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3
제1부 개관 : 테크놀로지에서 공동체로
제1장 글로벌 네트워크:개요 / 린다 하라심 = 15
1. 역사적 문맥 = 17
2. 전자우편 = 20
3. 컴퓨터 통신회의 = 22
4. 원격가 상성 = 23
5. 지구촌 : 개념과 예측 = 24
6. 이 책의 구성 = 26
제2장 네트월드 :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네트워크 / 린다 하라심 = 35
1. 네트월드 = 35
2. 장소로서의 네트워크 = 37
3. 네트월드 네에서의 인간 커뮤니케이션 = 47
4. 네트월드의 사회화 : 네트워크를 네트월드로 = 58
5. 네트월드의 민주화 = 63
6. 결론 = 67
제3장 정신의 글로벌 매트릭스 / 존 쿼터먼 = 69
1. 속도와 서비스들 = 71
2. 알파넷 = 72
3. NSFNET = 79
4. 주민 = 81
5. 커뮤니케이션 = 88
6. 경계 = 94
7. 결론 = 105
제4장 가상공동체에서의 삶의 단편/하워드 라인골드 = 107
1. 사이버노트의 조감 = 111
2.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사회계약, 상호성, 선물경제 = 118
3. WELL은 누구인가? = 129
4. WELL에서의 나의 이웃 = 134
5. 결론 = 140
제2부 글로벌라이징 네트워크와 관련된 쟁점들
제5장 컴퓨터, 네트워크, 일 / 리 스프라울 ; 사라 키슬러 = 147
제6장 팀업무지원체제를 통한 전세계 조직들의 통합 / 마빈 만하임 = 167
1. 세계화와 시사점 = 168
2. 경쟁무기로써의 정보기술 = 172
3. 조직구조와 상호 협조 = 175
4. 팀 = 184
5. 결론 = 195
제7장 다른 문화권간의 커뮤니케이션과 컴퓨터-지원 협동작업 / 히로시 이○ = 197
1. 컴퓨터-지원 협동작업과 그룹웨어 = 197
2. 커뮤니케이션과 빙산의 비유 = 199
3.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에서 인간-인간 상호작용으로 = 200
4. 교차문화적인 그룹웨어? = 205
5. 결론 = 209
제8장 지역발전을 위한 지구적 네트워킹 : 교차문화적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업무주심 대 관계중심/잔월스 = 211
1. 집단, 업무, 관계 = 212
2. 문화 내 문화간, 교차문화 커뮤니케이션 = 221
3. 관계중심 공동체를 위한 업무중심 네트워크 : 문화간 네트워크를 위한 교차문화적 적용 = 225
제9장 정보보안 : 위험에 처해 있는가? / 마이클 커비 ; 캐서린 머레이 = 231
1. 사생활보호에 관한 OECD의 지침 = 233
2. 정보보안 : 새로운OECD 활동들 = 241
3. 정보보안에 관한 OECD 프로젝트의 현황 = 245
4. OECD의 사명 = 247
5. 다른 기구들의 활약 = 249
6. 결론 = 251
제3부 글로벌 네트워킹의 적용
제10장 글로벌 네트워크의 구척 : WBSI의 경험 / 앤드류 핀버그 = 255
1. WBSI의 경험 = 256
2. 공동체 구축 = 260
3. 교수법의 고안 = 263
4. 교육적 인터페이스의 설계 = 268
5. 결론 = 273
제11장 컴퓨터 통신회의와 새로운 유럽 / 로빈 메이슨 = 275
1. 유럽적 환경 = 275
2. EC 위원회의 역할 = 278
3. 전자 네트워크의 부가가치 = 279
4. ELNET 사례연구 = 295
5. ELNET의 성과에 대한 요약 = 303
6. 결론 = 304
제12장 학습동아리를 통한 세계적 교육 / 마가렛 릴 = 307
1. 가르침과 배움의 역할 전환 = 308
2. 교실에서의 통신기술의 활용 = 309
3. 학습동아리를 통한 세계적 교육 = 310
4. 학습동아리의 여러 단계들 = 312
5. 지역적 맥락에서의 세계적 교육 = 314
6. 관점의 자각 = 314
7. 세계 상황에 대한 인식 = 319
8. 교차문화적 인식 = 321
9. 체계적 인식 = 321
10. 참여를 위한 선택 = 326
11. 학습 네트워크와 교사들의 전문성 개발 = 328
12. 체계적 네트워크 = 330
제13장 세계적 네트워크에서의 인지적 도제교육 / 루시오 텔레스 = 333
1. 인지적 도제교육과 학습환경 = 335
2. 온라인 개별지도와 동류 협력 = 338
3. 영역지식과 지식축적 전략 = 338
4. 비계지원 = 341
5. 반성 = 343
6. 역할탐험 = 343
7. 순번식 강의 = 345
8. 전문가 실습을 위한 동류 협력 = 346
9. 교차문화 인식 사례연구 = 346
10. 결론 = 349
제14장 컴퓨터 네트워크와 세계적 시민사회 출현 / 하워드 프레더릭 = 351
제4부 미래의 전망
제15장 공공 네트워크를 위한 사회 및 산업정책 : 미래를 향한 비전 / 미첼 케이퍼 ; 다니엘 웨이츠너 = 371
1. IPN을 위한 정책적 접근의 틀 = 373
2. 커먼캐리지 체제를 권장함으로써 표현의 자유를 보호 = 375
3. 상호연결된, 시장경제를 바탕으로 하는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성장 장려 = 377
4. 네트워크의 상업 및 비상업적 이용의 결합 = 382
5. 결론 = 385
제16장 상호 에뮬레이션 : 글로벌 하이퍼네트워크 사회 / 슘페이 쿠몬 ; 이즈미 아이즈 = 387
1. 오늘의 네트워크에서 내일의 하이퍼네트워크로 = 388
2. 역사적 시각에서 본 정보화 = 390
3. 경제적 변화로서의 정보화 = 391
4. 사회적 변화로서의 정보화 = 393
5. 문화적 변화로서의 정보화 = 395
6. 하이퍼네트워크 사회는 아떻게 형성될까? = 396
7. 범세계 하이퍼네트워크 사회에서의 상호 에뮬레이션 = 402
제17장 사이버스페이스의 항해:지나가는 별을 헤아리기 / 로버트 제이콥슨 = 409
1. 정중함 = 412
2. 유쾌함 = 414
3. 상호호혜성 = 417
4. 조화 = 419
5. 덕성의 함양 = 420
6. 절묘함 = 422
7. 신성함 = 424
8. 가상세계 = 425
9. 결론 = 431
각 장의 주 = 432
참고문헌 = 439
찾아보기 = 463
역자후기 = 469
집필진 약력 = 473
번역진 약력 = 4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