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行政學 理解의 基礎理論
제1장 行政學의 動向 = 3
제1절 行政의 性格 = 3
Ⅰ. 行政의 多樣性 = 3
Ⅱ. 行政의 性格 = 4
제2절 行政의 槪念 = 6
Ⅰ. 行政法學的 行政槪念 = 6
Ⅱ. 行政學的 行政槪念 = 7
제3절 行政學의 理論的 特性 = 11
Ⅰ. 記述的 理論(descriptive theory) = 11
Ⅱ. 處方的 理論(prescriptive theory) = 11
Ⅲ. 規範的 理論(normative theory) = 12
Ⅳ. 假說的 理論(assumptive theory) = 12
Ⅴ. 道具的 理論(instrumental theory) = 12
제4절 現代行政의 役割 = 12
Ⅰ. 行政國家的 機能 = 12
Ⅱ. 現代行政의 特徵 = 14
제5절 現代行政過程 = 15
Ⅰ. 目標設定 = 16
Ⅱ. 政策決定 = 17
Ⅲ. 企劃化 = 17
Ⅳ. 組織化 = 17
Ⅴ. 動作化 = 18
Ⅵ. 統制와 調整 = 18
Ⅶ. 評價 및 還流(反芻 ·再利用) = 18
제6절 公行政과 私行政 = 19
Ⅰ. 意義 = 19
Ⅱ. 公行政과 私行政의 類似點 = 19
Ⅲ. 公行政과 私行政의 差異點 = 20
제2장 現代行政學의 成立과 發展 = 22
제1절 官房學과 行政學 = 23
Ⅰ. 官房學的 行政學 = 23
Ⅱ. 슈타인의 行政學 = 25
제2절 現代行政學의 發達 = 26
Ⅰ. 行政學의 發端 = 27
Ⅱ. 政治·行政 二元論과 行政原理論 및 그 批判論(1887∼1937) = 28
Ⅲ. 政治·行政 二元論과 行政原理論에 대한 挑戰과 反應(1938∼1950) = 32
Ⅳ. 政治學으로서의 行政學(1950∼1970) = 34
Ⅴ. 行政管理科學으로서의 行政學(1956∼1970) = 35
Ⅵ. 行政의 獨自性을 찾는 방안으로서의 新行政學(1968∼) = 38
Ⅶ. 正體性있는 학문으로서의 行政學(1970∼) = 41
제3절 行政學의 接近方法 = 41
Ⅰ. 方法論 = 41
Ⅱ. 接近方法 = 42
제4절 行政文化 = 57
Ⅰ. 行政文化의 槪念 = 57
Ⅱ. 西歐行政文化의 一般的 類型 = 57
Ⅲ. 우리나라의 行政文化 = 58
Ⅳ. 行政文化와 行政의 關係 = 59
제5절 現代行政의 指導理念 = 59
Ⅰ. 指導理念의 意義 = 59
Ⅱ. 行政理念의 槪觀 = 60
Ⅲ. 行政理念間의 優先順位와 우리 境遇 = 68
제6절 行政變數 = 69
Ⅰ. 構造 = 69
Ⅱ. 生態(環境·體制) = 70
Ⅲ. 行政人 = 70
제2편 政策論
제1장 政策의 本質 = 75
제1절 政策의 槪念 = 75
제2절 政策의 種類 = 76
Ⅰ. 配分政策(distribute policy) = 76
Ⅱ. 規制政策(regulatory policy) = 76
Ⅲ. 再配分政策(redistribute policy) = 77
Ⅳ. 構成政策(constituent policy) = 77
Ⅴ. 戰略的 政策(strategy policy) = 77
Ⅵ. 危機管理能力(emergency management policy) = 77
제3절 政策問題 = 78
제4절 政策過程 = 78
제2장 政策議題形成 및 政策決定 = 80
제1절 政策議題의 形成 = 80
Ⅰ. 政策議題의 槪念 = 80
Ⅱ. 政策議題設定模型 = 81
제2절 政策決定 = 82
Ⅰ. 政策決定의 槪念과 重要性 = 82
Ⅱ. 政策決定의 變數 = 83
Ⅲ. 政策科學의 硏究 = 84
제3절 政策決定의 變數와 理論模型 = 85
Ⅰ. 政策決定의 變數 = 85
Ⅱ. 決定理論(decision theory) = 85
Ⅲ. 政策決定의 諸理論模型 = 88
제4절 政策決定의 參與者 = 96
제5절 政策決定過程 = 98
Ⅰ. 問題의 認知 = 99
Ⅱ. 情報의 蒐集과 分析 = 99
Ⅲ. 代案의 作成과 評價 = 99
Ⅳ. 代案의 選擇 = 100
제6절 政策決定基準(公益) = 100
제7절 韓國의 政策決定形態와 政策決定의 變數 = 101
Ⅰ. 行政人(정책결정자) = 101
