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의 말 = 1
제1장 음성(Sound)
1. 1 음성학과 음운론 = 1
1. 2 인간의 음성 = 1
1. 3 성대 = 3
1. 4 성도 = 5
1. 5 말소리 음성의 종류 = 7
1. 6 공기 흐름의 작용 = 12
1. 7 에네르기(Energy), 진동(Vibration), 매체(Medium) = 13
1. 8 요약 = 15
제2장 자음의 발음(The Production of Consonants)
2. 1 자음의 발음 = 17
2. 2 자음성 자질 = 17
2. 2. 1 성대활동의 차이점 = 18
2. 2. 2 혀 모양에 있어서의 차이점 = 19
2. 2. 3 조음점에 있어서의 차이점 = 20
2. 2. 4 조음기관에 있어서의 차이점 = 20
2. 2. 5 조음방법에 있어서의 차이점 = 23
2. 3 저해음 = 24
2. 3. 1 폐쇄음 = 25
2. 3. 2 마찰음 = 26
2. 3. 3 파찰음 = 29
2. 4 공명음 = 30
2. 4. 1 비음 = 30
2. 4. 2 유음 = 32
2. 4. 2. 1 유성치경 설측 접근음 = 33
2. 4. 2. 2 유성치경 중앙 접근음 = 34
2. 4. 3 인두음 = 35
2. 4. 4 과도음 = 36
2. 4. 5 2차조음 = 36
2. 4. 6 요약 = 37
제3장 모음의 발음(The Production of Vowels)
3. 1 기본모음 = 43
3. 2 중모음과 중설모음 = 47
3. 3 긴장모음과 이완모음 = 48
3. 4 2차모음 = 49
3. 5 이중모음 = 50
3. 6 모음에 대한 2치자질 = 51
3. 7 모음 음가의 변별표기 = 53
3. 8 요약 = 54
제4장 변별자질 이론
4. 1 변별자질에 대한 필요성 = 57
4. 1. 1 2치적 자질과 다치적 자질 = 58
4. 1. 2 자질과 자연부류 = 59
4. 2 변별대립 이론 = 61
4. 2. 1 양면적, 다면적, 비례적, 고립적대립 = 62
4. 2. 2 유무적, 등차적, 등치적대립 = 62
4. 3 Jakobson의 변별자질 이론 = 64
4. 3. 1 조음 대 음향적 자질 = 64
4. 3. 2 주요부류자질 = 66
4. 3. 3 모음의 변별적 자질 = 67
4. 3. 4 자음의 변별적 자질 = 69
4. 3. 5 2차적 조음 = 72
4. 4 변별적 자질의 SPE의 체계 = 73
4. 4. 1 주요부류 자질 = 74
4. 4. 2 강자질 = 75
4. 4. 3 설체자질 = 76
4. 4. 4 설근자질 = 77
4. 4. 5 후두자질 = 78
4. 4. 6 방법자질 = 79
4. 4. 7 운율자질 = 81
4. 5 음운론적인 소항(Phonological Primes) = 85
4. 5. 1 자질인론 = 85
4. 5. 2 주요부류자질 = 85
4. 5. 3 모음과 자음에 대한 일차 배치자질 = 88
4. 5. 4 설체자질 = 89
4. 5. 5 원순음자질 = 91
4. 5. 6 자음과 고음, 후설음자질 = 91
4. 5. 7 자질과 2차조음 = 91
4. 5. 8 조음점 자질 = 92
4. 5. 9 조음방법 자질 = 93
4. 5. 10 유성과 긴장 자질 = 94
4. 6 요약 = 95
제5장 음운 분석(Phonological Analysis)
5. 1 분절음 = 99
5. 1. 1 음성 분절음 = 100
5. 1. 2 음운 분절음 = 100
5. 1. 3 음성과 음운표시의 단계 = 102
5. 2 음운(음소)의 정의 = 103
5. 2. 1 음성적 실재로서의 음운 = 103
5. 2. 2 음운론적 실재로서의 음운 = 105
5. 2. 3 심리적 실재로서의 음운 = 105
5. 2. 4 음운론적 자질로서의 음운 = 106
5. 3 변별력(Distinctiveness) = 107
5. 3. 1 음운과 변이음 = 107
