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여는 장 = 17
제1절 연구의 필요성 = 17
제2절 연구의 목적 = 19
제3절 연구의 중요성 = 21
제4절 연구의 주요 내용과 이 책의 구성 = 23
제5절 이 책의 분석 시각과 연구 방법 = 27
1. 문제를 보는 시각 = 27
2. 연구 방법 = 27
제1부 이론적 접근과 분석틀
제1장 미군정의 국가와 행정에 관한 기존 연구 = 31
제1절 서론 = 31
제2절 정통 이론의 시각 = 32
1. 정통 정치 이론 : 그랜트 미드의 미군정 지방 정부 연구 = 33
2. 정통 정치 행정 이론 : 김운태의 정치 발전론 = 35
3. '소용돌이의 정치' 이론 : 그레고리 헨더슨의 한국 정치 연구 = 37
제3절 수정주의적 시각 = 38
1. 과대 성장 국가 이론 = 39
2. 세계 체제론 = 43
3. 사회 구성체 이론과 대리 통치 체제 이론, 신식민지 파시즘론 = 45
4. 사회 계급론 = 50
5. 커밍스의 연구 = 51
제4절 통합주의적 시각 = 53
1. 외삽 국가론 = 53
2. 저자의 세계 체제, 국가 및 사회 계급의 상호 활동 모형 = 59
제5절 종합 및 평가 = 59
제2장 이 책의 이론적 분석틀 = 63
제1절 분단 국가의 형성과 미군정의 성격을 보는 시각 = 63
제2절 새로운 이론 모형의 구성 = 66
1. 사회 중심적 관점에서의 국가 이해 = 66
2. 국가 중심적 관점에서의 국가 이해 = 68
3. 사회와 국가의 통합적 상호 활동 모형 = 70
제3절 국가의 성격 분석 모형 : 계급성과 자율성 = 71
1. 국가 성격 분석 모형 = 71
2. 정치적 안보 국가의 성격 = 71
3. 정치적 복지 국가의 성격 = 73
4. 신중상주의 안보 국가의 성격 = 74
5. 신중상주의 복지 국가의 성격 = 75
6. 국가 유형별 성격 비교 = 75
제4절 상호 활동 모형과 국가 능력 이론 모형 개요 = 77
1. 국가의 성격 변화와 변수의 상호 활동 모형 = 77
2. 국가 제도화와 국가 능력 이론 = 77
제5절 분단 국가 형성과 국가 체제 정비의 분석틀 : 이 책의 분석틀 = 82
제2부 미군정의 성립과 분단 국가의 형성
제3장 세계 체제의 개편과 미군정의 성립 = 87
제1절 전후 세계 체제의 변화와 한반도 = 87
제2절 미국의 한반도 문제에 대한 입장 : 신탁 통치안의 구상과 성격 = 90
제3절 남북 분할 점령의 배경 = 96
1. 군사 편의주의설 = 97
2. 밀약설 = 100
3. 정치적 고려설 = 101
4. 종합 평가 = 102
제4절 미군의 남한 진주와 미군정의 수립 = 103
1. 미군의 남한 진주 = 103
2. 미군정의 성립 = 109
3. 미군정과 세계 체제와의 관계 = 112
제5절 소련군의 북한 진주와 소군정의 수립 = 117
1. 인민위원회의 결성 = 119
2. 5도 행정국의 수립 = 123
제6절 남과 북의 분단 국가 형성 과정 비교 = 124
제4장 미군정의 성립과 사회 계급의 성쇠 = 126
제1절 미군정과 사회 계급 간의 관계 = 126
제2절 국내 사회 세력과 미군정 = 127
1. 건국준비위원회 및 인민공화국과 미군정 = 127
2. 한국민주당과 미군정 = 137
3. 임시정부와 미군정 = 144
제3절 분단 국가 형성과 정치 지도자들의 활동 = 150
1. 미군정 사령관 하지 = 151
2. 이승만 = 153
3. 김구 = 155
4. 상호 관계와 비교 = 158
제4절 사회 계급의 대립 = 159
1. 좌익의 활동과 좌우익의 대립 = 159
2. 좌익 세력의 제거와 지배 세력의 정비 = 170
3. 미군정과 노동자 및 농민 조직과의 관계 = 177
제5절 결론 : 미군정과 사회 세력과의 관계 = 191
제5장 분단 국가의 형성과 미군정 국가의 성격 : 정치적 안보 국가의 등장 = 193
제1절 세계 체제, 사회 계급, 미군정 간의 상호 활동 = 193
1. 세계 체제 주도의 상호 활동 = 193
2. 세계 체제와 미군정 = 194
3. 미군정과 사회 계급 = 195
제2절 미군정 국가의 성격 : 정치적 안보 국가의 등장 = 196
1. 국가 이념 = 196
2. 지배 연합 = 197
3. 국가 관료제 = 198
4. 국가 리더십 = 199
5. 정치적 안보 국가의 등장 = 199
제3절 국가 기구의 성격 = 200
1. 안보 지향 국가 기구의 국가 중심 기구화 = 200
2. 현상 유지적 이념(반공)과 국가 엘리트 = 205
3. 국가 기관 간의 관계 = 205
4. 국가 관료제의 합리성 = 206
제4절 국가의 역할 = 207
1. 정치적 정당성 확보 = 207
2. 사회적 질서 유지 = 208
3. 경제적 재생산 = 209
제5절 국가 역할과 국가 정책 = 210
제6절 미군정의 정책 결정 과정과 통치의 기본 목표 = 212