Ⅱ. 行政構造 = 102
Ⅲ. 環境 = 104
제8절 政策決定과 管理職公務員의 役割 = 105
제3장 政策執行 = 107
제1절 政策執行의 意義 = 107
Ⅰ. 政策執行의 槪念 = 107
Ⅱ. 政策執行의 要素 = 108
Ⅲ. 政策執行의 硏究의 重要性 = 108
제2절 政策執行의 類型 = 109
Ⅰ. 古典的 技術者型(classical technocrats) = 109
Ⅱ. 指示的 委任型(instructed delegates) = 109
Ⅲ. 協商型(bargainers) = 110
Ⅳ. 裁量的 實驗型(discretionary experimenters) = 111
Ⅴ. 官僚的 企業家型(bureaucratic entrepreneurs) = 112
제3절 政策執行의 理論模型 = 112
Ⅰ. 古典的 階層第 執行模型 = 112
Ⅱ. 반 미터와 반혼의 政策執行模型 = 113
Ⅲ. 수잔과 훗지의 相互協商執行模型 = 114
제4절 政策執行의 過程 = 114
제5절 政策執行의 制約要因 = 115
제4장 政策評價 = 117
제1절 政策評價의 意義 = 117
Ⅰ. 政策評價의 槪念 = 117
Ⅱ. 政策評價에 대한 關心의 擡頭要因 = 118
제2절 政策評價의 機能 = 118
제3절 政策評價의 基準 = 119
제4절 政策評價의 過程 = 120
제5절 政策評價分析의 諸模型 = 122
Ⅰ. 因果關係模型 = 122
Ⅱ. 影響模型 = 123
제6절 政策評價의 限界 = 124
제5장 政策終結 = 125
제1절 政策終結의 意義 = 125
Ⅰ. 政策終結의 槪念 = 125
Ⅱ. 政策終結의 硏究가 輕視된 原因 = 126
제2절 政策終結의 原因 = 126
제3절 政策終結의 類型 = 128
제3편 企劃論
제1장 企劃의 本質 = 131
제1절 企劃의 意義 = 131
Ⅰ. 企劃의 特性 = 131
Ⅱ. 企劃意味와의 類似槪念 = 132
Ⅲ. 性質 = 133
제2절 企劃의 重要性과 效用 = 133
Ⅰ. 目標에의 集中 = 133
Ⅱ. 將來에의 對備 = 134
Ⅲ. 資源의 效率的 活用 = 134
Ⅳ. 行政統制의 手段 = 134
Ⅴ. 經費의 節約 = 134
Ⅵ. 效果的인 調整 = 135
제3절 企劃의 發展要因 = 135
제4절 效果的 企劃의 要件 = 136
제2장 企劃의 類型과 過程 = 137
제1절 企劃의 類型 = 137
Ⅰ. 企劃期間에 의한 類型 = 137
Ⅱ. 對象事項別 類型 = 138
Ⅲ. 階層別 存在形式 = 139
Ⅳ. 强制性 程度別 存在形式 = 140
Ⅴ. 其他 = 141
제2절 行政企劃의 擔當者와 過程 = 142
Ⅰ. 行政企劃 擔當者 = 142
Ⅱ. 企劃의 第段階 = 145
Ⅲ. 企劃의 過程 = 147
제3절 企劃의 限界와 問題點 = 150
제3장 國家企劃 = 152
제1절 國家企劃의 槪念 = 152
제2절 國家企劃의 發達過程 = 152
제3절 國家企劃의 機能과 評價 = 153
제4절 國家企劃의 特色과 評價 = 154
Ⅰ. 特色 = 154
Ⅱ. 評價要素 = 154
제4장 基本運營計劃 = 156
제1절 基本運營計劃의 意義와 構造分析 = 156
Ⅰ. 意義 = 156
Ⅱ. 構造分析 = 156
제2절 基本運營計劃의 體系 = 158
Ⅰ. 基本運營計劃의 體系 = 158
Ⅱ. 基本運營計劃의 의 作成過程 = 159
제3절 基本運營計劃과 豫算과의 關係 = 160
Ⅰ. 內容의 相互補完性 = 160
Ⅱ. 節次上의 補完性 = 160
제4편 組織理論
제1장 行政組織의 基礎理論 = 165
제1절 組織의 意義 = 165
Ⅰ. 槪念 = 165
Ⅱ. 組織硏究의 重要性 = 166
Ⅲ. 組織觀과 組織化에 관한 要因 = 166
제2절 現代組織의 類型 = 167
Ⅰ. 支配·從屬關係에 의한 組織의 類型 = 168
Ⅱ. 主受益者에 의한 組織의 類型 = 169
Ⅲ. 組織의 機能을 基準으로 한 組織의 類型 = 170
Ⅳ. 퓨(D.S.Pugh), 힉슨(D.J.Hickson) 그리고 히닝스(C.R.Hinings)의 實證的 構造理論 = 170
제3절 組織理論의 系譜 = 172
