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491camcc2200469 c 4500 | |
001 | 000000479164 | |
005 | 20111015164019 | |
007 | ta | |
008 | 970429s1997 ulka b 001c kor | |
020 | ▼a 8974103206 ▼g 9333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49 | 0 | ▼l 111084983 ▼l 111084984 ▼l 111084985 |
082 | 0 0 | ▼a 301.09 ▼2 22 |
085 | ▼a 301.09 ▼2 DDCK | |
090 | ▼a 301.09 ▼b 1997 | |
100 | 1 | ▼a Turner, Jonathan H. |
245 | 1 0 | ▼a 사회학이론의 형성 / ▼d 조나단 터너, 레오나드 비글리, 찰스 H. 파워스 지음 ; ▼e 김문조 [외]옮김 |
246 | 1 9 | ▼a (The) emergence of sociological theory ▼g (3rd ed.) |
260 | ▼a 서울 : ▼b 일신사, ▼c 1997 ▼g (2004) | |
300 | ▼a 605 p. : ▼b 삽화 ; ▼c 24 cm | |
440 | 0 0 | ▼a 사회과학신서 ; ▼v 020 |
440 | 0 0 | ▼a 사회이론 ; ▼v 003 |
500 | ▼a 공역자: 김원동, 김혜영, 박형신, 안치민, 유문무, 이병렬, 정헌주, 조대엽 | |
504 | ▼a 참고문헌(p. 567-596)과 색인수록 | |
650 | 0 | ▼a Sociology ▼x History |
650 | 0 | ▼a Sociology ▼z United States ▼x History |
700 | 1 | ▼a Beeghley, Leonard, ▼e 저 |
700 | 1 | ▼a Powers, Charles H., ▼e 저 |
700 | 1 | ▼a 김문조, ▼e 역 ▼0 AUTH(211009)37718 |
700 | 1 | ▼a 김원동, ▼e 역 |
700 | 1 | ▼a 김혜영, ▼e 역 |
700 | 1 | ▼a 박형신, ▼e 역 |
700 | 1 | ▼a 안치민, ▼e 역 |
700 | 1 | ▼a 유문무, ▼e 역 |
700 | 1 | ▼a 이병렬, ▼e 역 |
700 | 1 | ▼a 정헌주, ▼e 역 |
700 | 1 | ▼a 조대엽, ▼e 역 |
900 | 1 0 | ▼a 터너, 조나단, ▼e 저 |
900 | 1 0 | ▼a 비글리, 레오나드, ▼e 저 |
900 | 1 0 | ▼a 파워스, 찰스 H., ▼e 저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1.09 1997 | Accession No. 11108498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1.09 1997 | Accession No. 11164390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1 1997d | Accession No. 151052306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10-10-13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4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 Call Number 301.09 1997 | Accession No. 15105230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 Call Number 301.09 1997 | Accession No. 15108659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6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 Call Number 301.09 1997 | Accession No. 15108659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1.09 1997 | Accession No. 11108498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1.09 1997 | Accession No. 11164390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1 1997d | Accession No. 151052306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10-10-13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 Call Number 301.09 1997 | Accession No. 15105230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 Call Number 301.09 1997 | Accession No. 15108659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 Call Number 301.09 1997 | Accession No. 15108659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조나단 터너(지은이)
미국의 대표적 사회학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현재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리버사이드캠퍼스(UCR) 사회학과 교수다. 1942년에 태어나 1968년에 코넬대학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고, 1969년부터 캘리포니아대학 리버사이드캠퍼스에서 사회학을 가르쳤다. 40권의 저서와 9권의 편저서, 200편이 넘는 학술논문을 출간했다. 영국 캠브리지대학, 독일 브레멘대학, 빌레펠트대학, 중국 산둥대학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사회학 이론, 감정사회학, 종족관계, 사회제도, 사회계층, 진화사회학 등이다. 최근 3부작인 《사회학의 이론적 원리》(Theoretical Principles of Sociology) 외에 사회학 이론에 관한 광범위한 책을 출간했다. 주요 저서로는 Revolt from the Middle: Emotional Stratification and Change in Post-Industrial Societies(2015), The Emergence and Evolution of Religion: By Means of Natural Selection(2018), The New Evolutionary Sociology: Recent and Revitalized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es(2018) 등이 있다.
