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언어 철학이란 무엇인가? = 15
1. 언어학과 언어 철학 = 15
2. 언어 철학의 의미론적 문제 = 20
3. 언어 철학과 언어 분석 철학 = 30
제2장 데 딕토와 데 레 : 언어적 접근과 존재적 접근 = 35
1. 러셀은 기술적 지칭론자인가? = 36
2. 데 딕토와 데 레 = 42
3. 필연성의 문맥 = 49
4. 명제 태도의 문맥 = 59
제3장 퍼트남의 지시, 진리 및 의미 이론 = 69
1. 앎에 대한 선험적 도식 = 71
2. 퍼트남의 내재적 지시 이론Ⅰ = 73
3. 순수 의도 지시 이론 = 75
4. 닮음 지시 이론과 인과적 고리 지시 이론 = 77
5. 퍼트남의 내재적 지시 이론Ⅱ = 81
6. 퍼트남의 진리론 = 87
7. 퍼트남의 의미 이론 = 88
제4장 크립키의 진리론 = 93
1. 타르스키의 참의 정의에 대한 적합 조건들 = 94
2. 크립키의 대안-고정점 이론 = 99
3. 고정점 이론에 관한 몇 가지 의문들 = 105
제5장 존재론과 양화 논리 = 111
1. 아리스토텔레스 : 언어 분석적 존재론 = 113
2. 러셀 : 존재론적 환원 = 115
3. 치솜 : 존재론적 개입의 기준 = 121
4. 콰인 : 존재론적 존재 양화 = 125
부록1) 칸토르의 정리와 그 증명 = 139
부록2) 양화 논리의 조합 논리에로의 완전한 환원 가능성 입증 = 144
제6장 사건 존재론 = 153
1. 사건 이론의 네 유형 = 154
2. 환원, 반복적 사건, 지향성 = 157
3. 시·공간 부사구 수식의 문제 = 161
4. 인과 관계 = 169
5. 행위의 설명 문제와 심신 문제 = 174
제7장 부사구 수식의 문제 = 177
1. 추상적 사건론과 시·공간 수식어 = 178
2. 사건 범주 파생론과 시·공간 수식어 = 190
3. 개체의 존재 양상으로서의 사건 = 194
부록(후기) = 198
제8장 인과 관계의 논리 형식 = 201
1. 인과 관계의 논리 형식과 인과 관계의 분석 = 201
2. 데이빗슨의 사건과 언어적 표현들에 관한 전제 = 202
3. 생산적 원인과 설명적 원인 = 206
4. 인과적 연결사의 진리 함수성 = 208
5. 인과 문맥과 논리적 동치 가정 = 212
제9장 인문학과 논리학 = 217
1. 인문학에 대한 두 가지 규정 = 218
2. 논리학의 일반적 역할 = 224
3. 논리학의 정의와 분류 = 226
4. 논리학과 인문학 = 230
5. 논리학 자체에 대한 정당화 근거 = 232
제10장 메타논리학이란 무엇인가? = 235
1. 메타논리학이란 무엇인가? = 236
2. 명제 논리 체계 P_s = 241
3. 명제 논리 체계 P_s의 건전성과 완전성 = 255
4. 1차 양화 논리 체계 L_1(P_M, T_M) = 263
5. 1차 양화 논리 체계 L_1(P_M, T_M)의 건전성과 완전성 = 270
제11장 타르스키 정리, 처치 정리 그리고 괴델 정리 = 279
1. 의미론적 역설과 괴델 문장 = 280
2. 정의 불가능성, 결정 불가능성 그리고 불완전성 정리들 = 299
3. 세 정리들의 의의 = 313
제12장 이차 논리학의 완전성과 불완전성 = 315
1. L_2의 구문론 = 319
2. L_2의 표준 의미론 = 329
3. L_2의 헨킨 의미론 = 332
4. 표준 의미론에 따른 L_2의 불완전성 증명 = 335
5. 헨킨 의미론에 따른 L_2의 완전성 정리와 그 증명 =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