Ⅰ. 序論 = 172
Ⅱ. 古典的 組織理論 = 172
Ⅲ. 新古典的 理論 = 173
Ⅳ. 現代組織理論 = 174
제2장 組織의 役割構造와 形態 = 176
제1절 官僚制 = 176
Ⅰ. 槪念 = 176
Ⅱ. 特徵 = 177
Ⅲ. 官僚制의 病理 = 183
제2절 公式的 組織과 自生集團 = 187
Ⅰ. 意義 = 187
Ⅱ. 自生集團의 本質 = 188
Ⅲ. 自生集團(非公式組織)의 機能 = 190
Ⅳ. 自生集團의 統制(필요성과 방법) = 191
Ⅴ. 自生集團의 영향력의 限界 = 192
제3장 組織과 個人 및 環境 = 193
제1절 組織과 個人의 關係 = 193
Ⅰ. 組織과 個人의 相互關係 = 193
Ⅱ. 組織과 個人의 相互交流 = 194
Ⅲ. 組織과 個人의 調和 = 194
Ⅳ. 組織 內의 人間의 假定과 管理戰略 = 195
Ⅴ. 組織 內의 人間의 性格型 = 197
제2절 組織과 環境 = 198
Ⅰ. 組織과 環境과의 關係 = 198
Ⅱ. 環境의 類型 = 199
Ⅲ. 組織과 環境의 相互作用 = 200
Ⅳ. 組織의 環境에 대한 戰略 = 202
Ⅴ. 組織이 環境에 미치는 영향 = 203
제4장 組織變動과 改革 및 發展 = 206
제1절 組織革新 = 206
Ⅰ. 定議 = 206
Ⅱ. 組織革新의 對象變數와 接近法 = 207
Ⅲ. 組織革新의 過程 = 208
Ⅳ. 組織革新의 主役 = 209
Ⅴ. 組織革新에 대한 抵抗과 克復方案 = 210
제2절 組織發展 = 211
Ⅰ. 意義 = 211
Ⅱ. 組織發展過程 = 213
Ⅲ. 組織發展의 戰略 = 214
제3절 組織의 動態化 = 216
Ⅰ. 意義 = 216
Ⅱ. 組織動態化의 方法 = 216
Ⅲ. 우리나라 行政組織의 動態化와 問題點 = 218
제5편 分業體制와 行政管理論
제1장 行政組織의 編成原理 = 221
제1절 分業體制의 意義 = 221
제2절 行政組織의 諸原理 = 221
Ⅰ. 分業(專門化)의 原理(principle of division of work or specialization) = 222
Ⅱ. 調整·統合의 原理(principle of coordination·integration) = 224
Ⅲ. 階層制의 原理(principle of hierarchy) = 226
Ⅳ. 通率範圍의 原理(principle of span of control) = 227
Ⅴ. 命令統一의 原理(principle of unity of command) = 228
제2장 部處組織 = 230
제1절 最近의 動向과 問題點 = 230
Ⅰ. 最近의 動向 = 230
Ⅱ. 問題點 = 230
제2절 基準과 그 適用 = 232
Ⅰ. 基準 = 232
Ⅱ. 適用 = 234
Ⅲ. 各國 部處組織의 特徵 = 234
제3절 系線機關과 幕僚機關 = 235
Ⅰ. 系線·幕僚(참모기관)의 槪念과 機能 = 235
Ⅱ. 系線機關과 幕僚機關과의 關係 = 237
Ⅲ. 擔當官制 = 239
제4절 集權과 分權 = 240
Ⅰ. 意義 = 240
Ⅱ. 集權化와 分權化의 形態 = 241
Ⅲ. 長·短點 = 241
Ⅳ. 促進要因 = 242
Ⅴ. 韓國의 경우 = 244
Ⅵ. 新中央集權化 = 246
Ⅶ. 中央統制 = 248
Ⅷ. 一線機關 = 249
제3장 總體的·質的 管理 = 253
제1절 總體的·質的 管理의 意義 = 253
Ⅰ. TQM의 槪念 = 253
Ⅱ. TQM과 傳統的 管理模型의 差異 = 254
제2절 總體的·質的 管理의 必要條件 = 255
Ⅰ. 顧客指向 = 255
Ⅱ. 參與管理 = 256
Ⅲ. 繼續的 改善 = 257
제3절 政府의 總體的 生産性 向上戰略 = 257
Ⅰ. 公共部門에의 TQM導入 = 257
Ⅱ. 行政環境과 需要變化에 부응한 TQM의 適用方法 = 259
제4장 學習組織 = 262
제1절 序論 = 262
제2절 學習組織의 意義 = 262
Ⅰ. 學習組織의 槪念 = 262
Ⅱ. 學習組織 登場의 時代的 背景 = 263
Ⅲ. 學習組織의 特徵 = 264
Ⅳ. 傳統的 組織과 學習組織과의 差異 = 265
