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말소리와 음성학
1. 음성학의 연구분야 = 15
2. 음성학과 음운론 = 17
3. 서울말과 표준말 = 18
4. 음성 문자 = 19
제2장 말소리의 생성
1. 말소리 생성의 세 단계 = 23
2. 발동 = 24
2.1. 폐에 의한 발동 = 24
2.2. 후두와 성대에 의한 발동 = 25
2.3. 혀와 연구개에 의한 발동 = 29
2.4. 발동의 유형에 따른 말소리의 분류 = 31
3. 발성 = 31
3.1. 성대의 진동에 의한 발성 = 31
3.2. 성대의 개방에 의한 발성 = 32
3.3. 성대의 불완전 개방과 진동에 의한 발성 = 33
3.4. 발성 유형에 따른 말소리의 분류 = 34
4. 조음 = 35
4.1. 조음 기관 = 35
4.2. 성도에서의 좁힘과 막음 = 37
4.3. 기류의 탈출 = 38
제3장 국어음소의 분류
1. 음소와 변이음 = 41
2. 중화 = 43
3. 자음과 모음 = 43
4. 국어 자음 음소의 목록 = 44
5. 국어 자음의 분류 = 45
5.1. 조음 방법에 의한 분류 = 46
5.2. 조음 자리에 의한 분류 = 47
5.3. 기의 유무 = 48
5.4. 긴장의 유무 = 50
5.5. 국어의 자음 분류표 = 51
6. 국어의 모음 음소 목록 = 51
6.1. 단순 모음과 이중 모음 = 51
6.2. 국어의 단순 모음 음소의 목록 = 52
6.3. 국어의 이중 모음 목록 = 53
7. 국어 모음 음소의 분류 = 54
7.1. 혀의 최고점에 의한 분류 = 54
7.2. 기본 모음에 의한 분류 = 58
7.3. 혀의 좁힘점에 의한 분류 = 63
7.4. 음운론적인 분류 = 64
8. 장애음과 향음 = 66
9. 지속음과 비지속음 = 66
제4장 국어의 자음
1. 자음의 기술 방법 = 67
2. 동시 조음 = 68
3. 이중 조음과 이차 조음 = 69
4. 자음의 기술 = 71
4.1. 파열음 = 71
4.1.1. 양순 파열음 /ㅂ,ㅍ,ㅃ/ = 74
4.1.2. 치(조) 파열음 /ㄷ,ㅌ,ㄸ/ = 77
4.1.3. 연구개 파열음 /ㄱ,ㅋ,ㄲ/ = 79
4.2. 파찰음 = 82
4.3. 마찰음 = 84
4.3.1. 치(조)마찰음 /ㅅ,ㅆ/ = 84
4.3.2. 성문 마찰음 /ㅎ/ = 87
4.4. 유음 = 89
4.5. 비음 = 93
4.5.1. 양순 비음 /ㅁ/ = 94
4.5.2. 치(조) 비음 /ㄴ/ = 95
4.5.3. 연구개 비음 /ㅇ/ = 98
4.6. 반모음 = 99
제5장 국어의 모음
1. 모음의 기술 방법 = 103
2. 모음의 길이 = 103
2.1. 음운론적인 길이 = 103
2.2. 음성학적 인 길이 = 105
3. 국어의 단순 모음 = 106
3.1. 전설 모음 /ㅣ,ㅔ,ㅐ,ㅟ,ㅚ/ = 106
3.1.1. 전설 고모음 /ㅣ/ = 106
3.1.2. 전설 중고모음 /ㅔ/ = 107
3.1.3. 전설 중저모음 /ㅐ/ = 108
3.1.4. 원순 전설 고모음 /ㅟ/ = 109
3.1.5. 원순 전설 중고모음 /ㅚ/ = 110
3.2. 중설 저모음 /ㅏ/ = 110
3.3. 후설 모음 /ㅡ,ㅓ,ㅜ,ㅗ/ = 111
3.3.1 후설 고모음 /ㅡ/ = 111
3.3.2. 후설 저모음 /ㅓ/ = 112
3.3.3. 원순 후설 고모음 /ㅜ/ = 114
