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序說 과학·기술과 인간
1. 과학과 인간 = 2
2. 과학의 역사 = 2
3. 기술과 인간 = 9
4. 기술의 역사 = 10
序章 인류의 기원과 도구
인류의 탄생과 생활 = 16
1. 인류와 탄생 = 16
2. 樹上생활 = 19
원시인류와 도구 = 20
1. 원시인류 = 20
2. 도구의 사용 = 22
제1장 기술의 기원과 문명의 발달
1·1 發火技術과 수렵기술 = 26
1. 불의 발견과 이용 = 26
2. 발화기술 = 27
3. 수렵기술 = 28
1·2 석기의 사용과 도구의 발달 = 30
1. 석기 = 30
2. 석기의 발전단계 = 31
3. 도구와 손·복합도구의 출현 = 34
4. 도구의 발달관계 = 35
1·3 농경·목축의 발생 = 36
1. 농경·목축의 기원 = 36
2. 定住生活과 농경·목축의 발달 = 38
3. 농업과 사회 = 39
1·4 窯의 발명과 冶金의 시작 = 40
1. 窯의 발명 = 40
2. 冶金의 시작 = 41
제2장 자연철학과 고대 과학·기술
2·1 고대인의 자연관 = 44
1. 원시인의 자연관 = 44
2. 고대왕조의 성립 = 44
2·2 고대 그리스의 자연철학 = 51
1. 과학정신의 탄생 = 51
2. 이오니아期의 과학적 전통 = 53
3. 지구와 천문 = 55
4. 理性과 感性의 통일 = 56
5. 원자론과 物質轉化說 = 57
6. 과학적 의료-히포크라테스 = 58
2·3 아테네期의 과학사상 = 61
1. 플라톤 = 61
2. 생물학의 父-아리스토텔레스 = 62
2·4 헬레니즘期의 과학과 기술 = 65
1. 세계도시 알렉산드리아의 형성 = 65
2. 무세이온을 중심으로 한 과학 = 66
3. 기술가 아르키메데스 = 68
4. 기술 = 70
2·5 고대 로마의 과학과 기술 = 71
1. 百科全書的 작가와 그리스 과학의 계승 = 72
2. 原子論의 詩 = 73
3. 측량술과 천문학 = 74
4. 의학 = 75
5. 과학과 기술 = 75
6. 지배를 위한 과학 = 79
2·6 헬레니즘의 餘光 = 80
1. 수학과 力學의 응용 = 80
2. 천동설의 集大成 = 81
3. 기술의 발전은 鍊金術에서 = 82
4. 고대 지리학의 총괄 = 83
5. 고대 최후의 의학자들-해부학과 의학의 진보 = 84
2·7 고대 중국의 과학과 기술 = 86
1. 諸子百家와 경험적 기술 = 88
2. 음양오행설 = 88
3. 음양설에 發源하는 고대의학 = 89
4. 漢以後의 唐詩代·宋詩代 = 90
제3장 중세사회의 과학과 기술의 축적
3·1 중세초기의 과학 = 94
1. 교회권력과 과학 = 94
2. 자유 7 학과 = 94
3. 修道院과 학자들 = 96
4. 카롤링 문화 = 97
3·2 농업의 발달 = 98
1. 봉건사회의 형성 = 98
2. 三圃式 農法 = 99
3. 쟁기의 발달 = 100
3·3 중세 중기 이슬람권의 과학과 기술 = 101
1. 우수한 博學者들 = 102
2. 아라비아 숫자와 수학 = 104
3. 광학 = 105
4. 기술 = 105
3·4 중세 후기의 과학과 기술 = 106
1. 학문의 부흥과 대학의 창설 = 106
2. 스코라學的 博學者들 = 108
3. 우주론과 천문 = 109
3·5 새로운 動力源-수차 = 109
1. 水車의 역사적 의의 = 110
2. 水車의 발달 = 111
3·6 수공업의 발달 = 113
1. 수공업 중심도시와 길드 = 113
2. 최초의 자동장치인 시계 = 114
3. 섬유기술의 발달 = 117
3·7 중세의 3대 발명 = 118
1. 인쇄술 = 118
2. 항해기술 = 121
3. 화약술 = 122
제4장 르네상스 시대의 과학과 기술
4·1 르네상스와 과학 = 126
