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k 4500 | |
001 | 000000475010 | |
005 | 20220609144936 | |
007 | ta | |
008 | 970409s1997 ulk 000a kor | |
020 | ▼a 8981330999 ▼g 04300 : ▼c \8000 | |
020 | 1 | ▼a 8981331243(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084314 ▼l 111084315 ▼l 111084316 |
082 | 0 4 | ▼a 089.97 ▼2 21 |
090 | ▼a 089.97 ▼b 1997 ▼c 8 | |
100 | 1 | ▼a 이 익 ▼0 AUTH(211009)71909 |
245 | 1 0 | ▼a 성호사설 / ▼d 이익 지음 ; ▼e 민족문화추진회 편. |
260 | ▼a 서울 : ▼b 솔, ▼c 1997. | |
300 | ▼a 322 p. ; ▼c 20 cm. | |
440 | 0 0 | ▼a 나랏말씀 ; ▼v 8 |
710 | ▼a 민족문화추진회 ▼0 AUTH(211009)50851 | |
740 | ▼a 나랏말쌈, 8 | |
950 | 0 | ▼b \8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89.97 1997 8 | 등록번호 11108431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89.97 1997 8 | 등록번호 11108431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1 | 청구기호 089.97 1997 8 | 등록번호 11108431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 청구기호 089.97 1997 8 | 등록번호 1510469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 청구기호 089.97 1997 8 | 등록번호 15104696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89.97 1997 8 | 등록번호 11108431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89.97 1997 8 | 등록번호 11108431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1 | 청구기호 089.97 1997 8 | 등록번호 11108431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 청구기호 089.97 1997 8 | 등록번호 1510469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 청구기호 089.97 1997 8 | 등록번호 15104696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이익(지은이)
조선 후기의 학자이다.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자신(子新), 호는 성호(星湖)이다. 부친 이하진(李夏鎭)이 갑술환국 이후 유배된 평안도 운산(雲山)에서 태어났다. 26세이던 1706년 둘째 형 이잠(李潛)이 세자를 보호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다가 국문을 받는 도중 숨지자 안산(安山)의 성호장(星湖莊)에 은거하며 학문과 제자 양성에 전념하였다. 성리학에 사상적 기반을 두었으나 현실 문제에 관심을 가진 근기 실학파의 대표적인 학자로 유형원(柳馨遠)의 실학사상을 계승하였다. 주요 저서로 문집인 『성호전집』 외에 『성호사설』, 『곽우록』, 『사칠신편』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일러두기 = 4 해설 = 321 서문·序 = 13 1 당론에 대하여 黨論 = 15 하늘을 원망하고 남을 탓하다 怨天尤人 = 21 위태로움에서 건져주다 拯구 = 23 사치스런 풍속 侈俗 = 25 퇴계의 선견지명 退溪先見 = 28 음란한 행실에 대한 송사 淫訟 = 30 남녀의 분별 男女之別 = 32 인재를 양성하다 養才 = 33 귀신을 내쫓는 일에 대하여 禳鬼 = 36 서울과 시골 京輦山林 = 37 녹봉으로 어버이를 봉양하다 祿養 = 39 2 암행어사 暗行御史 = 45 시체를 빌려 혼이 돌아오다 假尸還魂 = 49 서얼의 벼슬길을 막다 庶孼防限 = 51 의약에 대하여 醫藥 = 59 생재에 대하여 生財 = 63 차한일기 車漢日記 = 80 3 제 살을 베어 어머니를 치료한 데 대하여 江伯兒割脅肉 = 87 홍순언 洪純彦 = 90 말하는 것과 침묵하는 일 語默 = 93 김재상의 전생 金判前身 = 95 부녀자에 대한 경계 閨곤之戒 = 96 해학을 잘하다 善戱謔 = 98 억울한 옥사 원獄 = 100 4 관중과 포숙아 管鮑 = 103 충신의 살신성인 忠臣殺身 = 106 가난은 선비의 예사로운 일 貧者士常 = 108 교일기와 이엽 喬一琦李曄 = 110 귀신의 정상 鬼神淸狀 = 112 귀신의 빌미 鬼수 = 114 자신을 소인이라 일컫는 데 대하여 自稱小人 = 117 형제간의 우애 兄弟友愛 = 118 청렴과 탐욕 廉貪 = 119 배불리 먹고 따뜻하게 입다 飽煖 = 121 5 노비에 대하여 奴婢 = 123 종을 제사하는 글 祭奴文 = 125 억울하게 죽은 여종이 요귀가 되다 寃婢作妖 = 127 왕씨도 뽑아 써야 한다 簡拔王氏 = 128 원천석 元天錫 = 129 주서 길재 吉注書 = 130 거지에 대하여 개者 = 131 음란함을 가르치다 誨淫 = 132 노예 매매를 금하다 禁民賣奴 = 134 일본지세변과 격조선론 日本地勢辨及擊朝鮮論 = 135 유연전 柳淵傳 = 145 낙정 조석윤 趙樂靜 = 150 남파 홍우원 洪南坡 = 151 사암 박순의 사양심 思庵能讓 = 152 성삼문 선생의 나무 신주 成先生木主 = 153 봉래 양사언 楊蓬萊 = 155 백사 이항복 李白沙 = 156 재상 유관의 우산 柳相手傘 = 157 6 영남 지방의 오륜 嶺南五倫 = 159 나라를 다스림은 말을 부리는 것과 같다 以御喩治 = 162 몸으로써 나라를 비유하다 以身喩國 = 164 간관의 직책은 나라를 고치는 의사이다 諫職醫國 = 166 여색은 사람을 함정에 빠뜨린다 女色陷人 = 168 속유들이 부처를 배척하다 俗儒斥佛 = 170 장형 또래의 벗 長兄之友 = 171 공부에 방해되는 세 가지 일 三遊 = 173 여자옷을 입은 남자 무당 男巫女服 = 174 색욕에 대하여 色欲 = 175 7 신동 홍유손 洪裕孫 = 179 현인을 천거하다 薦賢 = 182 주자가 책을 발간하여 생활하다 朱子文字錢 = 188 사신이 노자를 요청하다 使价求請 = 191 착한 이에게 복을, 악한 자에게 화를 주다 福善禍淫 = 192 잘못을 간하는 일곱 신하가 있어야 한다 諍臣七人 = 194 왜구의 시말 倭寇始末 = 196 흩어진 백성이 다시 모이다 流民還集 = 202 양부하 梁敷河 = 207 퇴계의 재취 退溪再娶 = 213 하위지의 자손 河緯地 = 215 남명선생 南冥先生 = 217 대도 임거정 林居正 = 219 8 처녀와 과부 室女寡婦 = 223 지기에 대하여 知己 = 224 음경을 자른 사건 割勢獄 = 226 신진을 희롱하다 侵戱新進 = 227 영상 상진의 도량 尙相 = 228 우리 나라 이혼에 대하여 離昏 = 229 서애 유성룡의 청백 西厓淸白 = 231 벽을 향해 웃다 向壁구구 = 233 신분이 미천한 유극량 劉克良 = 234 금계 황준량 黃錦溪 = 235 임금의 기뻐함과 슬퍼함 人主喜怒 = 238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 = 239 우리 나라의 아름다운 풍속 東國美俗 = 240 갑자사화 甲子之變 = 242 승려들의 옥사 사건 僧獄 = 244 화령이란 국호에 대하여 和寧 = 245 동성끼리의 혼인에 대하여 同姓昏 = 247 9 언문에 대하여 諺文 = 251 강간에 대하여 强姦 = 255 가난한 선비의 딸 혼수 貧士嫁女 = 256 술을 금하다 酒禁 = 257 성종의 인재 양성 成廟養才 = 259 퇴계선생이 세상을 개탄하다 退溪先生개世 = 261 제사의 이치 祭祀之理 = 263 급암 집안에 화가 이어지다 汲암流禍 = 266 나쁜 옷과 음식 惡衣食 = 270 좋은 옷과 음식으로 편안하게 사는 일 衣食閒逸 = 271 벼슬길은 넓고 돈도 많다 仕廣錢多 = 273 10 착한 사람은 박복한가 善人福薄 = 277 나라의 흥망이 사치와 검소에 달렸다 興亡繫奢儉 = 279 임진왜란 때 중국이 구원해주다 壬辰再造 = 281 일본의 충의 日本忠義 = 283 사치와 검소 奢儉 = 286 박씨 집안 효녀 朴孝娘 = 289 정뇌경의 충성 鄭雷卿 = 290 하대해 河大海 = 291 이름난 관원이 사람을 죽이다 名官殺人 = 293 갓난아이를 군대에 편입시키다 新生兒充丁 = 294 이완의 기지 李右相浣 = 295 감사가 민가의 딸을 시집보내다 監司嫁民女 = 296 집을 떠난 유훈 兪춘 = 297 이문웅의 복수 李文雄 = 298 윤집이 혼자 아뢰다 尹鏶獨啓 = 299 택당 이식 李澤堂 = 300 송시열과 이경석 집안에 틈이 나다 宋李兩家修隙 = 302 고청 서기 徐孤靑 = 303 휴정대사 休靜 = 304 일곱 명의 서얼 七庶孼 = 306 통인 출신인 정충신 鄭忠信 = 307 강홍립 姜弘立 = 309 도산사 陶山祠 = 310 백운동서원 白雲洞 = 314 적게 먹음 食少 = 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