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노인의학의 일반적 원칙(GENERAL PRINCIPLES OF GERIATRICS)
제1장 노인의학의 소개(Introduction to Geriatrics) = 1
노인의학이란 어떠한 학문인가? = 1
노인의학이 대두된 배경 = 2
노년과 노인의 정의 = 3
노인의학의 기술학 = 4
영국의 노인의학 발달과정 = 6
1. 20세기 이전의 발달과정 = 6
2. 20세기 전반기의 발달과정 = 6
3. 1960년대의 지방 일반 병원 = 7
4. 급성 노인의학 서어비스 = 8
1) 선택적 의뢰 = 8
2) 연령과 관련된 서어비스 = 8
3) 통합 서어비스 = 8
5. 요약 = 9
미국의 노인의학 발달과정 = 9
1. 1900년까지의 발달과정 = 9
2. 사회보장에서 고령구호의료 = 10
1) 장기진료소 산업의 상승 = 10
2) 병원과 노인의학적 재활 = 11
3. 노인구호의료와 빈민구호의 초기 20년 = 11
1) 병원에 대한 의료비 적용 = 11
2) 의사 = 11
3) 가정진료 = 11
4) 장기진료소 = 11
4. 1980년대:포괄적 서어비스를 향하여 = 13
1) 서어비스 혁신 = 13
2) 연구 = 17
3) 교육과 수련 = 17
5. 요약 = 18
제2장 노화(Aging) = 21
노화의 임상적 의의 = 21
1. 노화의 정의와 특징 = 21
2. 노화의 임상적 의의 = 22
1) 노화와 환자 진료 = 22
2) 노인의학적 문제들의 분류 = 23
노화에 관한 학설 = 24
1. 노화예정론 = 25
2. 체세포 돌연변이와 과오 학설 = 25
3. 소모 학설 = 26
4. 축적 학설 = 26
5. 교차결합 학설 = 26
6. 유리기 학설 = 26
7. 면역학적 학설 = 26
조직과 기관의 노화 = 27
1. 신체계측의 변화 = 27
1) 신장 = 28
2) 체중 = 28
3) 체구획 = 28
2. 연령에 따른 기관의 변화 = 29
1) 피부 = 29
2) 근골격계 = 29
3) 신경계 = 30
4) 감각계 = 32
5) 심혈관계 = 34
6) 호흡기계 = 34
7) 소화기계 = 35
8) 비뇨기계 = 37
9) 생식기계 = 37
10) 내분비계 = 39
제3장 노인의 인구통계학 및 역학(Demographics and Epidemiology) = 41
세계의 인구통계학적 추세 = 41
1. 인간수명의 세기 = 41
2. 노인인구의 성잘률은 개발도상국에서 더욱 현저하다 = 42
3. 인구 노화의 속도는 아주 빠르다 = 42
4. 출생률이 인구의 노화를 결정한다 = 42
5. 높은 연령의 노인 인구가 더욱 증가한다 = 43
6. 도시화현상이 세계 인구학적 변화를 주도한다 = 43
7. 여성 노인에게 주로 집중된 건강 관심 = 44
8. 출생시에 60세의 기대수명이라는 세계적 목표는 실현되고 있다 = 44
9. 일본은 출생시에 가장 높은 기대수명을 가지고 있다 = 44
10. 65세에서의 평균 예상여명의 증가는 출생시의 그것을 능가한다. = 45
11. 3대 주요 사망원인 : 암, 심장병, 뇌혈관 질환 = 46
12. 사망률의 현저한 감소 = 46
우리나라 노인의 인구통계학 및 역학 = 47
1. 평균수명과 노인인구 구성비 = 47
2. 사망의 원인 = 48
3. 노인의 역학적 특성 = 51
1) 흔한 건강문제의 유병률 = 51
2) 기능적 장애 = 51
3) 정신적 건강 = 53
4) 의료 서어비스의 이용 = 54
5) 생활 상태와 방식 = 54
6) 기본적인 인구통계학 = 55
제4장 노인병의 특징과 형태(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Geriatric Diseases) = 57
노인병의 특징 = 57
1. 노인에서의 질병행태 = 57
1) 건강상태의 개인적 평가의 문제점 = 57