제3절 學習組織의 構策過程 = 266
Ⅰ. 古典的 組織理論 = 266
Ⅱ. 學習組織의 構策段階 = 267
제5장 委員會組織 = 269
제1절 委員會의 意義 = 269
Ⅰ. 槪念 = 269
Ⅱ. 設置理由 = 269
Ⅲ. 長·短點 = 270
Ⅳ. 結語 = 270
제2절 委員會의 類型 = 271
Ⅰ. 學者의 觀點에 따른 分類 = 271
Ⅱ. 機能에 따른 分類 = 272
제3절 우리나라 委員會制度 = 275
Ⅰ. 現況 = 275
Ⅱ. 改善方向 = 275
제6장 公企業 = 277
제1절 公企業의 意義 = 277
Ⅰ. 公企業의 槪念 = 277
Ⅱ. 設立理由 = 277
Ⅲ. 公企業의 發達原因 = 278
제2절 公企業의 類型 = 278
Ⅰ. 組織形態에 의한 分類 = 279
Ⅱ. 事業의 性格에 의한 分類 = 281
Ⅲ. 出資者에 의한 分類 = 282
제3절 公企業의 組織 = 282
Ⅰ. 單獨制와 合議制 = 282
Ⅱ. 命令制와 職能代表制 = 283
Ⅲ. 機能委員會制와 政策委員會制 = 283
제4절 統制 = 283
Ⅰ. 意義 및 必要性 = 283
Ⅱ. 公企業 統制의 方法 = 284
Ⅲ. 우리나라 公企業의 問題點과 發展方向 = 285
제6편 人事行政管理
제1장 人事行政管理의 基礎理論 = 289
제1절 人的資源理論의 意義 = 289
제2절 人事行政의 發展 = 290
Ⅰ. 獵官主義 = 290
Ⅱ. 實績主義 = 295
Ⅲ. 職業公務員制 = 297
Ⅳ. 開放型과 閉鎖型 = 301
Ⅴ. 積極的 人事行政 = 302
Ⅵ. 代表官僚制 = 303
제3절 人事行政機關 = 309
Ⅰ. 中央人事機關 = 309
Ⅱ. 各部處 人事機關 = 315
Ⅲ. 當面問題 및 改革方向 = 317
제4절 公職의 分類 = 318
Ⅰ. 序說 = 318
Ⅱ. 經歷織과 特殊經歷織 = 318
Ⅲ. 職位分類制 = 319
Ⅳ. 階級制 = 327
제2장 人的資源의 形成과 配分 : 採用 = 331
제1절 募集 = 331
Ⅰ. 積極的 募集과 그 必要性 = 331
Ⅱ. 積極的 募集方法의 內容 = 332
Ⅲ. 資格要件 = 334
제2절 試驗制度 = 338
Ⅰ. 採用試驗의 意義 = 338
Ⅱ. 試驗實施機關 = 338
Ⅲ. 試驗의 具備條件 = 338
Ⅳ. 效用度 檢證方法 = 339
Ⅴ. 綜合試驗과 試驗의 分類 = 340
Ⅵ. 試驗의 合格決定 = 342
제3절 任用 = 342
Ⅰ. 任用의 意義 = 342
Ⅱ. 任用權者 = 342
Ⅲ. 缺員補充方法 = 343
Ⅳ. 任用候補者 名簿 = 345
제3장 人的資源의 能力發展 = 348
제1절 敎育訓練 = 348
Ⅰ. 序說 = 348
Ⅱ. 種類 = 349
Ⅲ. 訓練計劃 = 351
Ⅳ. 訓練方法 = 353
Ⅴ. 事後評價(post-evaluation) = 361
제2절 勤務成績評定 = 365
Ⅰ. 意義 = 365
Ⅱ. 用途 = 365
Ⅲ. 批判 = 366
Ⅳ. 評價方法 = 367
Ⅴ. 運營 = 370
제3절 昇進制度 = 374
Ⅰ. 昇進의 意義 = 374
Ⅱ. 昇進任用方法 = 374
Ⅲ. 昇進所要 最低年數 = 375
Ⅳ. 昇進豫備者 名簿 = 376
제4절 轉職·轉報 = 379
Ⅰ. 意義 = 379
Ⅱ. 用途 = 380
Ⅲ. 公務員 兼任制度 = 382
Ⅳ. 公務員 派遣 및 部處間 人事交流 = 383
제5절 免職 = 385
Ⅰ. 意義 = 385
Ⅱ. 强制退職(파면해임) = 385
Ⅲ. 停年退職 = 385
Ⅳ. 名譽退職 = 386
제4장 人的資源의 活用 = 387
제1절 指導性의 本質 = 387
Ⅰ. 리더쉽의 意義 = 387
Ⅱ. 리더쉽理論의 變遷 = 388
Ⅲ. 리더쉽의 기능 = 390
Ⅳ. 리더쉽의 基本類型 = 391
Ⅴ. 指導者의 職務와 評價 = 396
Ⅵ. 우리나라에서 요구되는 리더쉽의 類型 = 400
제2절 最高 및 中間管理 = 401
Ⅰ. 意義 = 401
Ⅱ. 最高管理層 = 401
Ⅲ. 中間管理層 = 403
Ⅳ. 下級管理層 = 404
제3절 意思傳達 = 404
Ⅰ. 槪念 = 404
Ⅱ. 意思傳達의 機能 = 405
Ⅲ. 意思傳達의 構造와 變數 = 406