3.3.4. 원순 후설 중고모음 /ㅗ/ = 114
4. 국어의 이중 모음 = 115
4.1. j-계 이중 모음 /ㅑ,ㅕ,ㅛ,ㅠ,ㅖ,ㅒ/ = 115
4.1.1. /ㅑ/ = 115
4.1.2. /ㅕ/ = 116
4.1.3. /ㅛ/ = 116
4.1.4. /ㅠ/ = 117
4.1.5. /ㅖ/ = 117
4.1.6. /ㅒ/ = 118
4.2. w-계 이중 모음 /ㅘ,ㅝ,ㅞ/ㅚ,ㅟ,ㅙ/ = 119
4.2.1. /ㅘ/ = 119
4.2.2. /ㅝ/ = 120
4.2.3. /ㅞ/ = 120
4.2.4. /ㅚ/ = 121
4.2.5. /ㅟ/ = 122
4.2.6. /ㅙ/ =123
4.3. Щ-계 이중 모음 /ㅢ/ = 123
제6장 국어의 음절
1. 음절의 정의 = 125
2. 음절의 기능 = 125
3. 공명도와 음절 =126
4. 음절 나누기 = 127
5. 음절 구조 = 128
6. 음소 연결 제약 = 131
제7장 국어의 음운 규칙
1. 기저형과 표면형 = 133
2. 변이음 규칙과 음소 변동 규칙 = 134
3. 국어의 변이음 규칙 = 134
3.1. 반모음의 무성화 = 134
3.2. 모음의 무성화 = 135
3.2.1. 화자의 감정에 의한 모음의 무성화 = 135
3.2.2. 짧은 고모음의 무성화 = 135
3.3. 목젖 소리 되기 = 136
3.4. 구개음화 = 136
3.4.1. 경구개음화 136
3.4.2. 연구개음화 = 137
3.5. 유성음화 = 138
3.6. 자음 약화 = 140
3.7. 원순음화 = 140
3.8. 비음화 = 140
3.9. 미파화 및 무음 개방 = 141
3.10. 탄설음화 = 142
4. 국어의 음소 변동 규칙 = 143
4.1. 종성규칙 = 143
4.1.1. 중화 규칙 = 143
4.1.2. 겹받침 단순화 = 143
4.1.3. 격음화 = 144
4.1.4. 연음 규칙 = 147
4.2. 자음 동화 = 148
4.2.1. 유음화 = 149
4.2.2. 장애음의 비음화 = 150
4.2.3. 유음의 비음화 = 150
4.2.4. 변자음화 = 151
4.3. 구개음화 = 152
4.4. 전설모음화 = 154
4.5. 경음화 = 157
4.5.1. 고유어의 경음화 = 157
4.5.1.1. 장애음 뒤에서의 경음화 = 157
4.5.1.2. 어간 종성 /ㄴ,ㅁ/ 뒤에서의 경음화 = 158
4.5.1.3. 관형형 어미 '-(으)ㄹ' 뒤에서의 경음화 = 159
4.5.1.4. 사이 시옷에 의한 경음화 = 160
4.5.2. 한자어의 경음화 = 161
4.5.2.1. 장애음 뒤에서의 경음화 = 161
4.5.2.2. /ㄹ/ 뒤에서의 경음화 = 162
4.5.2.3. 한자음에 의한 경음화 = 163
4.5.3. 젊은 세대와 방언에서의 경음화 = 166
4.6. ㄴ-첨가 = 167
4.6.1. 고유어 에서의 ㄴ-첨가 =167
4.6.2. 한자어에서의 ㄴ-첨가 = 169
4.6.3. 경상도 방언에서의 ㄴ-첨가 = 171
4.7. 사이 시옷의 첨가 = 172
4.8. ㅎ-탈락 = 176
4.9. 음운 전위 = 176
4.10. 두음 법칙 = 177
4.10.1. ㄹ-두음 법칙 = 177
4.10.2. ㄴ-두음 법칙 = 178
4.11. 모음 조화 = 180
4.12. 반모음화 = 182
4.13. 모음 탈락 = 183
4.14. 단모음화 = 184
4.14.1 용언 어간 모음의 단모음화 = 184