2) 비표현과 증상의 과소보고 = 58
2. 질병의 행태 = 58
1) 다발성 병리 = 58
2) 비전형적 표현 = 59
3) 노인에게 흔한 질병들 = 60
4) 의원성 질환 = 61
노인병의 형태 = 61
1. 질환의 복잡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 62
2. 질병의 상호관계 = 62
1) 질병의 표현이 감추어져 있다 = 62
2) 질병의 표현이 다르다 = 63
3) 질병에 대한 치료방법이 바뀌어야 하다 = 63
4) 질병들이 다른 질병의 병리학적 상태를 악화시킨다 = 63
5) 질병의 증상이 다른 질병과 유사하게 나타난다 = 64
6) 질병들이 폭포상 효과를 초래한다 = 64
7) 질병들이 자가양육적이고 순환적이다 = 65
제5장 노인환자의 평가(Evalution of the Elderly) = 69
노인환자의 평가 = 69
병력 청취 = 70
이학적 검사 = 73
검사실 평가 = 76
기능적 평가 = 78
환경적 평가 = 82
수술전 평가 = 84
제6장 약물치료(Drug Therapy) = 87
노인에서의 약리학 = 87
1. 약동학의 변화 = 88
1) 약물의 흡수 = 88
2) 약물의 분포 = 88
3) 약물의 대사 = 89
4) 약물의 배출 = 90
2. 약력학의 변화 = 90
3. 약물의 혈중농도 = 95
1) 혈중 농도와 약물의 반응과의 상관관계 = 95
2) 약물의 반감기와 안정상태 = 97
3) 용량의 변화가 혈중 농도에 미치는 영향 = 97
약물의 상호작용 = 98
다약복용 = 101
1. 다약복용의 원인 = 101
2. 다약복용을 감소시키는 전략 = 102
노인의 약물처방 = 103
1. 약물처방의 문제점 = 103
1) P.R.N.(pro re nata)처방의 남용 = 103
2) 불필요한 처방 = 103
3) 반복처방 = 103
4) 반사적 처방 = 103
5) 용량미달 = 103
6) 약을 제때에 끊지 못하는 것 = 104
7) 약동학 변화에 대한 조정실패 = 104
약물치료의 전략8단계 = 104
1. 질병의 근본원인 확인 = 105
2. 비약물적 치료방법 고려 = 106
3. 초기 투여약물선택 = 106
1) 약의 효능 = 106
2) 부작용 발생가능성이 높은 환자인가 = 107
3) 약물의 부작용 = 107
4) 약물 부작용과 환자 상태의 대조 = 108
4. 초기 용량결정 = 108
5. 용량의 적정화 = 109
6. 약물추가 = 109
7. 약물 감시 = 109
8. 치료기간 결정 = 110
제7장 건강증진과 질병예방(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 113
예방의 목적과 종류 = 113
일차 예방 = 114
1. 상담 = 114
2. 예방접종 = 118
3. 화학예방법 = 119
이차 예방 = 119
삼차 예방 = 120
제8장 재활(Rehabilitation) = 123
장애의 정의 = 123
장애의 인구통계학 = 124
재활의 원칙 = 124
1. 재활의 구성요소 = 124
2. 재활에서의 팀 = 125
재활과 노인환자의 특별한 측면 = 127
1. 환자의 차이 = 127
1) 연령과 관련된 변화 = 128
2) 질병과 관련된 변화 = 128
3) 의료인의 차이 = 129
4) 환경의 차이 = 130
5) 목표의 차이 = 131
2. 노인환자에 대한 재활 기술 = 131
1) 여러 의료기관에서의 재활 = 131
2) 재활 가능성의 평가 = 133
3. 흔한 노인성 질환의 재활 = 133
1) 뇌졸중 = 133
2) 고관절 골절 = 135
3) 절단 = 136
4) 관절염 = 137
5) 파킨슨병 = 138
6) 탈조건화와 거동장애 = 138
7) 기타 질환 = 138
제9장 노인의학에서의 팀워크(Teamwork in Geriatrics) = 141
정의 = 141