Ⅳ. 意思傳達의 類型 = 406
Ⅴ. 效果的인 意思傳達의 原則 = 411
Ⅵ. 意思傳達의 沮害要因과 促進方向 = 412
제4절 對民關係(公共關係: public relations) = 413
Ⅰ. 公共關係(PR)의 意義 = 413
Ⅱ. PR의 對象과 過程 = 415
Ⅲ. PR의 機能 = 417
Ⅳ. PR의 限界 = 417
Ⅴ. PR活動의 展開와 評價 = 418
Ⅵ. PR의 問題點과 公報行政의 改善方向 = 419
제5절 幕僚管理 = 420
Ⅰ. 幕僚의 意義 = 420
Ⅱ. 幕僚의 機能 = 421
Ⅲ. 幕僚의 類型 = 422
제5장 人的資源의 保全 = 424
제1절 士氣 = 424
Ⅰ. 槪念 = 424
Ⅱ. 士氣의 性質과 要因 = 425
Ⅲ. 士氣의 測定 = 426
제2절 提案制度 = 427
Ⅰ. 提案表彰制度 = 428
Ⅱ. 韓國의 提案制度 = 430
제3절 苦衷處理 = 431
Ⅰ. 苦衷處理의 意義 = 431
Ⅱ. 人事相談制度 = 432
제4절 公務員團體 = 433
Ⅰ. 公務員團體의 意義 = 433
Ⅱ. 從來의 反對理由 = 433
Ⅲ. 公務員團體의 活用 및 利點 = 434
Ⅳ. 公務員團體活用範圍 = 435
Ⅴ. 公務員團體活動의 內容 = 435
Ⅵ. 公務員團體의 確立要件 = 437
Ⅶ. 問題點과 改善方向 = 437
제5절 人間關係管理 = 438
Ⅰ. 基本審理 = 438
Ⅱ. 管理者와 集團의 人間關係 = 439
제6절 動機附輿理論 = 440
Ⅰ. 動機附輿의 槪念 = 440
Ⅱ. 動機附輿의 諸理論 = 441
Ⅲ. 動機附輿理論의 綜合的 考察 = 447
제7절 報酬와 年金 = 448
Ⅰ. 報酬制度의 意義 = 448
Ⅱ. 報酬體系 = 448
Ⅲ. 報酬水準 = 449
Ⅳ. 昇給 = 451
Ⅴ. 公務員報酬의 特殊性 = 452
Ⅵ. 報酬表의 作成 = 452
Ⅶ. 우리나라 公務員의 報酬 = 454
Ⅷ. 年金 = 454
제8절 權威(authority) = 460
Ⅰ. 意義 = 460
Ⅱ. 權威의 機能 = 461
Ⅲ. 權威의 類型 = 461
Ⅳ. 權威의 受容과 受容變數 = 463
제6장 行政人의 責任과 公職規範 = 465
제1절 行政責任 = 465
Ⅰ. 行政責任의 意義 = 465
Ⅱ. 行政責任의 重要性 = 466
Ⅲ. 行政責任의 基準 = 467
제2절 統制方法 = 467
Ⅰ. 意義 = 467
Ⅱ. 司法統制(judicial control) = 468
Ⅲ. 立法統制(legislative control) = 468
Ⅳ. 옴부즈맨 制度 = 469
Ⅴ. 民衆統制(popular control) = 471
Ⅵ. 內部統制(行政統制) = 475
Ⅶ. 行政責任의 傾向 = 476
Ⅷ. 韓國의 行政統制 = 476
제3절 公務員의 政治的 中立 = 477
Ⅰ. 意義 = 477
Ⅱ. 各國의 政治的 中立制度 = 478
Ⅲ. 韓國에서의 公務員의 政治的 中立性 = 479
Ⅳ. 政治的 中立의 限界 = 480
제4절 公務員의 勤務 = 481
Ⅰ. 意義 = 481
Ⅱ. 自律的 規制(公務員의 倫理綱領) = 482
Ⅲ. 法的 規制(公務員法上의 諸義務) = 483
Ⅳ. 公務員의 忠誠 = 487
제5절 懲戒制度 = 489
Ⅰ. 懲戒의 意義 = 489
Ⅱ. 懲戒의 事由 및 時效 = 490
Ⅲ. 懲戒의 種類와 效力 = 490
Ⅳ. 懲戒決議의 要求 = 491
Ⅴ. 懲戒委員會의 設置 및 構成 = 491
Ⅵ. 懲戒節次 = 492
Ⅶ. 懲戒의 執行 = 493
제6절 公職腐敗 = 493
Ⅰ. 腐敗의 意味와 類型 = 493
Ⅱ. 腐敗에 대한 對策 = 494
제7장 人事行政管理의 새로운 課題 = 495
제1절 危機管理의 노하우(know-how) = 495
Ⅰ. 危機管理의 活動 = 495
Ⅱ. 危機管理能力의 向上方案 = 496
Ⅲ. 危機管理指導者의 姿勢와 資質 = 498
제2절 勞使關係管理 = 498
Ⅰ. 勞使關係의 意義 = 498
Ⅱ. 勞使關係의 本質 = 500
Ⅲ. 韓國 勞使關係의 實像 = 503
Ⅳ. 韓國 勞使關係의 特徵 = 505