1. 르네상스의 의의 = 126
2.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과학과 기술 = 127
3. 코페르니쿠스의 우주체계(地動說)-태양 중심설 = 131
4. 수학 = 132
5. 생물학 = 134
6. 의학 = 135
7. 기술 = 137
4·2 지리상의 대발견 = 138
1. 保險航海者들 = 139
2. 세계지도 = 142
제5장 과학혁명의 형성과 실험적 과학
5·1 과학혁명의 기초형성 = 144
1. 실험적 방법의 탄생 = 144
2. 트랜시스 베이컨과 실험 = 145
3. 학회의 성립 = 146
5·2 실험적인 여러 과학의 성립 = 148
1. 갈릴레이의 과학활동 = 148
2. 망원경과 종교재판 = 150
3. 케플러 시대의 천문학 = 152
4. 물리학의 탄생 = 153
5. 鍊金術에서 화학으로 = 155
6. 의학 및 혈액순환 학설 = 156
5·3 과학·기술과 산업 = 158
제6장 매뉴팩처期의 기술과 기계론적 자연관
6·1 매뉴팩처期의 기술과 기계론적 자연과 = 162
1. 매뉴팩처의 형성 = 162
2. 매뉴팩처의 노동과정 = 163
3. 도구의 변혁 = 166
6·2 매뉴팩처期의 採鑛·冶金 = 167
1. 대포의 제조와 火工術 = 167
2. 「鑛山의 書」와 채광기술 = 169
3. 高爐의 출현과 수차의 구실 = 170
6·3 기계론적 자연관의 확립 = 171
1. 데카르트와 과학사상 = 171
2. 보일의 입자론적 물질관 = 173
3. 뉴턴의 자연과 = 175
제7장 계몽사상期의 과학과 진화론
7·1 계몽사상과 그 주변 = 180
1. 계몽사상을 앙양한 사람들 = 180
2. 반계몬사상의 활동 = 182
3. 누턴주의 과학자들의 활동 = 183
7·2 근대적 물질이론의 형성 = 184
1. 18세기 역학적 자연관 = 185
2. 스코틀랜드의 글래스고대학 = 186
3. 영국의 기체화학 = 187
4. 연소이론과 시작 = 188
5. 라부아지에에 의한 화학혁명 = 190
6. 돌턴의 원자론과 그 주변 = 191
7. 전기현상과 물리·화학의 성립 = 193
7·3 생물진화론의 제창과 생명관의 변화 = 194
1. 다윈 이전의 진화론과 자연의 체계화 = 194
2. 라마르크의 진화론 = 196
3. 다윈의 진화론 = 198
4. 진화론의 영향과 생명관의 변화 = 200
제8장 산업혁명期의 과학과 기술
8·1 영국의 산업혁명과 기술 = 204
1. 매뉴팩처에서 기계제 생산으로 = 204
2. 직물기계의 등장 = 205
3. 공장제도와 기계파괴 운동 = 208
8·2 증기 에너지의 이용 = 210
1. 광산의 排水 = 210
2. 뉴커먼의 대기압 기관 = 211
3. 와트의 복동회전 기관 = 212
8·3 공업용 공작기계의 출현 = 213
1. 보링 머신 = 214
2. 旋盤 = 215
8·4 새로운 鐵冶金 = 216
1. 용광공정의 기술 = 217
2. 精鍊工程의 기술 = 218
8·5 증기동력과 해상·육상 수송 = 220
1. 육상교통 = 220
2. 해상수송 = 222
8·6 과학·기술교육과 기술학 = 223
1. 프랑스 혁명기의 과학·기술교육 = 223
2. 기술학의 성립 = 224
3. 기술자의 학회 = 225
제9장 한국의 과학과 기술
9·1 종합적 槪說 = 228
1. 金屬器文化 = 228
2. 樂浪郡의 설치와 과학기술의 전래 = 228
3. 신라의 기술 = 229
4. 고려의 과학과 기술 = 230
5. 조선왕조의 과학과 기술 = 230
9·2 개별 과학사 = 232
1. 한국의 수학 = 232
2. 한국의 의학 = 233
3. 한국의 지리학 = 234
4. 한국의 曆法 = 237
5. 한국의 기상학 = 239
6. 한국의 천문학 = 240
