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언어. 논리. 존재 : 언어철학.논리 철학 입문

언어. 논리. 존재 : 언어철학.논리 철학 입문 (Loan 11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영정
Title Statement
언어. 논리. 존재 : 언어철학.논리 철학 입문 / 김영정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철학과현실사 ,   1997.  
Physical Medium
350p. ; 23cm.
ISBN
8977751888
000 00572camccc200205 k 4500
001 000000532224
005 20100807080439
007 ta
008 970611s1997 ulk 000a kor
020 ▼a 8977751888 ▼g 03100 : ▼c \10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086921 ▼l 111086922 ▼l 111086923
082 0 4 ▼a 401 ▼2 21
090 ▼a 401 ▼b 1997a
100 1 ▼a 김영정
245 1 0 ▼a 언어. 논리. 존재 : ▼b 언어철학.논리 철학 입문 / ▼d 김영정 지음.
260 ▼a 서울 : ▼b 철학과현실사 , ▼c 1997.
300 ▼a 350p. ; ▼c 23cm.
950 0 ▼b \10000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01 1997a Accession No. 11108692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01 1997a Accession No. 11108692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01 1997a Accession No. 111086923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0-30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영정(지은이)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브라운대학교에서 철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및 인지과학 협동과정 겸임교수로 재직했다.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CSLI연구소 방문학자, 한국논리학회 회장과 한국인지과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한국철학회 열암학술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심리철학과 인지과학』(1996), 『언어, 논리, 존재』(1997), 『사회철학대계 4: 기술시대와 사회철학』(2005), 『선제논리를 향하여』(2010)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계산가능성과 논리』(1996), 『개인의 동일성과 불멸성에 관한 대화』(2000)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언어 철학이란 무엇인가? = 15

 1. 언어학과 언어 철학 = 15

 2. 언어 철학의 의미론적 문제 = 20

 3. 언어 철학과 언어 분석 철학 = 30

제2장 데 딕토와 데 레 : 언어적 접근과 존재적 접근 = 35

 1. 러셀은 기술적 지칭론자인가? = 36

 2. 데 딕토와 데 레 = 42

 3. 필연성의 문맥 = 49

 4. 명제 태도의 문맥 = 59

제3장 퍼트남의 지시, 진리 및 의미 이론 = 69

 1. 앎에 대한 선험적 도식 = 71

 2. 퍼트남의 내재적 지시 이론Ⅰ = 73

 3. 순수 의도 지시 이론 = 75

 4. 닮음 지시 이론과 인과적 고리 지시 이론 = 77

 5. 퍼트남의 내재적 지시 이론Ⅱ = 81

 6. 퍼트남의 진리론 = 87

 7. 퍼트남의 의미 이론 = 88

제4장 크립키의 진리론 = 93

 1. 타르스키의 참의 정의에 대한 적합 조건들 = 94

 2. 크립키의 대안-고정점 이론 = 99

 3. 고정점 이론에 관한 몇 가지 의문들 = 105

제5장 존재론과 양화 논리 = 111

 1. 아리스토텔레스 : 언어 분석적 존재론 = 113

 2. 러셀 : 존재론적 환원 = 115

 3. 치솜 : 존재론적 개입의 기준 = 121

 4. 콰인 : 존재론적 존재 양화 = 125

 부록1) 칸토르의 정리와 그 증명 = 139

 부록2) 양화 논리의 조합 논리에로의 완전한 환원 가능성 입증 = 144

제6장 사건 존재론 = 153

 1. 사건 이론의 네 유형 = 154

 2. 환원, 반복적 사건, 지향성 = 157

 3. 시·공간 부사구 수식의 문제 = 161

 4. 인과 관계 = 169

 5. 행위의 설명 문제와 심신 문제 = 174

제7장 부사구 수식의 문제 = 177

 1. 추상적 사건론과 시·공간 수식어 = 178

 2. 사건 범주 파생론과 시·공간 수식어 = 190

 3. 개체의 존재 양상으로서의 사건 = 194

 부록(후기) = 198

제8장 인과 관계의 논리 형식 = 201

 1. 인과 관계의 논리 형식과 인과 관계의 분석 = 201

 2. 데이빗슨의 사건과 언어적 표현들에 관한 전제 = 202

 3. 생산적 원인과 설명적 원인 = 206

 4. 인과적 연결사의 진리 함수성 = 208

 5. 인과 문맥과 논리적 동치 가정 = 212

제9장 인문학과 논리학 = 217

 1. 인문학에 대한 두 가지 규정 = 218

 2. 논리학의 일반적 역할 = 224

 3. 논리학의 정의와 분류 = 226

 4. 논리학과 인문학 = 230

 5. 논리학 자체에 대한 정당화 근거 = 232

제10장 메타논리학이란 무엇인가? = 235

 1. 메타논리학이란 무엇인가? = 236

 2. 명제 논리 체계 P_s = 241

 3. 명제 논리 체계 P_s의 건전성과 완전성 = 255

 4. 1차 양화 논리 체계 L_1(P_M, T_M) = 263

 5. 1차 양화 논리 체계 L_1(P_M, T_M)의 건전성과 완전성 = 270

제11장 타르스키 정리, 처치 정리 그리고 괴델 정리 = 279

 1. 의미론적 역설과 괴델 문장 = 280

 2. 정의 불가능성, 결정 불가능성 그리고 불완전성 정리들 = 299

 3. 세 정리들의 의의 = 313

제12장 이차 논리학의 완전성과 불완전성 = 315

 1. L_2의 구문론 = 319

 2. L_2의 표준 의미론 = 329

 3. L_2의 헨킨 의미론 = 332

 4. 표준 의미론에 따른 L_2의 불완전성 증명 = 335

 5. 헨킨 의미론에 따른 L_2의 완전성 정리와 그 증명 = 33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