Ⅴ. 民主化時代에서의 勞使關係 發展定向 = 512
제3절 職業環境 및 福祉管理 = 517
Ⅰ. 作業條件의 管理 = 517
Ⅱ. 安全·保健管理 = 517
Ⅲ. 福利厚生의 管理 = 518
제4절 人事情報管理 = 518
제7편 財務行政: 財源의 配分
제1장 財務行政의 基礎理論 = 523
제1절 豫算의 意義 = 523
제2절 豫算의 機能 = 523
제3절 現代豫算制度의 特色 = 524
제4절 豫算의 種類 = 528
Ⅰ. 一般會計豫算과 特別會計豫算 = 528
Ⅱ. 本豫算·修正豫算·追加更正豫算 = 529
Ⅲ. 暫定豫算·假豫算 및 準豫算 = 530
Ⅳ. 公企業의 豫算 = 531
Ⅴ. 品目別 豫算, 成果主義豫算, 計劃豫算, 零基準豫算 = 532
Ⅵ. 總計豫算과 純計豫算 = 533
제2장 豫算機關과 豫算의 法的 根據 = 534
제1절 中央豫算機關 = 534
제2절 中央豫算機關의 地位 = 535
제3절 豫算의 法的 根據 = 536
제3장 豫算의 分類 = 540
제1절 豫算分類의 意義와 目的 = 540
제2절 經濟性質別 分類 = 541
제3절 資本豫算 = 543
제4절 機能別 分類 = 544
제5절 事業 및 組織別 分類 = 545
제6절 品目別 分類 = 546
제4장 豫算制度의 發展 = 548
제1절 槪觀 = 548
제2절 成果主義 豫算制度(performance budgeting system) = 548
제3절 計劃豫算制度 = 550
제4절 零基準豫算(zero base budgeting) = 554
Ⅰ. 意義 = 554
Ⅱ. 特徵 = 555
Ⅲ. 零基準豫算의 節次 = 556
Ⅳ. 零基準豫算의 利點 = 557
Ⅴ. 零基準豫算의 問題點 = 557
Ⅵ. 우리나라에서의 도입상의 問題點 = 558
제5절 日沒法과 減縮管理 = 558
Ⅰ. 日沒法 豫算制度 = 558
Ⅱ. 減縮管理(cutback management) = 559
제5장 豫算過程 = 561
제1절 豫算의 編成 = 561
Ⅰ. 意義 = 561
Ⅱ. 編成過程 = 562
Ⅲ. 우리나라의 豫算形式 = 564
Ⅳ. 豫算編成의 問題點 = 566
제2절 豫算의 審議 = 567
Ⅰ. 序說 = 567
Ⅱ. 審議過程 = 568
Ⅲ. 問題點 = 569
제3절 豫算의 執行 = 570
Ⅰ. 意義 = 570
Ⅱ. 豫算執行의 目標 = 570
Ⅲ. 財政統制 = 571
Ⅳ. 伸縮性의 維持 = 573
제4절 決算 및 會計檢査 = 576
Ⅰ. 決算의 意義 = 576
Ⅱ. 會計檢査 = 578
제6장 購買行政 = 582
제1절 購買의 意義 = 582
제2절 擔當機關: 集中·分散 = 583
제3절 購買行政의 節次 = 584
제4절 우리나라의 購買行政 = 585
제8편 發展行政과 行政改革
제1장 發展行政論의 動向 = 589
제1절 發展行政의 基礎理論 = 589
Ⅰ. 發展行政의 擡頭 = 589
Ⅱ. 發展과 行政 = 590
Ⅲ. 變動과 發展行政의 關係 = 593
Ⅳ. 發展行政論의 特色 = 595
Ⅴ 發展行政의 接近方法 = 597
제2절 發展行政理論의 適用實際 = 599
Ⅰ. 行政組織法의 側面 = 599
Ⅱ. 組織刷新의 側面 = 599
Ⅲ. 運營管理의 刷新的 側面 = 600
제3절 發展行政을 指向하는 韓國行政의 課題와 戰略 = 601
Ⅰ. 새 行政文化 創造 = 601
Ⅱ. 組織開發(organization development)과 管理刷新 = 603
제2장 社會指標 = 607
제1절 社會指標의 本質 = 607
Ⅰ. 社會指標의 槪念 = 607
Ⅱ. 社會指標의 性格 = 608
Ⅲ. 社會指標의 必要性 = 610
Ⅳ. 社會指標의 分類 = 611
제2절 社會指標開發의 問題點 = 612
Ⅰ. 社會指標開發의 問題點 = 612
Ⅱ. 社會指標의 改善方案 = 612
제3장 行政改革 = 614
제1절 槪念과 特性 = 614
제2절 行政改革 = 614
제3절 行政改革의 動機 = 615
제4절 行政改革의 過程 = 616
제5절 行政改革에 대한 抵抗과 對策 = 617
제6절 우리나라의 行政改革 = 618
Ⅰ. 10.15 行政改革 = 618