1. 미군정의 정책 결정 과정 : 미군정 점령 정책의 전개 과정 = 212
2. 미군정 통치의 기본 목표 : 자본주의, 민주주의 및 반공 = 215
제3부 미군정과 국가 기구의 정비
제6장 행정 기구의 개편 = 221
제1절 행정 기구의 개편 과정 = 221
제2절 중앙 행정 기구 조직 = 223
제3절 지방 행정 기구 조직 = 230
1. 보통 지방 행정 기관 = 232
2. 특별 지방 행정 기관 = 236
제4절 관료 충원과 그 특징 = 238
제7장 미군정의 입법 기구의 창설과 사법 기구의 개편 = 243
제1절 입법 기구의 창설 = 243
1. 남조선 대한민국 대표 민주의원 = 243
2. 남조선 과도 입법의원 = 246
제2절 사법 기구의 개편 = 248
제8장 미군정 억압 기구의 개편 및 강화 = 255
제1절 일제 식민지하의 억압 기구 정비 = 255
1. 통감부 시기 = 255
2. 총독부 시기 = 256
제2절 경찰 기구의 개편 및 강화 = 259
1. 미군정의 경찰 조직의 개편 = 259
2. 미군정 경찰의 충원 = 263
제3절 군(조선국방경비대)의 창설과 성격 = 267
1. 해방 직후 사설 군사 단체의 현황 = 267
2. 조선국방경비대의 창설 과정 = 272
3. 국방경비대의 충원 = 277
4. 조선국방경비대의 성격 = 292
제9장 미군정 국가의 인적·물적 자원 관리 체제 정비 : 인사 행정 및 예산 행정 제도 = 295
제1절 미군정 국가의 인적 자원 관리 체제 : 인사 행정 제도 = 295
1. 인사 행정 기관 = 296
2. 임용 = 298
3. 직위 분류제 = 302
4. 보수 = 305
5. 복무 및 근무 성적 사정 = 308
6. 훈련 = 311
제2절 미군정 국가의 물적 자원 관리 체제 : 예산 행정 제도 = 313
1. 세입·세출 예산의 변화 = 313
2. 세입·세출 예산의 내역 = 314
3. 미군정 예산 행정의 특징 = 320
제4부 미군정의 부문별 주요 국가 정책
제10장 미군정의 정치 행정에 관한 정책 = 325
제1절 자유 민주주의 정치 이념의 소개 = 325
제2절 의회 제도의 도입과 운영 = 327
1. 입법의원의 설립 배경 = 327
2. 입법의원의 구성 = 329
3. 입법의원의 조직 = 333
4. 입법의원의 활동 = 337
제3절 선거 제도의 도입 = 340
제4절 정당 제도의 도입 = 342
제5절 행정위원회의 도입 및 역할 = 345
제11장 미군정의 경제 정책 = 347
제1절 경제 정책의 기본 목표 = 347
제2절 미군정의 귀속 재산 처리 정책 = 350
1. 미군정의 귀속 재산 처리 정책의 내용 = 351
2. 미군정의 귀속 재산 관리와 불하 = 355
3. 미군정의 귀속 재산 불하 정책에 대한 평가 = 362
제3절 원조 관리 정책 = 362
1. 미군정 하의 원조 내용과 군정 당국의 역할 = 363
2. 미군정의 원조 관리 정책에 대한 평가 = 364
제4절 토지 정책 = 366
1. 토지 개혁의 배경 = 367
2. 미군정의 3단계 토지 개혁 과정 = 374
3. 미군정의 토지 개혁 정책에 대한 평가 = 391
제12장 미군정의 사회 정책 = 393
제1절 미군정의 노동 정책 : 노조 활동에 대한 통제 = 394
1. 제정된 노동 관계법의 내용 = 394
2. 법과 실제의 괴리 : 노동에 대한 국가의 통제 = 396
3. 미군정의 노동 정책에 대한 평가 = 410
제2절 미군정의 언론 정책 = 412
1. 미군정의 언론 정책에 대한 기본 방침 = 412
2. 언론의 자유 보장 = 414
3. 좌익 언론에 대한 탄압 = 415
4. 미군정의 언론 정책에 대한 평가 = 423
제3절 미군정의 교육 정책 = 424
1. 미군정 교육 정책의 기본적 성격 = 424
2. 미군정 교육 정책의 결정 세력 : 학무국과 교육 정책 관련 세력 = 426
3. 미군정 교육 정책에 대한 평가 = 436
제5부 미군정 통치의 유산
제13장 미군정 통치의 유산 : 정치적 안보 국가의 구축 = 441
제1절 세계 체제와의 관계 : 미국 중심의 자본주의 세계 체제에 대한 의존 강화 = 442
제2절 분단·안보 국가의 형성과 안보 기구 중심의 국가 관료제 = 443
제3절 친일파, 친미파 등 우익 세력 중심의 지배 연합의 형성 및 국가 엘리트 충원 = 445
제4절 반공 이데올로기 형성 및 분단 고착화 = 446
제5절 국가 자본주의 체제의 기반 구축 = 447
제6절 민주주의적인 정치·행정 제도의 도입 = 448
제7절 교육 기회의 확대 = 449
제8절 불완전한 토지 개혁과 농촌 발전의 지연 = 449
부록 : 미군정의 주요 활동과 사건에 관한 연표(1945∼49) = 452
참고문헌 = 457
찾아보기 = 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