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 책을 내놓으면서 = 1
要約 = 4
제1장 序論
제1절 硏究의 目的 = 3
Ⅰ. 問題의 提起 = 3
Ⅱ. 硏究의 目的 = 4
제2절 硏究의 方法과 範圍 = 6
Ⅰ. 硏究의 方法 = 6
Ⅱ. 硏究의 範圍 = 8
제2장 韓國租稅制度의 近代化 過程
제1절 朝鮮朝 前期의 租稅制度 = 13
Ⅰ. 租稅法典으로서의 經國大典 = 15
Ⅱ. 三稅의 內容 = 16
1. 稅 = 16
2. 役 = 19
3. 貢物과 進上 = 20
Ⅲ. 商工業稅 등의 雜稅 = 21
Ⅳ. 財務機關 = 22
제2절 朝鮮朝 後期의 租稅制度 = 23
Ⅰ. 田稅의 改編과 複雜化 = 25
1. 田稅米 = 26
2. 三手米 = 26
3. 附加稅 = 26
Ⅱ. 大同法 = 27
1. 大同法의 實施 = 27
2. 大同法의 內容 = 28
3. 大同法의 歷史的 意義 = 29
Ⅲ. 均役法 = 30
1. 均役法의 背景 = 30
2. 均役法의 實施와 그 內容 = 31
3. 結作 = 31
4. 均役法의 歷史的 意義 = 32
Ⅳ. 特權商業體制의 弊害와 商工業稅의 擴張 = 33
1. 商品經濟의 發達과 商工業稅 = 33
2. 貨幣經濟의 發達과 租稅의 金納化 = 36
Ⅴ. 財務機關의 亂立과 收取體系의 昏亂 = 37
제3절 大院君 集權 이후 大韓帝國까지의 租稅制度 = 38
Ⅰ. 大院君의 租稅改革 = 38
1. 稅源의 擴大策 = 39
2. 洞布制와 戶布制의 實施 = 40
Ⅱ. 開港과 租稅制度의 變化 = 42
1. 歐美列强 및 日本帝國主義의 侵略政策과 開港 = 42
2. 對外貿易의 增大와 近代的 關稅制度의 導入 = 45
Ⅲ. 甲申政變과 稅制改革 = 51
Ⅳ. 東學革命과 租稅抵抗 = 54
1. 第1次 蜂起 = 54
2. 第2次 蜂起 = 56
3. 東學革命의 意義 = 57
Ⅴ. 甲午更張과 稅制改革 = 57
1. 甲午更張의 經過 = 57
2. 甲午更張의 歷史的 意義 = 61
3. 甲午更張의 改革方案 = 61
4. 甲午財政改革의 內容 = 64
5. 第3次 金弘集內閣의 成立과 租稅改革 = 73
6. 甲午改革以後의 豫算上의 租稅收入 = 76
Ⅵ. 獨立協會의 開化運動과 自由民權思想 = 78
Ⅶ. 大韓帝國과 光武改革 = 82
1. 大韓帝國의 國制 = 82
2. 光武年間의 改革 = 83
제4절 日本人 財政顧問期 이후 統監府治下의 租稅制度 = 85
Ⅰ. 財政顧問期의 租稅制度 = 85
1. 韓日協定書와 目賀田 財政顧問 = 85
2. 目賀田 財政顧問의 財政整備와 租稅改編 = 87
Ⅱ. 統監府治下의 租稅制度 = 96
1. 稅制의 改編 = 96
2. 地方稅制와 地方豫算制度의 導入 = 102
3. 豫算上의 租稅收入 = 105
4. 統監府治下의 財政實態 = 107
제5절 日帝治下의 租稅制度 = 115
Ⅰ. 初期(1910∼1919)의 租稅制度 = 116
1. 日帝의 植民地財政의 成立 = 116
2. 租稅의 改編과 租稅體系 = 118
3. 租稅收入構造의 變化 = 129
Ⅱ. 中期(1920∼1936)의 租稅制度 = 131
1. 財政의 膨脹 = 131
2. 稅制의 改編과 租稅體系 = 133
3. 租稅收入構造의 變化 = 137
Ⅲ. 末期(1937∼1945)의 租稅制度 = 138
1. 第二次世界大戰中의 財政 = 138