Ⅱ. 行政改革의 意味 = 619
Ⅲ. 旣存政府組織의 問題點 = 619
Ⅳ. 行政改革(組織整備)의 基本方向 = 620
Ⅴ. 最近行政改革의 方向과 特色 = 620
Ⅵ. 우리나라 行政改革의 問題點 = 622
제4장 行政評價 = 624
제1절 行政評價의 意義와 틀 = 624
Ⅰ. 行政評價의 意義 = 624
Ⅱ. 行政評價의 틀 = 625
제2절 評價의 接近方法 = 626
Ⅰ. 目標達成 接近方法(goal-attainment approach) = 626
Ⅱ. 시스템的 接近方法(systems approach) = 626
Ⅲ. 戰略的 利害關係集團 接近方法(strategic constituencies approach) = 627
제3절 發展的 行政評價模型의 構想 = 627
Ⅰ. 行政評價過程의 科學化 = 627
Ⅱ. 行政評價 沮害要因의 克復 = 628
Ⅲ. 行政評價의 戰略模型 = 628
제9편 地方政府行政論
제1장 地方行政의 基礎理論 = 631
제1절 地方行政의 意義 = 631
Ⅰ. 地方行政의 槪念 = 631
Ⅱ. 地方行政의 特性 = 632
제2절 地方行政 遂行方式과 地方分權의 長·短點 = 634
Ⅰ. 遂行方式 = 634
Ⅱ. 地方分權의 長·短點 = 635
Ⅲ. 新地方分權化 = 636
제3절 地方行政의 存在形式 = 637
Ⅰ. 自治的 地方行政型 = 637
Ⅱ. 自治·官治二元型 = 638
Ⅲ. 官治的 地方行政型 = 638
Ⅳ. 우리나라의 地方行政形態 = 638
제2장 地方自治의 原理 = 639
제1절 地方自治의 意義 = 639
Ⅰ. 地方自治의 槪念 = 639
Ⅱ. 地方自治의 形態 = 640
제2절 地方自治의 本質 = 641
Ⅰ. 地方權石(固有權說) = 641
Ⅱ. 國權說(傳來說·受託說) = 642
Ⅲ. 制度的 保障說 = 643
제3절 地方自治의 兩大系譜 = 643
Ⅰ. 地方自治의 系譜 = 643
Ⅱ. 兩系譜의 內容 = 644
Ⅲ. 兩系譜의 差異 = 645
제4절 地方自治와 民主主義 = 647
Ⅰ. 相關關係 不定論 = 647
Ⅱ. 相關關係 肯定論 = 648
제5절 地方自治의 價値 = 648
Ⅰ. 政治的 價値 = 648
Ⅱ. 行政的 價値 = 649
제3장 地方自治團體의 本質 = 650
제1절 地方自治團體의 意義 = 650
Ⅰ. 地方自治團體의 槪念 = 650
Ⅱ. 地方自治團體의 種類 = 651
제2절 地方自治團體의 機關 = 654
Ⅰ. 機關構成形態 = 654
Ⅱ. 地方議會 = 658
Ⅲ. 執行機關 = 661
제3절 地方自治團體의 機能(自治權) = 661
Ⅰ. 自治權의 意義 = 661
Ⅱ. 自治立法權 = 662
Ⅲ. 自治行政權 = 662
Ⅳ. 自治司法權 = 662
제4절 地方自治團體의 事務 = 663
Ⅰ. 地方行政事務의 意義 = 663
Ⅱ. 事務의 種類 = 663
Ⅲ. 事務配分의 方式 = 664
Ⅳ. 事務의 委任 = 665
제5절 地方自治團體의 區域 = 665
Ⅰ. 區域의 意義 = 665
Ⅱ. 地方行政區域의 改編 = 666
Ⅲ. 廣域行政體制 = 667
제4장 地方財政制度 = 669
제1절 地方財政의 意義 = 669
Ⅰ. 地方財政의 槪念 = 669
Ⅱ. 地方財政의 特性 = 669
제2절 地方收入의 構造 = 670
Ⅰ. 地方收入의 意義 = 670
Ⅱ. 地方稅 = 671
Ⅲ. 稅外收入 = 672
Ⅳ. 地方交付稅 = 672
Ⅴ. 國庫補助金 = 673
제3절 地方財政擴充方案 = 674
Ⅰ. 國稅의 地方稅로의 稅源再分配 = 674
Ⅱ. 新稅源提拔 = 674
Ⅲ. 地域金融의 育成 = 675
Ⅳ. 逆交付稅 制度의 導入 = 676
Ⅴ. 廣域自治團體에 의한 地域開發基金의 造成 = 677
제5장 環境行政 = 679
제1절 環境行政의 理論的 接近 = 679
Ⅰ. 環境行政의 本質 = 679
Ⅱ. 環境行政의 構造가 가져야 할 特性 = 682
Ⅲ. 地方議題 21에 대한 管見 = 683
제2절 廣域自治體 環境行政의 問題點 = 685
Ⅰ. 總體的 環境問題와 危機認識面 = 685
Ⅱ. 環境行政 遂行能力의 不足 = 686