노인환자 진료에서의 팀워크 = 142
노인의학 팀의 활동 장소 및 기관 = 143
팀의 구성원 = 144
노인의학 팀의 목표와 목적 = 145
노인의학 팀의 임무와 역할 = 145
지도력과 의사결정 = 146
팀의 발전과 유지 = 147
팀워크의 장애 = 148
노인의학 팀과 교육 = 149
노인의학 팀의 프로그램 평가 = 149
제10장 장기의료(Long-Term care) = 151
장기의료의 스펙트럼 = 152
장기의료 프로그램 = 152
1. 장기진료소 진료 = 152
1) 장기진료소에서의 진료 목표 = 153
2) 장기진료소에서의 진료시 임상적 특징 = 155
3) 장기진료소와 일반 병원과의 관계 = 155
2. 가정진료 = 156
3. 주간진료 = 157
4. 호스피스 진료 = 158
5. 임시진료 = 159
6. 노인주택 서어비스 = 159
7. 기타 장기의료 프로그램 = 159
사례관리 = 160
제2부 노인에서 흔한 건강문제 (COMMON HEALTH PROBLEMS IN THE ELDERLY)
제11장 영양(Nutrition) = 163
연령이 영양소의 요구와 섭취에 미치는 영향 = 164
1. 에너지 = 164
2. 지방 = 166
3. 탄수화물 = 166
4. 섬유 = 166
5. 단백질 = 167
6. 비타민 = 168
1) 지용성 비타민 = 168
2) 수용성 비타민 = 168
7. 무기질 = 170
영양의 평가 = 172
1. 병력 = 173
2. 이학적 검사 = 174
3. 영양의 기능적 평가 = 176
4. 검사실 평가 = 178
5. 영양실조 = 180
6. 비만 = 180
노인들에 대한 영양 상담 = 182
제12장 운동(Exercise) = 185
운동과 노화 = 186
노인들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 검토 = 189
제13장 착란(Confusion) = 193
착란의 정의 = 193
착란의 감별진단 = 194
1. 섬망 = 195
2. 치매 = 198
1) 가역적 원인 = 198
2) 일차적 퇴행성 치매 = 202
3) 다발성-뇌경색성 치매 = 203
4) 신경학적 질환 = 204
3. 건망증후군과 양성 노인성 건망증 = 204
평가 = 204
치료 = 208
제14장 실금(Incontinence) = 211
정상배뇨 = 212
실금의 원인과 종류 = 214
1. 근본적인 원인 = 214
2. 급성(가역성)요실금과 지속성 요실금 = 215
요실금의 평가 = 218
치료 = 223
1. 약물치료 = 227
2. 행동중심적 훈령방법 = 229
3. 수술 = 232
4. 카테터와 카테터 관리 = 233
분실금 = 234
제15장 불안정성과 낙상(Instability & Falls) = 239
노화와 불안정성 = 240
노인에서 낙상의 원인 = 241
낙상하는 노인환자의 평가 = 244
치료 = 246
제16장 거동불능(Immobility) = 253
원인 = 253
합병증 = 254
거동불능 환자의 평가 = 255
거동불능 노인환자의 치료 = 256
1. 관절염 = 257
2. 골다공증 = 260
3. 고관절 골절 = 263
4. 파킨슨병 = 264
5. 뇌졸중 = 266
6. 욕창 = 267
제17장 생명령 감퇴(Decreased Vitality) = 271
내분비 질환 = 271
1. 탄수화물 대사 = 271
2. 갑상선 = 273
1) 갑상선기능저하증 = 273
2) 점액부종 혼수 = 275
3) 갑상선기능항진증 = 275
4) 갑상선종과 갑상선암 = 276
3. 부갑상선기능항진증 = 276
4. 바소프레신 분비 = 277
5. 이소성 호르몬증후군 = 277
6. 의인성 내분비질환 = 277
7. 동화호르몬 = 277
빈혈 = 278
1. 철결핍 = 278
2. 만성질환 = 279
3. 철적모구성 빈혈 = 279
4. 비타민 B12과 엽산 결핍 = 280