2. 稅制의 改編과 租稅體系 = 140
3. 租稅收入構造의 變化 = 144
제3장 近代國民國家制度의 基盤思想과 近代租稅制度의 基本思想
제1절 近代國民國家制度의 基盤思想 = 149
Ⅰ. 時代的 區分과 近代國家 = 149
Ⅱ. 近代化 및 近代國民國家의 槪念과 그 形成 = 154
1. 近代化의 槪念 = 154
2. 近代國民國家의 槪念과 그 形成 = 155
Ⅲ. 近代國民國家制度의 基盤思想 = 157
1. 理性論(合理論)과 經驗論 = 157
2. 自然法思想과 啓蒙思想 = 170
3. 自由放任主義 經濟思想 = 182
제2절 近代租稅制度의 基本思想 = 183
Ⅰ. 近代租稅制度의 成立 = 183
1. 英國의 近代租稅制度 = 184
2. 프랑스의 近代租稅制度 = 188
3. 美國의 近代租稅制度 = 190
4. 獨逸의 近代租稅制度 = 194
Ⅱ. 近代租稅制度의 基本思想 = 196
1. 租稅法律主義 = 198
2. 租稅公平主義 = 199
3. 經濟的 中立性 = 200
제4장 實學派의 實學思想과 租稅思想
제1절 實學思想 擡頭의 時代的 背景과 實學의 槪念 = 203
Ⅰ. 實學思想 擡頭의 時代的 背景 = 203
1. 三政의 紊亂 = 203
2. 實學思想의 擡頭 = 206
Ⅱ. 實學의 槪念 = 208
제2절 栗谷 李珥의 稅制改革思想 = 212
Ⅰ. 生涯와 著述 = 212
Ⅱ. 栗谷의 哲學思想 = 214
1. 宇宙觀(自然觀) = 214
2. 人性論(人間觀) = 226
3. 認識論 = 237
Ⅲ. 栗谷의 政治社會經濟思想 = 240
1. 王道政治와 民主主義(安民論) = 241
2. 經濟思想 = 244
3. 更張論과 安民時務策 = 246
4. 言論觀과 國是論 = 250
5. 善法一致論과 法制論 = 253
6. 平等思想 = 255
Ⅳ. 栗谷의 租稅에 관한 基本思想 = 257
1. 財政原則論 = 257
2. 三元體系 租稅觀과 大同法 思想 = 260
3. 租稅法律主義思想 = 261
4. 租稅公平主義 思想과 均役論 = 261
Ⅴ. 栗谷의 稅政改革論 = 262
1. 賦稅의 弊端과 그 改革案 = 262
2. 生財活民策 = 266
3. 貢案의 改正 = 267
4. 選上制度의 廢止 = 268
Ⅵ. 栗谷의 國防觀과 軍政改革論 = 268
1. 軍政原則論 = 268
2. 軍政의 弊端 = 269
3. 十萬養兵論 = 270
4. 軍政改革案 = 271
Ⅶ. 栗谷의 稅制改革思想 要約 = 272
제3절 磻溪 柳馨遠의 稅制改革 思想 = 274
Ⅰ. 生涯와 著述 = 274
Ⅱ. 磻溪의 哲學思想 = 276
1. 宇宙觀(自然觀) = 278
2. 人性論(人間觀) = 281
3. 認識論 = 285
Ⅲ. 磻溪의 政治社會經濟思想 = 285
1. 民本思想과 經濟思想 = 287
2. 平等思想 = 288
Ⅳ. 磻溪의 還政 改革論 = 292
Ⅴ. 磻溪의 田制改革案(公田法) = 293
1. 田制改革案으로서 公田法의 社會的 背景 = 293
2. 公田法의 意義 = 294
3. 公田法의 內容 = 295
4. 公田法의 問題點 = 302
Ⅵ. 磻溪의 租稅에 관한 基本思想 = 303
1. 財政原則論 = 303
2. 租稅體系論 = 309
3. 租稅法律主義 思想 = 311
4. 租稅公平主義 思想 = 312
5. 救濟節次論 = 313
6. 租稅의 金納化論 = 314
