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 서론 = 1
2. 어휘장이론의 형성 배경 = 11
2.1. 훔볼트의 에네르게이아 사상 = 11
2.2. 카시르의 상징형식의 철학 = 22
2.3. 소쉬르의 이론 = 28
2.4. 비트겐슈타인과 어휘장이론 = 30
3. 사피어-워프가설과 어휘장이론 = 38
3.1. 사피어-워프 가설 = 39
3.2. 워프의 어휘장이론 = 44
4. 고전적 어휘장이론의 전개와 문제점 = 52
4.1. 트리어-바이스게르버의 어휘장이론 = 52
4.1.1. 트리어의 어휘장개념 = 52
4.1.2. 바이스게르버의 어휘장이론 = 56
4.2. 트리어-바이스게르버 어휘장이론의 문제점 = 64
4.2.1. 현존성의 문제점 = 65
4.2.2. 연속성과 총체성의 원리 = 72
4.2.2.1. 무간극성의 문제 = 72
4.2.2.2. 계층적 어휘장에서의 두가지 공백 = 76
4.2.2.3. 모자이크상의 문제 = 80
4.2.2.4. 어휘장의 원리와 동음이의어, 다의어 = 84
4.2.2.5. 어휘의미론과 어휘장 = 90
4.2.3. 역사성의 문제 = 93
4.2.4. 방법론상의 문제점 = 98
4.2.5. 언어적 중간세계이론에 대한 비판 = 104
4.2.6. 반영설 = 114
4.3. 슈바르쯔의 12가지 어휘장 명제 = 122
5. 어휘장이론의 발전계보 = 126
5.1. 계열적 어휘장의 전개 = 126
5.2. 통합적 어휘장의 전개 = 130
6. 현대적 어휘장이론의 전개와 방법 = 137
6.1. 튜빙겐 학파의 성과 = 137
6.2. 어휘장고찰의 전제조건 = 138
6.3. 어휘구조 체계내에서의 어휘장 = 151
6.4. 코세리우의 어휘장개념 = 158
6.5. 코세리우의 어휘장분석 원리 = 165
6.6. 코세리우의 어휘장 유형분류 = 171
6.7. 코세리우에 있어서의 문제점 = 180
7. 언어기호 모델과 어휘분석의 원리 = 189
7.1. 소쉬르의 이원적 모델과 오그덴/리챠아즈의 삼각모델 = 189
7.2. 발딩어의 삼각모델 = 194
7.3. 헤네/비이간트의 삼각모델 = 199
7.4. 헤거의 사다리꼴 모델 = 201
7.5. 헤네/비이간트의 어휘분석 이론 = 214
7.5.1. 헤네/비이간트의 사각형 모델 = 214
7.5.2. 헤네/비이간트의 어휘분석의 원리 = 216
7.5.2.1. 뷜러의 언어기호의 세가지 기능 = 216
7.5.2.2. 명칭론적 작업의 원리 = 218
7.5.2.3. 보완적·의의론적 작업의 원리 = 221
7.5.2.4. 자율적·의의론적 방법 = 223
7.5.2.5. 문체소의 추출 = 227
7.6. 헤네/비이간트의 어휘장분석의 실례 = 230
7.6.1. 명칭론적 어휘장분석 = 230
7.6.2. 보완적·의의론적 작업 = 231
7.6.3. 명칭론적 계열로서의 어휘장특질 = 236
8. 어휘장의 형식화 문제 = 238
8.1. 슬라테크의 시도 = 239
8.2. 루쯔아이어의 시도 = 245
8.3. 어휘장 형식화의 문제점 = 254
9. 결론-어휘장분석의 방안 = 260
10. 전망 = 280
참고문헌 = 292
찾아보기 =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