영양 = 280
1. 비타민, 단백질, 칼슘 = 281
2. 영양 결핍과 생리적 장애 = 281
3. 보충에 의한 결핍의 상환 = 281
4. 칼로리 요구량 = 282
5. 식품 섭취의 제한과 식품 첨가물 = 282
운동 = 282
감염 = 282
제18장 감각장애(Sensory Impairment) = 287
시각 = 287
1. 생리적 및 기능적 변화 = 287
2. 실명 = 288
1) 노인성 백내장 = 289
2) 녹내장 = 290
3) 연령과 관련된 황반변성 = 290
4) 당뇨병성 망막병증 = 291
3. 일반적인 인자들 = 291
청각 = 291
1. 청력계 = 292
2. 평가 = 293
3. 노화에 따른 변화 = 294
4. 감수성 = 295
5. 언어 = 295
6. 음량 = 295
7. 국지화 = 295
8. 이명 = 295
9. 다른 청각장애 = 296
10. 청력 재활 = 296
미각 = 297
제19장 온도조절장애(Disorders of Temperature Regulation) = 299
병태생리 = 299
저체온증 = 299
고체온증 = 301
제20장 수면장애(Sleep Disorders) = 305
수면과 노화 = 305
1. 수면의 형태와 연령 = 305
2. 수면 기록법 = 306
3. 수면의 단계 = 306
4. 수면의 주기 = 307
5. 연령과 관련된 수면 형태 = 308
평가방법 = 308
1. 수면 장해와 임상적 평가 = 309
1) 수면력 = 309
2) 병력 = 310
3) 약물력 = 311
4) 정신과력 = 311
2. 수면장애의 실험실 검사 = 312
1) 수면성 무호흡 = 312
2) 기민증 = 313
3) 하지불안증후군과 야간성 간대성 근경련 = 313
4) 반응소실증 = 313
수면장애와 치료 = 314
1. 야간성 착란발작 = 314
2. 약물로 인한 수면 - 각성 장애 = 314
3. 하지불안증후군과 야간성 간대성 근경련 = 316
수면 질환과 치료 = 316
1. 불면증 = 316
2. 수면성 무호흡 = 318
3. 기민증 = 320
4. 반응소실증 = 322
야간뇨와 야간 뇨실금(야뇨증) = 322
요약 = 322
제3부 신체계통별 노인성질환(GERIATRIC DISEASES IN ORGAN SYSTEMS)
제21장 심혈과 질환(Cardiovascular Disorders) = 325
고혈압 = 325
1. 역학 = 325
2. 병태 생리 = 326
3. 치료 효과의 평가 = 326
1) 수축기 - 확장기 고혈압의 치료 = 326
2) 단독 수축기 고혈압의 치료 = 327
3) 뇌혈관과 심혈관 질환에 대한 치료의 영향 = 328
4. 진단적 검사 = 328
5. 항고혈압 치료의 부작용 = 329
6. 치료 = 329
실신과 기립성 저혈압 = 332
1. 병리 생리 = 333
2. 실신의 원인 = 333
3. 검사 = 336
4. 치료 = 337
말초혈관 질환 = 338
정맥질환 = 339
1. 표재성 정맥부전 = 339
2. 심부 정맥부전 = 339
관상 동맥 질환 = 340
판막성 심질환 = 343
울혈성 심부전 = 347
제22장 호흡기 질환(Respiratory Disorders) = 353
만성 폐쇄성 폐질환 = 353
1. 폐쇄성 폐질환의 치료 = 354
2. 폐재활 = 356
만성 기침의 평가 = 357
흡인 = 358
정맥성 혈전색전증의 예방 = 358
수면무호흡 = 359
제23장 위장관 질환(Gastrointestinal Disorders) = 363
구강질환 = 363
1. 치아질환 = 363
2. 치주질환 = 364
3. 구강점막 질환 = 365
4. 타액선(침샘) 질환 = 365
5. 구강의 감각성 지환 = 366
6. 구강의 운동성 질환 = 366
식도 질환 = 367
1. 구인두성 연하곤란증 = 368
2. 식도성 연하곤란증 = 368
3. 위식도 역류 = 369