5. 3. 2 최소의 쌍 분석 = 108
5. 3. 3 상보적 분포 = 109
5. 3. 4 잉여성과 변별성 = 110
5. 3. 5 음성적 유사성 = 112
5. 3. 6 자유 변이형 = 113
5. 3. 7 음운적 중복 = 113
5. 3. 8 쌍방향 단일성 조건 = 114
5. 3. 9 중화 = 116
5. 4 음운 배열론(Phonotactics) = 117
5. 4. 1 음운 연속제약 = 118
5. 4. 1. 1 어두위치 = 118
5. 4. 1. 2 어중위치 = 119
5. 4. 1. 3 어말위치 = 120
5. 5 음운론적 공백(Phonological Gap) = 121
5. 5. 1 우연한 공백 = 122
5. 6 발견 절차와 평가 절차(Discovery Procedure and Evalnation Procedure) = 122
5. 6. 1 발견 절차 = 122
5. 6. 2 평가 절차 = 123
5. 7 음운론의 문법적인 선행조건 = 127
5. 8 형태 음소론 = 129
5. 9 체계적인 음소론 = 130
제6장 음운론적인 규칙(Phonological Ruls)
6. 1. 1 음운 규칙이란? = 139
6. 1. 2 음운 규칙의 형식화 = 140
6. 1. 3 음운론적 영역 = 140
6. 2 축약 규약 = 141
6. 2. 1 소괄호 표기 = 142
6. 2. 2 중괄호 표기 = 144
6. 2. 3 직각괄호 표기 = 146
6. 2. 4 경상표기 = 147
6. 2. 5 변수표기 = 148
6. 3 규칙순서 = 150
6. 4 적용순서의 관계 = 152
6. 5 반복규칙 = 153
6. 6 요약 = 154
제7장 음운론적 과정(Phonological Processes)
7. 1 동화와 이화 = 159
7. 1. 1 직접과 인접 = 159
7. 1. 2 음향적 동화 = 160
7. 1. 3 비음동화 = 162
7. 1. 4 마찰음 동화 = 162
7. 1. 5 모음간 유성화 = 163
7. 1. 6 모음간 약화 = 164
7. 1. 7 모음동화 = 165
7. 1. 8 이화 = 166
7. 2 전체분절음 과정 = 167
7. 2. 1 삽입(Insertion) = 167
7. 2. 1. 1 어중음 첨가 = 167
7. 2. 1. 2 어두음 첨가 = 168
7. 2. 1. 3 모음의 어중첨가 = 168
7. 2. 2 탈락(Deletion) = 171
7. 2. 2. 1 어두음 소실 = 172
7. 2. 2. 2 어중음 소실 = 172
7. 2. 2. 3 어미음 소실 = 172
7. 2. 3 재순서 = 173
7. 2. 3. 1 음위 전환 = 173
7. 2. 3. 2 음의 분열 = 174
7. 2. 3. 3 'r'음의 전환 = 174
7. 3 요약 = 174
제8장 음절(The Syllable)
8. 1 음절(syllable) = 179
8. 2 음절구조 표시 = 179
8. 2. 1 음절의 선형적 분석 = 181
8. 2 .2 음절의 비선형적 분석 = 183
8. 2. 3 자모충 = 185
8. 2. 3. 1 CV-이론의 음절화 원칙 = 186
8. 2. 3. 2 음절변형 = 189
8. 2. 3. 3 음절의 기능 = 190
8. 2. 3. 4 기본 음운배열적 단위로서 음절 = 190
8. 2. 3. 5 공명도의 절정 = 193
8. 2. 3. 6 음절성 자음 = 194
8. 2. 3. 7 약음절 모음 = 196
8. 3 음운규칙의 영역으로서 음절 = 197
8. 4 음절의 가중치 = 200
8. 4. 1 라틴 강세 규칙 = 203
8. 4. 2 음절과 복잡한 음절구조 = 206
8. 5 요약 = 208
제9장 자연성(Naturalnees)
9. 1 음운론적인 자연성 = 211
9. 2 자연부류 = 212
9. 3 자연 분절음 = 214
9. 4 유표성(markednees) = 215