Ⅶ. 磻溪의 稅政改革論 = 315
1. 賦稅의 弊端과 그 改革案 = 315
2. 田稅의 稅率改革案(二十一稅制) = 317
3. 田分九等制의 改編案 = 318
4. 年分七等制의 改編案 = 319
5. 納稅節次의 改編案 = 320
Ⅷ. 磻溪의 貢物 및 進上의 革罷論 = 321
Ⅸ. 磻溪의 經濟發展論的 租稅政策論(商工業觀) = 324
Ⅹ. 磻溪의 軍政改革論 = 328
1. 役 내지 庸의 實相 = 328
2. 役 내지 庸에 대한 改革案 = 332
3. 兵制改革案 = 332
ⅩⅠ. 磻溪의 稅制改革思想 要約 = 333
제4절 星湖 李瀷의 稅制改革思想 = 335
Ⅰ1. 生涯와 著述 = 335
Ⅱ. 星湖의 哲學思想 = 338
1. 宇宙觀(自然觀) = 338
2. 人性論(人間觀) = 342
3. 認識論 = 354
4. 歷史觀 = 357
Ⅲ. 星湖의 政治社會 經濟思想 = 359
1. 王政論과 民本思想 = 360
2. 經濟思想 = 362
3. 時務論과 變法思想 및 法治主義의 思想 = 364
4. 平等思想 = 367
5. 重農主義와 士農合一觀 = 368
6. 商業觀과 貨幣觀 = 369
Ⅳ. 星湖의 還政改革論 = 372
Ⅴ. 星湖의 田制改革論(限田論) = 373
1. 大土地 兼倂의 弊害 = 374
2. 井田制論과 均田制論에 대한 批判 = 374
3. 土地所有觀 = 375
4. 限田論의 內容 = 375
5. 限田論의 問題點 = 376
6. 기타 土地改革案 = 377
Ⅵ. 星湖의 租稅에 관한 基本思想 = 379
1. 三元體系 租稅觀 = 379
2. 財政原則論 = 380
Ⅶ. 星湖의 稅政改革論 = 382
1. 賦稅의 弊端과 그 改革案 = 382
2. 田稅의 稅率改正案(什一稅制論) = 383
Ⅷ. 星湖의 國防觀과 軍政改革論 = 385
1. 國防觀과 兵農合一論 = 385
2. 均役論 = 385
3. 軍布廢止論 = 387
Ⅸ. 星湖의 稅制改革思想 要約 = 390
제5절 茶山 丁若鏞의 稅制改革思想 = 392
Ⅰ. 生涯와 著述 = 392
Ⅱ. 茶山의 哲學思想 = 396
1. 宇宙觀(自然觀) = 396
2. 人性論(人間觀) = 399
3. 認識論 = 407
4. 歷史觀 = 409
Ⅲ. 茶山의 政治社會 經濟思想 = 419
1. 牧民思想·民本思想과 理想國家論 = 413
2. 平等思想 = 416
Ⅳ. 茶山의 還政改革論 = 420
Ⅴ. 茶山의 田制改革案 = 422
1. 閭田制論 = 427
2. 井田制論 = 427
Ⅵ. 茶山의 租稅에 관한 基本思想 = 431
1. 租稅體系論 = 431
2. 稅政의 基本目標論
3. 財政의 原則論 = 433
4. 租稅公平主義 思想(平賦論) = 434
5. 賦稅免除愼重論 = 435
6. 根據課稅·課稅要件明確主義 및 納稅告知의 觀念 = 436
7. 租稅金納化論 = 437
8. 戶籍整備論 = 438
9. 吏胥와 鄕吏의 挾雜規制論 = 439
Ⅶ. 茶山의 收稅體制의 改編論 = 441
1. 田稅와 賦制의 二元化와 職貢擴大論 = 442
2. 人頭稅的 賦貢制의 改革論 = 445
Ⅷ. 茶山의 田稅改革案 = 449
1. 結負制를 頃畝制로의 改革論 = 449
2. 年分九等制의 革罷論 = 450
3. 稅率 改革論 = 451
4. 기타 改革案 = 455
Ⅸ. 茶山의 商工業政策과 稅源擴大論 = 456
