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용재총화 (9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성 현
단체저자명
민족문화추진회
서명 / 저자사항
용재총화 / 성현 지음 ; 민족문화추진회 편.
발행사항
서울 :   솔,   1997.  
형태사항
299 p. ; 20 cm.
총서사항
나랏말씀 ;9
ISBN
8981330972 8981331243(세트)
000 00000cam c2200205 k 4500
001 000000475011
005 20220609144945
007 ta
008 970409s1997 ulk 000a kor
020 ▼a 8981330972 ▼g 04810 : ▼c \7500
020 1 ▼a 8981331243(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084317 ▼l 111084318 ▼l 111084319
082 0 4 ▼a 089.97 ▼2 21
090 ▼a 089.97 ▼b 1997 ▼c 9
100 1 ▼a 성 현 ▼0 AUTH(211009)51174
245 1 0 ▼a 용재총화 / ▼d 성현 지음 ; ▼e 민족문화추진회 편.
260 ▼a 서울 : ▼b 솔, ▼c 1997.
300 ▼a 299 p. ; ▼c 20 cm.
440 0 0 ▼a 나랏말씀 ; ▼v 9
710 ▼a 민족문화추진회 ▼0 AUTH(211009)50851
740 ▼a 나랏말쌈, 9
950 0 ▼b \7500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089.97 1997 9 등록번호 11108431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1997 9 등록번호 1110843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1997 9 등록번호 11108431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089.97 1997 9 등록번호 1510522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089.97 1997 9 등록번호 15105224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089.97 1997 9 등록번호 11108431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1997 9 등록번호 1110843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1997 9 등록번호 11108431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089.97 1997 9 등록번호 1510522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089.97 1997 9 등록번호 15105224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조선 초기의 정치.사회.문화.제도를 살피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는 <용재총화>는 고려 시대부터 근세 조선의 성종 때까지의 왕실과 세가들을 비롯하여 장상·시인·문호·음악인 및 서화에 관련된 일화와 우스갯거리들을 채록한 책이다. 사회의 소외 계층에 대한 실태도 적지 않게 언급하고 있어 당시의 인정·풍속에 관한 성현의 해박한 지식과 풍부한 경험을 엿볼 수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성현(지은이)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관료 문인이다.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염조(念祖)의 셋째 아들이다. 자는 경숙(磬叔), 호는 용재(?齋)·허백당(虛白堂)·부휴자(浮休子)·국오(菊塢), 시호는 문대(文戴)다.1462년(세조 8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1466년 발영시(拔英試)에 급제해 박사(博士)로 등용되었다. 이어 사록(司錄) 등을 거쳐 1468년 예문관수찬(藝文館修撰)을 지냈다. 맏형 임(任)을 따라 명나라 사행(使行) 때 지은 기행시를 정리해 ≪관광록(觀光錄)≫으로 엮었다. 1475년 다시 한명회(韓明澮)를 따라 명나라에 다녀와서 이듬해 문과중시(文科重試)에 급제, 대사간 등을 지냈다. 1485년 천추사(千秋使)로 명나라에 다녀와 형조참판 등을 거쳐, 평안도관찰사를 지냈다. 평안도관찰사로 있을 때 명나라 사신 동월(董越)과 왕창(王敞)이 왔는데 이들과 시를 주고받아 그들을 탄복하게 했다. 이어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가 되어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와 경상도관찰사로 나갔다가 예조판서에 올랐다.연산군이 즉위하자 공조판서로 대제학(大提學)을 겸임했다. 죽은 지 수개월 후 갑자사화(甲子士禍)가 일어나 부관참시(剖棺斬屍)당했다. 뒤에 신원(伸寃)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되었다.글씨를 잘 썼으며, 특히 음률(音律)에도 밝아 장악원제조(掌樂院提調)를 겸하고 유자광(柳子光) 등과 함께 ≪악학궤범≫을 편찬해 음악을 집대성했다. 뿐만 아니라 왕명으로 고려가요 <쌍화점(雙花店)>, <이상곡(履霜曲)>, <북전(北殿)>을 개산(改刪)했다. 대표 저술인 ≪용재총화≫는 조선 초기의 정치·사회·문화·제도·풍속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밖에 ≪허백당집≫, ≪풍아록≫, ≪부휴자 담론≫, ≪주의패설(奏議稗說)≫, ≪금낭행적(錦囊行跡)≫, ≪상유비람(桑楡備覽)≫, ≪풍소궤범≫, ≪경륜대궤(經綸大軌)≫, ≪태평통재(太平通載)≫ 등 많은 저술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일러두기 = 4
해설 = 301
제1권 = 7
제2권 = 37
제3권 = 59
제4권 = 93
제5권 = 115
제6권 = 153
제7권 = 185
제8권 = 219
제9권 = 251
제10권 = 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