 '내선일체' = 166 4. 동화와 차별의 구조 = 174 5. 동화와 차별의 상극 = 182 제5장 일본인의 조선관, 戰前과 戰後-조산총독 우가키 카즈시게(宇垣一成)의 경우- 1. 머리말 = 190 2. 회상의 자화상, 조선총독 우가키 카즈시게(宇垣一成) = 191 3. 朝鮮像의 원형 = 199 4. 조선총독 우가키 카즈시게(宇垣一成)의 실상 (1) 내선융화 = 205 (2) 힘의 논리 = 208 (3) 농촌진흥운동 = 210 5. 맺음말 = 214 후기 = 217 역자후기 = 219 색인 = 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