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에 즈음하여 = ⅲ
1부 컴퓨터소개
1장 보건의료에서의 컴퓨터 = 3
1. 보건의료에서의 컴퓨터 활용 경향 = 3
2. 비밀·사생활·안전 보장 = 8
3. 컴퓨터와 간호사의 역할 = 10
참고문헌 = 11
2장 컴퓨터 작동법 = 15
1. 컴퓨터 = 15
2. 컴퓨터 네트워크 = 24
참고문헌 = 26
3장 병원 정보 체계와 부서별 컴퓨터 활용 = 27
1. 병원 정보 시스템 유형 = 28
2. 병원 정보 체계의 부서별 이용 = 32
3. 병원 정보 시스템과 수동 시스템의 비교 : 지시입력 = 37
4. 병원 정보 시스템의 단점 = 40
5. 결론 = 40
참고문헌 = 40
2부 간호에의 적용
4장 환자분류, 인력 산정, 스케줄 작성 = 45
1. 환자분류 = 46
2. 간호 인력과 스케줄 작성 = 48
3. 전산화된 환자 분류와 간호 인력 수요측정 = 50
4. 전산화된 환자 분류 보고서 = 65
5. 환자 신분 확인과 분류 시스템 = 68
6. 보제스 메디컬 센터 시스템 = 69
7. 기타 분류 및 인력 관리 시스템 = 70
8. 컴퓨터를 이용한 스케줄 작성 = 70
9. 결론 = 74
참고문헌 = 76
5장 간호행정에서의 컴퓨터 적용 = 79
1. 데이터 베이스 관리 = 80
참고문헌 = 96
6장 간호계획에서의 컴퓨터 활용 = 98
1. 간호과정 = 98
2. 간호진단 = 99
3. 전산화된 간호계획을 사용할 때의 이점 = 116
4. 간호사정과 기록 시스템 = 117
5. 약물 용량 계산 = 120
6. 소형 피-넛 컴퓨터(P-Nut Computer) = 123
7. 결론 = 123
참고문헌 = 123
7장 특수간호단위 = 126
1. 낮병동 - 일일치료센터 = 126
2. 응급실 = 130
3. 중환자실 = 134
참고문헌 = 139
8장 수술실에서의 컴퓨터 = 140
1. 통계 패키지 = 140
2. 수술 스케줄 시스템 = 144
3. 재고 통제 시스템 = 146
4. 수술실내 기록 시스템 = 149
5. 결론 = 150
참고문헌 = 151
9장 재직 간호교육에서의 컴퓨터 = 153
1. CML = 154
2. CMI = 174
3. 결론 = 176
참고문헌 = 176
3부 병원 정보 시스템의 설치
10장 컴퓨터 선택과 관련된 간호업무 요소 = 181
1. 컴퓨터 시스템의 선택에 간호부서가 참여 = 181
2. 수술실 관리 시스템의 이점 = 187
3. 결론 = 189
참고문헌 = 189
11장 간호부서와 컴퓨터 = 191
1. 간호사의 업무 = 191
2. 변화의 과정 = 192
3. 전산보급 프로그램 = 192
4. 컴퓨터 설치에 따른 간호부서의 저항 = 197
5. 결론 = 198
참고문헌 = 198
12장 컴퓨터 설치의 기본계획 = 200
1. 전산설치위원회 = 200
2. 설치계획 작업서 = 202
3. 기타 인력 = 207
4. 결론 = 208
13장 컴퓨터 하드웨어의 설치 환경 = 209
1. 물리적 계획 = 209
2. 실제 설치 = 214
3. 프린터 소모품 = 215
4. 결론 = 215
참고문헌 = 215
14장 교육과정 = 216
1. 초기 교육계획 = 217
2. 기술향상 교육 = 218
3. 신규 간호사를 위한 오리엔테이션 = 219
4. 교육개발의 예 = 219
5.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 = 225
6. 교육 투자의 규모 = 225
7. 결론 = 226
참고문헌 = 227
15장 보완계획 = 229
1. 시스템의 결정 = 229
2. 시스템의 설치 전 테스트 = 233
3. 가동일 결정 = 234
4. 설치시 흔히 일어나는 문제점 = 236
5. 결론 = 237
16장 컴퓨터 시스템의 유지 및 평가 = 238
1. 연락 업무 = 238
2. 지속적인 홍보 및 교육 = 239
3. 사용자에 대한 지원 = 241
4. 새로운 기능 및 시스템의 개발 = 246
5. 전산 담당 간호사의 역할 = 248
6. 앞으로의 전망 = 248
참고문헌 = 250
찾아보기 = 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