소화성궤양 질환 = 370
급성 위장관 출혈 = 372
잠재성 출혈 = 373
위축성 위염 = 374
위배출의 변화 = 374
설사 = 374
흡수장애 = 375
변비 = 376
장축염전증 = 377
가성폐색 증후군 = 377
치핵 = 377
염증성 장질환 = 378
간담도계 질환 = 379
담도계 질환 = 379
급성 복증 = 380
제24장 근골격 질환(Musculoskeletal Disorders) = 383
류마티스 증상의 평가 = 383
골관절염 = 386
류마티스양 관절염 = 388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통 = 388
전신성 홍반성 낭창 = 389
칼슘피로인산염 침착질환 = 390
통풍(GOUT) = 390
견관절질환 = 391
1. 회전근개건염/견봉하 점액낭염 = 392
2. 회전근개 파열 = 393
3. 이두근 건염 = 393
4. 동결견 = 393
전자낭염 = 394
요통 = 395
요추협착증 = 395
경추증 = 397
1. 경수병증 = 397
2. 경추 신경근병증 = 397
3. 경추 추간판 탈출증 = 398
족부 장애 = 398
1. 외골증 = 398
2. 중족골통 = 399
3. 발꿈치 통증 = 400
4. 기타장애 = 401
제25장 내분비와 대사성 질환(Endocrine and Metabolic Disorders) = 403
갑상선 기능과 질병 = 403
1. 갑상선기능항진증 = 403
2. 갑상선기능저하증 = 405
3. 갑상선 결절과 암 = 406
4. 비갑상선질환 = 407
탄수화물 내인성장애와 당뇨병 = 408
1. 탄수화물 내인성장애의 생리 = 408
2. 당뇨병 = 408
고칼슘혈증 = 410
1. 암에 의한 고칼슘혈증 = 411
2. 원발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 411
골의 파제트병 = 413
1. 원인 = 413
2. 병리 = 413
3. 임상적 특성과 합병증 = 413
4. 진단 = 414
5. 치료 = 414
제26장 감염성 질환(Infectious Diseases) = 417
숙주의 방어기능 = 417
진단방법 = 417
패혈증 = 418
폐결핵 = 419
요로감염 = 421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CBP) = 422
복강내감염 = 423
1. 충수돌기염 = 423
2. 담낭염 = 423
3. 게실염 = 423
감염성 심내막염 = 424
뇌막염 = 424
관절 감염 = 425
1. 자연적 관절감염 = 425
2. 보조기 관절감염 = 425
피부 감염 = 426
1. 단독 = 426
2. 봉와직염 = 426
대상포진 = 427
예방접종 = 427
제27장 신경학적 질환(neurologic Disorders) = 431
뇌혈관 질환 = 431
1. 경동맥과 대뇌동맥 = 432
1) 일과성 허혈의 평가 = 433
2) 일과성 허혈의 치료 = 433
3) 혈전성 뇌졸중 = 434
2. 소혈관 뇌경색 = 435
3. 색전증 = 435
4. 출혈성 뇌졸중 = 436
5. 뇌졸중의 예후와 재활 = 436
경련성 질환 = 437
1. 평가 = 438
2. 치료 = 438
만성 다발성신경병증 = 440
어지러움증과 보행장애 = 441
1. 비현훈성 증후군 = 441
2. 현훈성 증후군 = 442
1) 전정 신경염 = 443
2) 양성 체위성 현훈 = 443
3) 메니에르 증후군 = 443
운동장애 = 443
1. 진전 = 444
2. 파킨슨병 = 444
1) 병리 및 병인 = 444
2) 임상적 징후 = 444
3) 치료 = 444
3. 파킨슨병과 유사한 질환들 = 446
4.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운동장애 = 446