1. 商業政策論 = 456
2. 鑛工業政策論 = 459
Ⅹ. 茶山의 國防觀과 軍政改革論 = 460
ⅩⅠ. 茶山의 稅制改革思想 要約 = 461
제5장 實學派의 稅制改革思想의 比較分析
제1절 實學派의 哲學思想의 比較分析 = 467
Ⅰ. 實學派의 哲學思想의 分析틀 = 467
Ⅱ. 宇宙觀(自然觀)의 比較分析 = 471
1. 栗谷의 宇宙觀 = 471
2. 磻溪의 宇宙觀 = 473
3. 星湖◆UFFFD◆l 宇宙觀 = 475
4. 茶山의 宇宙觀 = 476
5. 宇宙觀의 比較分析表 = 477
Ⅲ. 人間觀(人性論)의 比較分析 = 479
1. 栗谷의 人間觀 = 479
2. 磻溪의 人間觀 = 481
3. 星湖의 人間觀 = 482
4. 茶山의 人間觀 = 486
5. 人間觀의 比較分析表 = 488
Ⅳ. 認識論의 比較分析 = 490
1. 栗谷의 認識論 = 490
2. 磻溪의 認識論 = 491
3. 星湖의 認識論 = 491
4. 茶山의 認識論 = 493
5. 認識論의 比較分析表 = 495
제2절 實學派의 稅制改革思想의 比較分析 = 496
Ⅰ. 租稅改革思想의 分析틀 = 496
Ⅱ. 實學派의 法哲學의 比較分析 = 496
1. 栗谷의 法哲學 = 496
2. 磻溪의 法哲學 = 497
3. 星湖의 法哲學 = 497
4. 茶山의 法哲學 = 498
5. 實學派의 法哲學의 比較分析表 = 498
Ⅲ. 實學派가 구상한 財政 및 租稅制度 內容의 比較分析 = 499
1. 栗谷이 구상한 財政 및 租稅制度의 內容 = 499
2. 磻溪가 구상한 財政 및 租稅制度의 內容 = 501
3. 星湖가 구상한 財政 및 租稅制度의 內容 = 505
4. 茶山이 구상한 財政 및 租稅制度의 內容 = 507
5. 實學派가 구상한 財政 및 租稅制度 內容의 比較分析表 = 512
Ⅳ. 實學派의 租稅思想의 比較分析 = 514
1. 栗谷의 租稅思想 = 514
2. 磻溪의 租稅思想 = 515
3. 星湖의 租稅思想 = 516
4. 茶山의 租稅思想 = 516
5. 實學者들의 租稅思想의 比較分析表 = 517
제6장 實學思想이 韓國租稅制度 近代化에 미친 影響
제1절 實學思想이 租稅制度改革에 미친 影響 = 522
Ⅰ. 大同法 = 523
Ⅱ. 均役法 = 523
Ⅲ. 通共政策과 租稅의 金納化 = 524
1. 通共政策 = 524
2. 租稅의 金納化 = 524
Ⅳ. 甲申政變과 租稅改革 = 525
Ⅴ. 東學革命과 租稅抵抗 = 526
Ⅵ. 甲午更張과 租稅改革 = 526
Ⅶ. 獨立協會의 開化運動 = 527
Ⅷ. 三·一 獨立運動과 大韓民國 臨時政府의 憲法 = 527
Ⅸ. 大韓民國의 建國과 近代租稅制度의 導入 = 530
제2절 近代國民國家制度의 基盤思想과 實學思想의 對比 = 531
Ⅰ. 理性論 및 經驗論哲學과 茶山의 認識論 哲學 = 532
Ⅱ. 自然法思想 및 啓蒙思想과 茶山의 實學思想 = 535
1. 自然法思想과 茶山의 實學思想 = 535
2. 啓蒙思想과 茶山의 實學思想 = 536
제3절 近代租稅制度의 基本思想과 實學者들의 租稅思想 = 540
Ⅰ. 租稅法律主義 = 541
Ⅱ. 租稅公平主義 = 543
Ⅲ. 經濟的 中立性 = 544
제4절 結論 : 韓國租稅制度 近代化의 思想的 淵源 = 545
參考文獻 = 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