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여성사회교육 담당자 교육프로그램 개발

여성사회교육 담당자 교육프로그램 개발 (Loan 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재인 양애경
Corporate Author
한국여성개발원
Title Statement
여성사회교육 담당자 교육프로그램 개발 / 한국여성개발원 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여성개발원,   1997.  
Physical Medium
x, 233 p. : 챠트 ; 26 cm.
Series Statement
'97 연구보고서 ;240-3
ISBN
8986808234
General Note
연구자 : 김재인, 양애경  
연구기간 : 1996. 4.1 - 1997. 3.31  
000 00000cam c2200205 k 4500
001 000000481345
005 20230214174132
007 ta
008 970513s1997 ulkd 000a kor
020 ▼a 8986808234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086227
082 0 4 ▼a 374.1822 ▼2 21
090 ▼a 374.1822 ▼b 1997
110 ▼a 한국여성개발원 ▼0 AUTH(211009)103632
245 1 0 ▼a 여성사회교육 담당자 교육프로그램 개발 / ▼d 한국여성개발원 편.
260 ▼a 서울 : ▼b 한국여성개발원, ▼c 1997.
300 ▼a x, 233 p. : ▼b 챠트 ; ▼c 26 cm.
490 0 0 ▼a '97 연구보고서 ; ▼v 240-3
500 ▼a 연구자 : 김재인, 양애경
500 ▼a 연구기간 : 1996. 4.1 - 1997. 3.31
700 1 ▼a 김재인 ▼0 AUTH(211009)37916
700 1 ▼a 양애경 ▼0 AUTH(211009)109752
950 0 ▼a 비매품 ▼b \4660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1822 1997 Accession No. 11108622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연구개교 = V

I부 여성사회교육 담당자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1. 서론 = 3

  가.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3

  나. 용어의 정의 = 6

  다. 연구의 절차 = 6

  라. 연구의 제한점 = 8

 2. 이론적 배경 = 9

  가. 여성사회교육의 방향성 = 9

  나. 여성사회교육 담당자에게 요구되는 역할과 자질 = 13

  다. 여성사회교육 담장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원리 = 19

 3.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 = 24

  가. 여성사회교육 담당자 직무현황 조사 = 24

  나. 여성사회교욱 담당자 교육요구 조사 = 35

  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 = 47

 4. 프로그램(안) 구성 = 49

  가. 프로그램(안) 구성의 원칙 = 49

  나. 프로그램(안)의 내용 = 50

  다. 프로그램(안)에 대한 의견조사 = 55

 5. 제언 = 59

II부 여성사회교육 담당자 교육프로그램과 운영

 1. 교육의 목적과 기대효과 = 63

  가. 교육의 목적 = 63

  나. 교육의 기대효과 = 63

 2. 교육운영 및 계획의 원칙 = 64

 3. 교육내용의 선정 = 65

 4. 교과목의 편성 = 75

  가. 교과목 소요시간 배정 = 75

  나. 교육영역별 시간 배정 = 76

  다. 교과별 교과요목 = 76

 5. 교육의 진행 = 83

  가. 예시적 교육일정 = 83

  나. 예시적 교육안 = 84

  다. 교육 진행의 실제 = 160

 6. 제언 = 175

참고문헌 = 177

부록 = 181

 1. 서울·경기지역 여성사회교육(실시) 기관 = 183

 2.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결과 부표 = 203

 3. 여성사회교육 담당자 직무현황 조사표 = 207

 4. 여성사회교육 담당자 교육요구 조사표 = 214

 5. 여성사회교육 담당자 교육프로그램(안) 의견조사표 = 224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미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