9·3 기술의 개별사 = 245
1. 한국의 금속기술 = 245
2. 한국의 인쇄술 = 247
3. 한국의 건축 = 249
4. 한국의 陶磁技術 = 251
5. 한국의 鍊金術 = 253
제10장 산업혁명의 진전에 따른 과학과 기술
10·1 프랑스, 독일, 미국의 산업혁명과 기술 = 255
1. 프랑스 산업혁명 = 255
2. 프랑스의 綿業과 철도건설 = 256
3. 독일에서의 개혁운동 = 258
4. 독일의 철도건설과 기계공업 = 259
5. 미국의 독립전쟁과 남북전쟁 = 260
10·2 전류의 탄생과 물질탐구의 새 길 = 261
1. 전기공학의 기초 = 261
2. 카르노의 열기관과 열역학의 시작 = 264
3. 줄의 법칙과 에너지 보존법칙의 발견 = 265
4. 생명·물질·우주 = 267
제11장 근대기술과 과학의 접근
11·1 근대 공업화학의 勃興 = 270
1. 무기화학 공업 = 271
2. 유기화학 공업 = 273
11·2 야금기술의 발달 = 276
1. 용광로의 가열송풍 = 277
2. 베세머 轉爐 = 278
3. 平爐法 = 280
11·3 전기통신 수단의 출현 = 280
1. 전기통신 기술 = 281
2. 磁針式 통신기의 발명 = 283
3. 전기으 발생과 수송 = 285
11·4 동력의 기술혁신 = 289
1. 내연기관의 등장 = 289
2. 디젤의 발명과 기타의 기관 = 292
3. 하늘의 정복 = 293
4. 대기업체의 형성과 연구기관 = 294
11·5 화학의 응용과 미생물학 = 296
1. 과학의 생산에의 이용 = 296
2. 화학의 발전 = 297
3. 미생물학의 발달과 醫療에의 이용 = 298
4. 생화학의 시작 = 300
제12장 20세기의 과학과 기술
12·1 물리학의 변혁과 새 기술 = 304
1. 20세기 물리학의 胎動 = 304
2. 상대성 이론 = 306
3. 양자역학의 형성 = 308
12·2 생화학의 발달 = 309
12·3 인간의 생명과 노동과학 = 312
12·4 테일러 시스템과 자동화 = 313
1. 테일러 시스템의 등장 = 313
2. 기계 기술자의 증가와 경영관리 = 315
3. 대량 생산방식과 오토메이션 = 317
12·5 제2차 세계대전과 과학·기술의 이용 = 318
1. 전쟁과 과학·기술 = 318
2. 전쟁병기의 발달과 레이더 = 320
3. 맨허턴 계획과 화학·세균병기 = 321
4. 과학자의 평화운동 = 323
제13장 과학과 기술의 거대화·복잡화
13·1 원자력과 일렉크로닉스 = 326
1. 戰後의 과학·기술과 미국의 원자폭탄 독점 = 326
2. 원자력 발전 = 327
3. 전자 계산기와 트랜지스터 = 328
4. 일렉트로닉스와 자동제어 = 330
5. 인공위성과 시스템 = 333
13·2 素粒子·생명·지구·우주의 과학 = 335
1. 소립자론의 시작과 加速器의 발달 = 335
2. 세포내부의 구조와 분자생물학의 발달 = 336
3. 인간기원이 해명 = 338
4. 새로운 地球觀의 주장 = 339
5. 우주과학 = 340
13·3 자원의 한계와 새 에너지 기술 = 342
1. 자원의 고갈과 기술의 방향 = 342
2. 기대되는 에너지 기술 = 345
終章 현대사회와 과학·기술의 역할
1. 과학·기술비판의 思潮 = 348
2. 과학·기술의 발달과 인구증가 = 350
3. 공해와 환경과학 = 351
4. 환경문제와 과학·기술 = 353
5. 인류의 안전 = 354
6. 산업화 사회에서의 과학·기술의 위치 = 356
7. 과학 기술자의 사회적 책임 = 357
8. 기술만능은 위험 = 358
9. 기술의 발명은 끝났는가 = 360
科學·技術史 年代票 = 362
찾아보기 = 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