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글 = ⅲ
제1부 교육과정 개혁론
제1장 2000년대 교육과정을 위한 개혁의 방향 / 곽병선 = 3
Ⅰ. 교육개혁과 교육과정 개혁 = 3
Ⅱ. 한국의 도전 = 7
Ⅲ. 한국의 가능성에 대한 믿음 = 13
Ⅳ. 산업사회 논리의 한계 = 14
Ⅴ. 산업사회 논리를 넘어서 = 18
Ⅵ. 교육과정 개혁의 방향 = 21
제2장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혁의 배경과 방향 / 김호권 = 29
Ⅰ.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혁의 배경 = 29
Ⅱ. 현행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문제점 = 32
Ⅲ.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혁의 방향 = 41
제3장 한국 교육과정의 발전과제 / 허경철 = 49
Ⅰ. 서론 = 49
Ⅱ. 5.31 교육개혁안의 교육과정 관련 내용 개요 = 52
Ⅲ. 교육과정 특별위원회의 새 교육과정 시안의 내용 개요 = 59
Ⅳ. 새 교육과정 체제의 발전 과제 = 71
Ⅴ. 맺는 말 = 76
한국교육과정의 발전과제:토론 1/ 박성익 = 78
한국교육과정의 발전과제:토론 2 / 강신웅 = 83
제4장 해방후 우리나라 교육과정 / 김수천 = 87
Ⅰ. 서론 = 87
Ⅱ. 교육과정 결정 주체 = 89
Ⅲ. 교육과정·교과편제·교과 = 91
Ⅳ. 교육방법 = 101
Ⅴ. 앞으로의 과제 = 103
제5장 통합 교육과정의 연구 대상과 접근 방법 / 김재복 = 111
Ⅰ. 서론 = 111
Ⅱ. 통합 교육과정의 연구 대상 = 113
Ⅲ. 통합 교육과정의 접근 방법 = 118
Ⅳ. 통합 교육과정의 저해 요인 = 125
Ⅴ. 요약 및 결론 = 129
제2부 전인교육론 - 교육의 새로운 의미 탐색 -
제6장 전인교육론 / 이홍우 = 135
Ⅰ. 서론 = 135
Ⅱ. 가법적(加法的) 접근과 승법적(乘法的) 접근 = 139
Ⅲ. 전인의 핵심개념으로서의 심(心) = 148
Ⅳ. 결론 = 157
전인교육론:토론 1 / 이돈희 = 163
전인교육론:토론 2 / 한명희 = 170
제7장 효의 의미:한 교육학적 해석 / 유한구 = 181
Ⅰ. 서론 = 181
Ⅱ. 효(孝)와 덕(德)과 교(敎) = 186
Ⅲ. 교육과 정서 = 194
Ⅳ. 결론 = 202
제8장 교육과정에 관한 하나의 담론으로서의 포스트 모더니즘 / 김재춘 = 209
Ⅰ. 서론 = 209
Ⅱ. 모더니즘의 부정으로서의 포스트모더니즘 = 213
Ⅲ. C.Cherryholmes의 R.Tyler와 J.Bruner의 교육과정론 해체 = 219
Ⅳ. 하나의 대안으로서의 포스트모던 담론 = 228
제3부 교육의 쟁점과 개혁을 위한 제언
제9장 사회과학 탐구방법 중심의 통합 / 한면희 = 241
Ⅰ. 서론 = 241
Ⅱ. 사회과학 영역별 탐구 방법 = 243
Ⅲ. 사회과학 방법론의 통합 = 248
Ⅳ. 사회과학 탐구방법 중심의 통합 교육과정 모색 = 254
Ⅴ. 요약 및 결론 = 266
제10장 교육행정의 전문화 과제 / 노종희 = 273
Ⅰ. 서언 = 273
Ⅱ. 이론적 고찰 = 275
Ⅲ. 교육행정가의 전문화와 관련된 문제점 = 281
Ⅳ. 교육행정가의 전문화를 위한 과제 = 286
Ⅴ. 결어 = 298
제11장 한국교육 평등화의 과제 / 김병성 = 301
Ⅰ. 서:교육의 양적성장과 기회균등 = 301
Ⅱ. 교육기회균등의 재음미 = 302
Ⅲ. 교육불평등(격차)에 대한 대립적 시각 = 306
Ⅳ. 학교교육과 불평등 문제 = 308
Ⅴ. 결:교육평등화의 과제 = 312
제12장 여학생 직업기술교육의 과제:실업계고교 교육을 중심으로 / 김영화 = 317
Ⅰ. 들어가는 말 = 317
Ⅱ. 실업계고교 여학생 직업기술교육의 문제 = 320
Ⅲ. 실업계고교 여학생 직업기술교육의 과제 = 330
제13장 교육개혁 접근방식의 이해와 미래사회를 여는 학교장의 역할 / 한상진 = 353
Ⅰ. 서(사이버 스페이스 / 생활세계) = 353
Ⅱ. 교육행위의 인간학적 관점 = 356
Ⅲ. 교육개혁 접근 방식의 이해 = 362
Ⅳ. 미래사회를 여는 학교장의 역할 = 370
Ⅴ. 결(비젼 / 실천프로그램) = 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