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삼국유사. 1 (23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일연 이재호
서명 / 저자사항
삼국유사 / 일연 지음 ; 이재호 옮김. 1.
발행사항
서울 :   솔 ,   1997.  
형태사항
448 p. ; 20 cm.
총서사항
나랏말씀 ; 1
ISBN
898133126X 8981331243(세트)
일반주기
색인포함  
000 00679camccc200265 k 4500
001 000000475006
005 20100806124014
007 ta
008 970409s1997 ulk 001a kor
020 ▼a 898133126X ▼g 04910 : ▼c \8500
020 1 ▼a 8981331243(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084305 ▼l 111084306 ▼l 111084307
082 0 4 ▼a 089.97 ▼2 21
090 ▼a 089.97 ▼b 1997 ▼c 1
100 0 ▼a 일연 ▼0 AUTH(211009)41254
245 1 0 ▼a 삼국유사 / ▼d 일연 지음 ; ▼e 이재호 옮김. ▼n 1.
260 ▼a 서울 : ▼b 솔 , ▼c 1997.
300 ▼a 448 p. ; ▼c 20 cm.
440 0 0 ▼a 나랏말씀 ; ▼v 1
500 ▼a 색인포함
700 1 ▼a 이재호 ▼0 AUTH(211009)5426
740 ▼a 나랏말쌈, 1
950 0 ▼b \8500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1997 1 등록번호 11108430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1997 1 등록번호 1110843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박물관/ 청구기호 고안 089.97 1997 1 등록번호 912006415 도서상태 열람불가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청구기호 089.97 1997 1 등록번호 1510468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1997 1 등록번호 11108430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1997 1 등록번호 1110843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박물관/ 청구기호 고안 089.97 1997 1 등록번호 912006415 도서상태 열람불가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청구기호 089.97 1997 1 등록번호 1510468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중국의 <고승전>과 같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삼국유사>는 불교와 승려에 관한 기록 이외에도 고문서와 민간 기록을 많이 인용하여 민족 기원의 원형 보존에 주력하였다. 또 향가 14수를 수록하여 민족 문학의 주체성을 살리고 있으며, 중국의 요임금과 같은 시기에 건국했다는 신화를 실어 우리의 자주 의식을 강렬히 표방한 신화서이자, 역사서라고 할 수 있다. 부록으로 고려때 지어진 <균여전>을 수록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일연(지은이)

고려 후기의 승려. 보각국사(普覺國師)라고도 한다. 경북 경산(당시 경주의 속현이었던 장산군)에서 태어났으며 어렸을 때 출가하여 9세에 무량사에서 머리를 깎고 승려의 길로 들어섰다. 14세에 설악산 진전사에서 정식으로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1227년 22세에 승과에 뽑히고 그 후부터 여러 사찰을 돌며 선관(禪觀)을 탐구했다. 41세에 선사, 54세에 대선사가 되었다. 몽고의 침입이 계속되는 동안 남쪽의 포산, 남해 등지에서 수행에 전념하다 56세에 원종의 부름을 받고 강화도로 가서 선월사 주지로 있으면서 설법하며 지눌(知訥)의 법통을 이었다. 63세에 왕명으로 선종과 교종의 고승 100명을 모아 개경에서 대장경 낙성회향법회를 강론하여 선교의 맹주가 되었다. 72세에는 충렬왕의 명을 받아 청도 운문사의 주지가 되어 왕에게 법설을 강론했다. 1283년 국존으로 추대되어 원경충조(圓經沖照)라는 호를 받았다. 말년에 연로한 어머니를 모시기 위해 고향으로 내려가 경북 군위의 인각사를 중축하여 그곳에 머무르며 《삼국유사》를 집필했다. 84세인 1289년에 인각사에서 입적했다. 저서로는 《삼국유사》 외에 《어록》《게송잡저》 《조정사원》 등 불교 관련 서적 80여 권이 있다.

이재호(옮긴이)

1920년 경상남도 함안에서 태어났다. 동국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부산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2008년 현재 부산대학교 명예교수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사韓國史의 비정批正』, 『조선정치제도연구朝鮮政治制度硏究』, 『한국사의 천명闡明』, 『창주산문집滄洲散文集』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징비록懲毖錄』, 『서애전서西厓全書』, 『삼국유사三國遺事』, 『삼국사기三國史記』, 『금오신화金鰲新話』, 『회재전서晦齋全書』, 『반계수록磻溪隨錄』, 『정다산문선丁茶山文選』, 『망우당문집忘憂堂文集』, 『논어정의論語正義』, 『맹자정의孟子正義』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일러두기 = 4

해설 = 417

봉공 6조·奉公六條

 제1조 덕화를 폄(宣化) = 9

 제2조 법을 지킴(守法) = 23

 제3조 예의로 교제함(禮際) = 34

 제4조 공문서(文報) = 63

 제5조 공물을 바침(貢納) = 78

 제6조 출장(往役) = 105

애민 6조·愛民六條

 제1조 양로(養老) = 125

 제2조 어린이를 보살핌(慈幼) = 139

 제3조 가난한 자를 구제함(振窮) = 158

 제4조 상사를 슬퍼함(哀喪) = 167

 제5조 병자를 돌봄(寬疾) = 177

 제6조 재난을 구제함(救災) = 187

진황 6조·振荒六條

 제1조 밑천을 마련함(備資) = 205

 제2조 권분勸分 = 247

 제3조 규모規模 = 285

 제4조 계획과 실시(設施) = 324

 제5조 보조(補力) = 364

 제6조 일을 마침(竣事) = 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