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선거이론과 민주주의론
제1장 선거연구의 이론과 방법론 = 15
1. 선거이론의 기능 = 15
2. 미국선거연구의 자료과 방법 = 19
1) 연구의 대상 = 19
2) 연구의 자료 = 20
3) 연구의 방법 = 22
3. 한국선거연구의 자료과 방법 = 23
1) 연구의 대상 = 23
2) 연구의 자료 = 24
3) 연구의 방법 = 26
제2장 미국의 선거이론과 민주주의론 = 29
1. 사회학적 이론 = 30
2. 사회심리학적 이론 = 31
3. 경제학적 이론 = 35
4. 인지심리학적 이론 = 38
5. 정치학적 이론을 위하여 = 41
제3장 한국의 선거이론 = 44
1. 근대회이론과 합리적 선택이론 = 44
1) 근대화이론 = 44
2) 합리적 선택이론 = 46
2. 사회학적 이론과 경제학적 이론 = 50
3. 합리적 선택이론의 비교우위 = 52
제2부 선거제도와 선거행태
제4장 선거제도 변화의 동인 = 59
1. 머리말 = 59
2. 선거제도 변천사 = 62
3. 선거제도의 합목적적 선택 = 63
1) 제1공화국 = 63
2) 제2공화국 = 67
3) 제3·4공화국 = 69
4) 제5공화국 = 73
5) 제6공화국 = 75
4. 선거제도의 정치적 결과 = 80
5. 소결 = 85
제5장 투표와 기권 = 88
1. 투표율의 변화 = 88
2. 근대화이론에서 본 투표와 기권 = 90
3. 합리적 선택이론에서 본 투표와 기권 = 93
4. 가설의 경험적 검증 = 95
제6장 여촌야도 = 100
1. 머리말 = 100
2. 근대화이론에서 본 여촌야도 = 102
3. 합리적 선택이론에서 본 여촌야도 = 106
4. 요약 = 116
제7장 인물 대 정당본위투표 = 119
1. 근대화이론에서 본 인물 대 정당본위투표 = 119
2. 합리적 선택이론에서 본 정당투표 = 124
3. 요약 및 소결 = 129
제8장 지역주의 투표성향 = 132
1. 근대화이론에서 본 지역주의 = 132
2. 합리적 선택이론에서 본 지역주의 = 134
3. 지역주의 선거전략과 전망 = 139
제3부 투표행태의 심층분석
제9장 여촌야도의 합리성 : 불리언 비교방법의 적용을 위한 시론 = 147
1. 머리말 = 147
2. 새로운 비교정치방법의 모색 = 148
3. 여촌야도와 현직의원 재당선 = 155
4. 불리언 비교방법의 적용을 위하여 = 160
5. 맺는말 = 163
제10장 한국유권자의 정당본위투표 = 166
1. 머리말 = 166
2. 정당본위투표는 합리적인가? = 168
1) 여야성향과 정당본위투표 = 169
2) 정당투표로서의 지역주의 = 171
3. 경험적 분석 = 178
1) 자료와 방법론 = 178
2) 가설과 모형 = 182
3) 결과 = 186
4. 결론과 토론 = 189
제11장 선거와 한국의 민주화 = 192
1. 선거와 민주화 = 192
2. 근대화이론과 합리적 선택이론의 함의 = 196
제12장 현실정치와 이론의 적실성, 6·27선거결과의 분석과 15대 총선의 쟁점과 전망 = 199
1. 머리말 = 199
2. 6·27선거결과의 분석 = 201
3. 15대 총선의 쟁점과 전망 = 209
1) 현실주의적 정치평론 = 209
2) 쟁점과 정당의 연합 = 211
3) 15대 총선의 균열구조와 쟁점 = 213
4. 각 당의 전략과 15대 총선의 전망 =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