김문조(옮긴이)
ㆍ서울대학교 화학과(이학사) ㆍ고려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문학석사) ㆍ미국 University of Georgia(사회학박사) ㆍ1982~현 재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회학과 교수 ㆍ2006~2008 한국이론사회학회 회장 ㆍ2008~2009 한국사회학회 회장 ㆍ2009~현 재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본부장 ㆍ2010~현 재 한국정보문화포럼 회장 [저서 및 논문] ㆍ『과학기술과 한국사회의 미래』 1999 ㆍ『디지털 한국사회의 이해』 2006(공저) ㆍ『한국사회의 양극화』 2008 外

Table of Contents
목차 옮긴이 머리말 지은이 머리말 1. 사회학의 기원 = 15 19세기가 르네상스를 돌아보다 = 15 사회학과 변동의 추동력 = 22 2. 오귀스트 콩트 사상의 기원과 배경 = 29 콩트 철학체계의 전기적 배경 = 29 콩트 사상의 지적 기원 = 32 3. 오귀스트 콩트의 사회학 = 49 콩트의 초기 논문들 = 50 콩트의 (실증철학강의) = 52 콩트의 (실증정치체계)에 대하여 = 65 콩트 사회학의 전개 = 66 4. 허버트 스펜서 사상의 기원과 배경 = 71 스펜서 사회학의 전기적 배경 = 71 19세기 영국의 정치경제 = 77 스펜서 당시의 영국의 과학세계 = 78 스펜서의 종합철학과 콩트의 사회학 = 82 왜 스펜서를 읽는가? = 83 5. 허버트 스펜서의 사회학 = 85 스펜서의 도덕철학 : (사회정학)과 (윤리학원리) = 85 스펜서의 (제일원리) = 89 스펜서의 (사회학연구) = 94 스펜서의 (사회학원리) = 99 스펜서의 (기술사회학)에 대하여 = 125 스펜서 사회학의 전개 = 128 6. 칼 맑스 사상의 기원과 배경 = 133 맑스 사상의 전기적 배경 = 133 헤겔과 맑스 = 141 포이에르바하와 맑스 = 147 애덤 스미스와 칼 맑스 = 151 엥겔스와 맑스 = 156 7. 칼 맑스의 사회학 = 165 (독일 이데올로기) = 167 (공산당선언) = 176 (자본론) = 193 맑스 사회학의 이론적 함의 = 203 맑스 사회학의 정치적 함의 = 205 맑스 사회학의 전개 = 206 8. 막스 베버 사상의 기원과 배경 = 211 베버 사상의 전기적 배경 = 211 칼 맑스와 막스 베버 = 219 방법론논쟁과 막스 베버 = 223 빌헬름 딜타이와 막스 베버 = 229 하인리히 리케르트와 막스 베버 = 232 베버의 이론적 종합 = 236 9. 막스 베버의 사회학 = 237 베버의 사회과학방법론 = 238 베버의 종교사회학 = 249 근대사회의 사회계층 = 266 베버 사회학의 전개 = 286 10. 게오르그 짐멜 사상의 기원과 배경 = 291 짐멜 사상의 전기적 배경 = 291 짐멜 사상의 지적 영향 = 296 결론 = 306 11. 게오르그 짐멜의 사회학 = 307 사회연구의 방법론적 접근 = 307 집단소속의 망 = 316 갈등 = 321 (돈의 철학) = 330 짐멜 사회학의 전개 = 346 12. 에밀 뒤르켕 사상의 기원과 배경 = 351 뒤르켕 사상의 전기적 배경 = 351 몽테스키외와 뒤르켕 = 355 루소와 뒤르켕 = 363 콩트와 뒤르켕 = 369 토크빌과 뒤르켕 = 373 스펜서와 뒤르켕 = 376 맑스와 뒤르켕 = 379 뒤르켕 사회학의 개관 = 380 13. 에밀 뒤르켕의 사회학 = 383 (사회분업론) = 384 (사회학적 방법의 규칙) = 401 (자살론) = 406 (종교생활의 기본형태) = 413 '도덕'과학 = 424 뒤르켕 사회학의 전개 = 427 14. 빌프레도 파레토 사상의 기원과 배경 = 433 파레토 사상의 전기적 배경 = 433 19세기 지적 조류와 파레토 사상 = 440 파레토 사상에 영향을 준 구체적 계보 = 444 파레토의 연구에서 반복되는 주제들 = 448 15. 빌프레도 파레토의 사회학 = 451 공학기사, 파레토 = 452 경영자, 파레토 = 453 정치평론가, 파레토 = 454 파레토의 학술저작들 = 456 파레토의 사회학적 단계 = 463 파레토의 기초이론 = 471 파레토의 일반사회학 = 483 파레토 사회학의 전개 = 489 16. 조지 허버트 미드 사상의 기원과 배경 = 493 미드 사상의 전기적 배경 = 494 각 학파의 사상에 관한 미드의 종합 = 496 빌헬름 분트와 미드 = 505 제임스와 미드 = 507 쿨리와 미드 = 512 듀이와 미드 = 516 미드의 종합 = 519 17. 조지 허버트 미드의 사회학 = 521 미드의 방대한 철학 = 521 (정신, 자아 그리고 사회) = 523 (행위의 철학) = 553 미드 사회학의 전개 = 561 참고문헌 = 567 이름찾아보기 = 595 내용찾아보기 = 5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