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서문 = 11
제1장 감정사회학에서의 주요 연구들 = 31
1. 감정에 대한 미시적 접근 = 34
1) 감정의 형성 = 34
2) 동기요인으로서의 감정 = 44
3) 매개요인으로서의 감정 = 46
2. 감정에 대한 거시적 접근 = 52
1) 감정경험과 감정문화의 형성 = 53
2) 조직화 원리로서의 감정 = 55
3. 결론 = 56
제2장 감정의 사회화와 감정구성 = 68
1. 감정의 사회화와 구성 = 71
2. 사회통제와 역할담당 감정 = 75
3. 결론 = 82
제3장 감정작용, 감정규칙, 사회구조 = 90
1. 감정에 대한 두 가지 설명 = 93
2. 감정작용 = 99
3. 감정규칙 = 100
4. 구성틀로서의 규칙과 감정규칙 : 이데올로기에 있어서의 이슈 = 102
5. 감정규칙과 사회교환 = 103
6. 감정의 상품화 = 104
7. 계급, 자녀양육, 그리고 감정작용 = 106
8. 요약 및 결론 = 106
제4장 감정사회학에 있어서 사회구성주의와 실증주의 접근 = 113
1. 감정과 생물학 = 116
2. 감정에 대한 문화적 결정 = 119
3. 상황의 분석, 해석, 정의 = 125
4. 감정의 연구에 있어서 문화 = 128
5. 결론 = 130
제5장 일차적 감정과 이차적 감정 = 137
1. 일차적 감정에 대한 접근 = 140
2. 일차적 감정 = 142
1) 진화론적 가치 = 142
2) 개체발생적 중요성 = 144
3) 문화보편성 = 144
4) 자율신경적 분화 = 145
5) 사회관계, 감정 그리고 신경화학 = 146
3. 이차적 감정의 사회구성 = 148
1) 죄책감 = 148
2) 자부심 = 150
3) 수치심 = 150
4. 결론 = 152
제6장 감정문화, 감정, 자아 = 164
1. 감정과 자아 = 167
2. 제도적, 충동적 감정문화 = 168
1) 감정어휘 = 169
2) 감정의 요소들 = 170
3) 감정관리 = 171
3. 감정에 대한 제도적, 충동적 이론 = 172
4. 결론 = 174
제7장 사회구조와 감정 = 179
1. 사회구조와 감정에 대한 이론적 쟁점 = 180
2. 감정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의 정의 = 185
3. 감정의 분화 = 186
1) 감정규정에 있어서의 분화 = 189
2) 감정어휘 = 190
3) 감정의 사회구조적 분화에 대한 분석 = 191
4. 감정의 사회화 = 192
1) 사회화과정 = 193
2) 사회화에 대한 사회구조적 연구 = 193
5. 감정관리 = 196
1) 감정규범의 성격 = 196
2) 공식적인 감정문화 = 197
3) 감정의 제도화 = 198
4) 개인의 사회구조에 대한 영향 = 199
6. 결론 = 200
제8장 사회구조에 있어 감정의 역할 = 210
1. 거시사회학의 미시적 기초로서의 감정 = 211
2. 상호행위의례연결이론 = 212
1) 대화적(혹은 문화적) 자원 = 213
2) 감정적 에너지 = 214
3. 문화적, 감정적 자원으로서 상호작용 = 214
4. 거시구조의 영향 =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