4.14.2. 비악센트 음절에서의 단모음화 = 185
4.14.2.1. 합성어에서의 단모음화 = 185
4.14.2.2. 구와 문장의 발화에서의 단모음화 = 187
4.15. 보상적 장모음화 = 189
4.15.1. 모음 탈락에 의한 보상적 장모음화 = 189
4.15.2. 반모음화에 의한 보상적 장모음화 = 190
제8장 국어의 강세와 리듬
1. 운율과 운율 자질 = 193
2. 음악의 리듬과 언어의 리듬 = 194
2.1. 음악의 리듬 = 194
2.2. 언어의 리듬 = 195
3. 국어의 운율 유형 = 197
4. 국어의 강세와 악센트 = 198
4.1. 국어의 강세 규칙 = 198
4.2. 국어의 악센트 = 199
4.3. 국어 강세의 기능 = 200
5. 말토막 경계의 부과 = 203
5.1. 말토막 경계의 부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203
5.1.1. 문장의 길이 = 204
5.1.2. 말의 속도와 스타일 = 204
5.1.3. 문장의 문법 구조 = 204
5.1.4. 문장의 의미 구조 = 206
5.1.5. 초점의 영역 = 207
5.2. 구와 문장에서의 말토막 경계의 부과 = 209
5.2.1. 명사구 = 209
5.2.1.1. 복합어 = 209
5.2.1.2. 여러 개의 머리 명사를 갖는 명사구 = 210
5.2.1.3. 수식어를 갖는 명사구 = 210
5.2.2. 부사구 = 212
5.2.3. 주절의 서술어구 = 212
5.2.4. 주어와 서술어 사이 = 214
6. 말마디 경계의 부과 = 215
6.1. 문장의 길이 = 215
6.2. 말의 속도와 스타일 = 216
6.3. 문장의 문법 구조 = 216
6.4. 문장의 의미 구조 = 217
6.5. 초점의 영역 = 218
제9장 국어의 억양
1. 문장 억양과 말마디 억양 = 219
2. 핵억양 = 220
3. 말토막 억양 = 221
4. 국어의 핵억양 목록 = 222
5. 국어 말토막 억양의 목록 = 224
6. 국어의 억양 체계 = 226
7. 국어 억양의 기능 = 227
7.1. 문법 기능 = 228
7.2. 화용론적 기능 = 229
7.3. 화자의 감정 및 태도의 전달 기능 = 230
8. 평서문의 억양 = 230
9. 의문문의 억양 =232
9.1. 예-아니오 의문문 = 232
9.2. 의문사 의문문 = 233
9.3. 선택 의문문 = 235
9.4. 되물음 의문문 = 236
9.5. 수사 의문문 =237
10. 명령문의 억양 = 238
11. 청유문의 억양 = 239
12. 어미 '-어/아(요)'를 포함한 문장의 억양 = 240
13. 어미 '-지(요)'를 포함한 문장의 억양 = 241
14. 둘 이상의 말마디로 이루어진 문장의 억양 = 243
제10장 경상도 방언의 성조
1. 경상도 방언의 성조 = 245
2. 성조변동 규칙 = 247
2.1. 성조중화 규칙 = 247
2.2. 성조조정 규칙 = 250
2.3. 역행 성조 동화 규칙 = 251
3. 경상도 방언의 리듬 = 252
4. 경상도 방언의 억양 = 254
4.1. 성조와 억양 = 254
4.2. 계단 내림 = 255
참고문헌 = 259
찾아보기 = 287
한·영 용어 대조표 =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