제28장 신 질환(Renal Diseases) = 449
기능적 변화의 임상적 의의 = 449
1. 용적부족 = 449
2. 저나트륨혈증 = 450
3. 고나트륨혈증 = 451
4. 칼륨항상성 = 452
신질환의 임상적 표현 = 452
1. 혈뇨 = 452
2. 단백뇨 = 453
신장의 특이질환 = 453
1. 혈관성질환 = 453
2. 사구체질환 = 454
1) 급성사구체신염 = 455
2) 신증후군 = 455
신부전의 다른 원인들 = 456
1. 전신성 질소혈증 = 456
2. 신실질질환 = 457
3. 급성 내인성신부전 = 457
1) 조영제유발성 신질환 = 458
2) 약물유발성 급성 신부전 = 458
3) 횡문근융해증 = 459
4) 폐쇄성 요로병증 = 460
4. 양성 전립선비대증 = 460
만성 신부전 = 461
말기 신질환 = 461
제29장 혈액학적 질환(Hematologic Disorders) = 465
빈혈 = 465
1. 빈혈의 평가 = 466
2. 저증식성 빈혈 = 467
3. 효과없는 적혈구 조혈 = 469
4. 용혈성 빈혈 = 470
백혈구 질환 = 470
출혈성 질환 = 472
1. 혈소판감소증 = 472
2. 출혈을 유발하는 기능적 혈소판 이상 = 473
후천적 응고질환 = 474
1. 비타민 K결핍 = 474
2. 간장질환 = 474
3. 파종성 혈관내 응고 = 474
4. 응고 억제인자 = 475
제30장 종양학적 질환(Oncologic Disorders) = 477
종양과 노화의 생물학 = 477
암의 치료 = 478
1. 새로운 세포독성 약물 = 479
2. 조혈 성장인자 = 479
3. 호르몬제 = 480
4. 암표식자 = 480
5. 특수한 양식의 암치료 = 480
암의 종류에 따른 치료 = 480
1. 유암 = 480
2. 비뇨생식기암 = 481
1) 전립선암 = 481
2) 방광암 = 482
3. 위장관 암 = 483
4. 폐암 = 483
5. 부인과암 = 484
1) 자궁경부암 = 484
2) 자궁내막암 = 484
3) 난소암 = 484
6. 피부암 = 485
7. 두경부암 = 485
8. 혈핵학적 종양 = 485
1) 급성 골수성 백혈병 = 485
2) 만성 골수성 백혈병 = 486
3)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 486
4) 호지킨병 = 486
5) 비호지킨병 임파종 = 487
6) 다발성 골수종 = 487
제31장 부인과 질환(Gynecologic Disorders) = 489
이학적 진찰 = 489
외음부질환 = 490
1. 이형성증 변화 = 490
2. 전암성 병변과 악성 병변 = 492
3. 감염과 염증 = 492
질의 질환 = 492
1. 위축성 변화와 질염 = 492
2. 피부과적 질환 = 493
골반지지의 장애 = 493
1. 자궁탈출증 = 493
2. 방광류와 직장류 = 493
폐경후 질출혈 = 494
자궁 및 난소질환 = 495
제32장 노인과 성(Sexuality and the Elderly) = 497
여성의 성욕 = 497
1. 성행위의 결정인자 = 497
2. 노화가 성행위에 미치는 영향 = 497
1) 동기와 욕구의 변화 = 497
2) 해부학적 및 생리적 변화 = 498
3. 임상적 접근 = 498
남성의 성욕 = 500
1. 성행위의 결정요인 = 500
2. 발기부전 = 500
1) 발기의 생리학 = 500
2) 발기부전의 평가 및 치료 = 500
성과 관련된 질환들 = 503
1. 심혈관 질환 = 503
2. 관절염 = 504
3. 전립성 수술 = 504
4. 유방암 = 504
5. 그외 악성종양 = 504
6. 상담 = 505
제33장 피부질환(Skin Diseases) = 507
정상피부의 연령에 따른 변화 = 507
흔한 피부질환들 = 507
1. 지루성 피부염 = 507
2. 주사 = 508
