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921camccc200301 k 4500 | |
001 | 000000507511 | |
005 | 20100806115434 | |
007 | ta | |
008 | 970519s1997 ulk 001a kor | |
020 | ▼a 8930035051 ▼g 93340 : ▼c \13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49 | 1 | ▼l 111085572 ▼l 111085573 ▼l 111085574 ▼l 111114622 |
082 | 0 4 | ▼a 302.23 ▼2 21 |
085 | ▼a 5016 ▼2 KDCP | |
090 | ▼a 302.23 ▼b 1997d | |
100 | 1 | ▼a Shoemaker, Pamela J. ▼0 AUTH(211009)28221 |
245 | 1 0 | ▼a 매스미디어 사회학 / ▼d P. 슈메이커 ; ▼e S. 리즈 [공저] ; ▼e 김원용 역. |
246 | 1 9 | ▼a Mediating message :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nd ed.) |
260 | ▼a 서울 : ▼b 나남 , ▼c 1997. | |
300 | ▼a 465 p. ; ▼c 23 cm. | |
490 | 0 0 | ▼a 나남신서 ; ▼v 505 |
500 | ▼a 색인수록 | |
500 | ▼a 초판원서는 미디어 사회학으로 번역됨 | |
700 | 1 | ▼a Reese, Stephen D. ▼0 AUTH(211009)73662 |
700 | 1 | ▼a 김원용, ▼e 역 ▼0 AUTH(211009)113335 |
950 | ▼b \13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1997d | 등록번호 11108557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1997d | 등록번호 1111146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 청구기호 302.23 1997d | 등록번호 15104523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보존 | 청구기호 302.23 1997d | 등록번호 1510452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1997d | 등록번호 11108557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1997d | 등록번호 1111146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 청구기호 302.23 1997d | 등록번호 15104523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보존 | 청구기호 302.23 1997d | 등록번호 1510452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역자 서문 = 7 서언 = 13 제1장 미디어 사회학 역구개관 = 21 1. 연구의 역사 = 28 2. 미디어 내용에 관한 이론 구축의 시도 = 32 제2장 과정과 효과이론의 극복 = 37 1. 커뮤니케이션의 전통적인 연구 대상 = 38 2. 전통적인 연구초점에 대한 원인 분석 = 47 3. 요약 = 60 제3장 미디어 내용분석 = 61 1. 내용 연구의 중요성 = 61 2. 내용과 커뮤니케이션 이론연구 = 63 3. 내용측정 : 연구 방법론 = 68 4. 미디어의 현실반영 = 70 5. 요약 = 79 제4장 미디어 내용의 형태 = 85 1. 미디어 메시지에 초점 = 83 2. 내용의 형태 = 85 3. 내용의 일관성 : 권력, 문화지표 = 112 4. 요약 : 사회적 현실의 구성 = 115 제5장 언론인이 매스미디어 내용에 미치는 영향 = 119 1. 언론인의 배경과 특성 = 122 2. 언론인의 태도, 가치, 신념 = 147 3. 직업적인 역할과 윤리 = 164 4. 요약 = 179 제6장 미디어 관행의 영향 = 181 1. 관행 형성의 기여자 : 기공업자, 소비자, 공급자 = 186 2. 수용자 입장 : 소비자 = 188 3. 미디어 조직 : 가공업자 = 200 4. 외부의 뉴스 정보원 : 공급자 = 216 5. 요약 = 231 제7장 내용에 대한 조직의 영향 = 233 1. 조직 차원에서의 의문점 = 234 2. 조직과 조직의 목표 = 240 3. 조직 : 역할과 구조 = 250 4. 통제 : 권력의 행사 = 278 5. 요약 = 283 제8장 내용에 대한 외적 영향 = 285 1. 정보원 = 286 2. 광고주와 수용자 = 304 3. 정부의 통제 = 318 4. 미디어 시장 = 333 5. 기술 = 342 6. 요약 = 348 제9장 이데올로기의 영향 = 351 1. 이데올로기 = 352 2. 미디어와 사회통제 = 357 3. 권력과 이데올로기 : 맑시스트 페러다임 = 362 4. 뉴스 패러다임과 헤게모니 = 388 5. A. Kent Macdougall의 사례 = 391 6. 요약 = 401 제10장 내용연구와 효과연구의 연계 = 403 1. 매스 커뮤니케이션 연구영역 = 404 2. 내용과 효과 연구를 통합하는 이유 = 409 3. 요약 : 내용과 효과 연구를 통합하는 방법 = 411 제11장 뉴스내용에 관한 이론 구축 = 413 1. 기본가정 = 414 2. 미디어 내용에 대한 명제 = 416 3. 미디어 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 = 417 4. 미래 연구 방향 = 426 참고문헌 = 429 찾아보기 = 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