Ⅲ. 環境行政組織의 機能配分의 不明確 = 686
Ⅳ. 假飾行政(formalism)과 政策 非合理性 = 686
Ⅴ. 人事, 財政確保의 미흡 = 688
Ⅵ. 中央과 地方間의 力割分擔의 非合理性 = 688
제3절 廣域自治團體 環境行政의 새 方案 = 689
Ⅰ. 地方自治時代에로의 環境行政의 理念과 方向轉換 = 689
Ⅱ. 地方議題의 主課題選定에 따른 指標開發 = 691
Ⅲ. 環境創造型에로의 體制改革과 廣域自治體 機能刷新 = 692
Ⅳ. 環境 옴부즈맨(ombudsman)制度의 導入 = 698
제6장 廣域行政 = 701
제1절 廣域行政의 意義 = 701
제2절 廣域行政의 促進要因 = 701
제3절 廣域行政의 方式(分類) = 702
제4절 廣域行政의 利點 = 703
제5절 韓國의 廣域行政과 改善方案 = 704
Ⅰ. 韓國의 廣域行政 = 704
Ⅱ. 廣域行政의 改善方向 = 705
제10편 行政情報體系와 管理科學
제1장 行政情報體系 = 709
제1절 情報化社會 = 709
Ⅰ. 情報化社會의 意義 = 709
Ⅱ. 情報化社會의 特徵 = 710
제2절 行政情報體系(public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711
Ⅰ. 行政情報環境의 變化 = 711
Ⅱ. 行政情報體系의 意義 및 必要性 = 714
Ⅲ. 行政情報體系의 特徵 및 基本方向 = 716
Ⅳ. 行政情報體系의 實行過程 = 717
Ⅴ. 놀란(R.L.nolan)의 情報體系 活用段階 = 718
Ⅵ. 行政情報體系의 影響과 逆機能 = 719
제2장 管理 및 行政計劃理論 = 723
제1절 意義 = 723
제2절 計量分析의 必要性 = 724
제3절 計量分析의 節次 = 725
제4절 計量分析의 方法 = 726
제3장 方法 및 機能管理分析技法 = 728
제1절 組織分組 = 728
Ⅰ. 組織分析의 目的과 用途 = 728
Ⅱ. 組織分析의 內容 = 729
제2절 制度 및 節次分析 = 730
Ⅰ. 制度·節次事業의 目標와 利得 = 730
Ⅱ. 制度·節次事業의 諸段階 = 731
Ⅲ. 制度·節次事業의 管理 = 731
Ⅳ. 問題解決要領 = 732
Ⅴ. 制度圖表(system diagram) = 735
Ⅵ. 節次圖表 = 736
Ⅶ. 制度·節次分析에 있어서의 帳票·記錄 및 報告 = 737
Ⅷ. 重複資料分析圖表 = 738
Ⅸ. 制度·節次와 職場環境 = 739
Ⅹ. 分析評價와 創意의 役割 = 740
ⅩⅠ. 節次文書 = 741
제3절 職務分析 = 743
Ⅰ. 職務分析方法 = 743
Ⅱ. Work Sampling方法 = 745
Ⅲ. 統計的 方式 = 746
Ⅳ. 코프만방식 = 747
제4절 業務量測定 = 747
Ⅰ. 定員調査 = 747
Ⅱ. 作業分析 = 749
Ⅲ. 測定方法 = 752
제4장 프로그램 管理技法 = 760
제1절 PERT = 760
Ⅰ. PERT의 意義 = 760
Ⅱ. PERT Network = 761
Ⅲ. 時間見積 = 765
Ⅳ. Scheduling = 766
Ⅴ. 完成期待確率 = 768
Ⅵ. Network의 修正(資源再配置計劃) = 768
제2절 體系分析 = 769
Ⅰ. 體系分析의 接近方法 = 769
Ⅱ. 體系分析의 構成 = 770
Ⅲ. 體系分析과 意思決定者의 判斷 = 773
제3절 費用-便益分析(cost-benefit analysis) = 774
Ⅰ. 意義 = 774
Ⅱ. 費用-便益分析의 必要性 = 775
Ⅲ. 費用-便益分析의 節次 = 776
Ⅳ. 費用-便益分析의 制約條件 = 777
Ⅴ. 費用과 便益의 推定 = 778
Ⅵ. 費用과 便益의 比較 = 780
제4절 線形計劃法(linear programming) = 781
Ⅰ. 意義 = 781
Ⅱ. 線型計劃法適用上의 基本要件 = 782
Ⅲ. 線形의 形成과 解法 = 782
Ⅳ. 線型計劃法의 利點 = 783
Ⅴ 線型計劃法의 限界 = 783
參考文獻 = 785
人名索引 = 797
事項索引 = 7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