3. 건조증 = 508
4. 소양증 = 508
5. 접촉성 피부질환 = 509
6. 피부사상균 감염 = 509
7. 간찰진 = 509
8. 캔디다증 = 510
9. 수포성 유천포창 = 510
10. 피부근염 = 510
11. 건선 = 511
12. 대상 포진 = 512
13. 침습과 교상 = 512
14. 울체피부염 = 513
종양 = 514
1. 양성종양 = 514
2. 전암종양 = 514
3. 악성종양 = 515
제4부 노인정신의학(GEROPSYCHIATRY)
제34장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s) = 519
인생 후기의 우울장애 = 520
1. 주우울증의 진단기준 = 520
2. 멜란콜리아가 동반된 주우울증 = 521
3. 정서이상 = 521
4. 양극성 기분장애 = 522
후기 우울장애의 감별 진단 = 522
1. 내과적 질환 = 522
2. 약물 = 523
3. 건강염려중과 신체화 장애 = 523
4. 알콜남용 = 523
5. 치매성 질환 = 523
진단적 평가 = 524
치료 = 525
1. 정신치료 = 525
2. 약물치료 = 526
3. 전기경련치료 = 528
4. 가족치료 = 528
자살 위험성 = 528
제35장 불안장애(Anxiety Disorders) = 531
범발성 불안장애의 진단적 평가 = 531
감별진단 = 532
치료 = 533
1. 비약물적 치료 = 533
2. 벤조다이어제핀 = 533
3. 비벤조다이어제핀 = 536
제36장 편집장애(Paranoid Disorders) = 539
감별진단 = 539
1. 정신 분열증 및 유사 정신분열 장애 = 539
1) 조기-발병 정신분열증 = 539
2) 만기-발병 정신분열증 = 540
3) 망상 장애 = 541
2. 정서장애 = 542
3. 기질성 정신장애 = 542
1) 기질성 망상장애 = 542
2) 치매 = 542
3) 중독 및 금단 상태 = 543
진단적 평가 = 543
임상적 치료 = 544
제37장 성격 및 신체화 장애(personality and Somatoroorm Disorders) = 547
성격장애 = 547
1. 성격장애의 종류와 특징 = 547
1) 편집성 성격장애 = 547
2) 정신분열형 성격장애 = 548
3) 반사회적 성격장애 = 548
4) 히스테리성 성격장애 = 548
5) 자기도취성 성격장애 = 548
6) 강박-충동적 성격장애 = 549
7) 수동-공격적 성격장애 = 549
2. 진단 = 549
3. 일반적인 치료전략 = 549
신체형 장애 = 550
1. 문제 결정 = 550
2. 관해 및 위험 요소 = 551
3. 간단한 정신치료법의 유형 = 552
4. 정신치료적 접근 = 552
제38장 알콜 및 약물 남용(Alcohol and Drug Abuse) = 555
알콜 남용과 의존 = 555
1. 역학 = 555
2. 증상, 징후, 합병증 = 556
3. 선별 및 진단적 평가 = 557
4. 알콜과 생물학적 노화 = 557
5. 약물과의 상호관계 = 557
6. 예방과 일반적인 치료원칙 = 557
7. 약물치료 = 558
8. 재활 = 559
약물 남용 및 의존 = 559
1. 임상적 양상 = 560
2. 치료 = 560
부록 노인 환자 평가의 실제(Practical Geriatric Assessment) = 563
1. 선별검사의 중요성 = 563
2. 선별검사의 실례 = 564
3. 효과적인 노인환자 평가를 위한 전략 = 565
1) 단계적 평가 = 565
2) 효율적 평가 = 565
3) 보조적 서비스의 이용 = 566
4) 자료의 지속성 유지 = 566
5) 팀에 의한 접근 = 566
6) 목적 중심적 접근 = 566
4. 노인환자 평가양식의 실제 = 566
찾아보기 = 5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