9. 4. 1 보편적 유표성 = 215
9. 4. 2 생성 음운론에 있어서 유표성 = 217
9. 4. 3 자연체계 = 219
9. 4. 3. 1 자연스러운 모음 체계 = 219
9. 4. 3. 2 자연스러운 자음 체계 = 220
9. 5 자연 음운론 = 220
9. 6 요약 = 223
제10장 초분절 음운론(Suprasegmental Phonology)
10. 1 강세(stress) = 227
10. 1. 1 강세란 무엇인가? = 227
10. 1. 2 변형 순환의 강세이론 = 231
10. 1. 3 운율 음운론 = 234
10. 1. 4 운율 수형과 격자 = 238
10. 1. 5 말 강세 규칙 = 240
10. 1. 6 강세 이동 규칙 = 242
10. 2 음조(Tone) = 244
10. 2. 1 음조 표시 = 246
10. 2. 1. 1 억양 음조 = 247
10. 2. 1. 2 음조 상재성 = 251
10. 2. 1. 3 선율 단계들 = 252
10. 2. 1. 4 자립분절적 표기 = 253
10. 3 억양(Intonation) = 254
10. 3. 1 영어 억양의 형 = 255
10. 4 요약 = 260
제11장 형태론과 음운론(Morphonology and Phonology)
11. 1 형태론 = 263
11. 2 자립형태소와 의존형태소 = 264
11. 3 형태소 부류 = 264
11. 4 형태론적 과정 = 266
11. 4. 1 접사 첨가 = 266
11. 4. 2 중복 = 266
11. 4. 3 어간 표기 변경 = 267
11. 4. 4 복합 = 268
11. 5 어휘목록과 음운론간의 상호관계 = 268
11. 6 이 형태소 = 271
11. 7 자음군과 문법적인 접미사들 = 273
11. 8 형태소 변이형 = 274
11. 8. 1 중립 접미사 = 275
11. 8. 2 자음과 설측음/L/간 /$$\partial $$/삽입 = 276
11. 8. 3 자음과 /m/간 /$$\partial $$/삽입 = 277
11. 8. 4 자음과 공명성 자음간 /$$\partial $$/삽입 = 277
11. 8. 5 비음/n/탈락 = 277
11. 8. 6 음성 어간 = 278
11. 8. 7 음운론적으로 조건지어진 것과 형태론적으로 조건지어진 것 = 279
11. 9 요약 = 281
제12장 기저 표시의 추상성(The Abstractness of Underlying Representation)
12. 1 추상성 = 287
12. 2 구체적인 음운론 = 291
12. 3 절대 중화 = 300
12. 4 추상적인 분절음들 = 306
12. 5 이론 제약 = 314
12. 6 요약 = 324
제13장 의존관계(Dependency Relation)
13. 1 의존의 개념 = 329
13. 2 내부 분절적 의존 = 332
13. 3 의존구조에서 모음성 과정 = 338
13. 4 자음구조 : 범주의 거동 = 341
13. 5 조음적인 거동 = 344
13. 6 초보적인 거동 = 350
13. 7 재방문 연음화 = 352
13. 8 요약 = 354
제14장 어휘 음운론(Lexical phonology)
14. 1 어휘 음운론의 배경 = 357
14. 2 어휘목록 = 358
14. 3 괄호 삭제 축약 = 365
14. 4 어휘 음운론의 1단계 = 366
14. 5 어휘 음운론의 2단계 = 377
14. 6 여타경우 조건 = 379
14. 7 접사의 순서 = 382
14. 8 엄격순환 조건 = 384
14. 8. 1 순환과 비순환 계층 = 385
14. 8. 2 엄격순환과 여타조건: 원안 = 388
14. 8. 3 새 제의 = 389
14. 9 후-어휘적 규칙들 = 392
14. 10 요약 = 397
참고문헌 = 401
연습문제 해답 = 407
찾아보기 = 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