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第1章 儒敎理念의 實踐과 信仰·宗敎-朝鮮初期 祀祭問題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 1
Ⅱ. 家廟·里社制의 勵行
1. 宗廟·社稷의 再建 = 7
2. 家廟制의 勵行 = 10
3. 里社制의 勵行 = 15
Ⅲ. 祀祭規範의 改編
1. 麗朝의 祀祭規範 = 18
2. 王朝初期 祀典의 改編 = 25
Ⅳ. 圓丘(祭天壇) 廢置論과 檀君致祭 = 41
Ⅴ. 佛敎抑制와 그 再構成
1. 麗代의 佛敎崇信과 末弊 = 51
2. 朝鮮王朝初期 佛敎抑制策과 그 解弛 = 55
Ⅵ. 道敎 宮觀의 整理 = 65
Ⅶ. 맺음말 = 70
第2章 東學寺·東學書院의 '東學' 釋義 試考
Ⅰ. 머리말 = 73
Ⅱ. 世祖賜號의 '東學' = 74
Ⅲ. 東方理學의 尊重(德性涵養) = 78
Ⅳ. 東方本俗에 따른 祀祭(事神誠敬) = 84
Ⅴ. 맺음말 = 89
第3章 朝鮮時代 實學의 槪念에 대하여
Ⅰ. 머리말 = 91
Ⅱ. 問題의 提起 = 92
Ⅲ. 麗末鮮初에 있어서의 實學提唱 = 96
Ⅳ. 朝鮮中期의 '實學' 議 = 100
Ⅴ. 朝鮮後期에 있어서의 '實學' 議 = 105
Ⅵ. 明末淸初 學者의 '實學' 槪念 = 108
Ⅶ. 맺음말 = 112
第4章 白湖 尹휴 硏究-人間 白湖와 그의 經世論을 중심으로
Ⅰ. 머리말 = 113
Ⅱ. 白湖의 系譜·生涯와 學風
1. 系譜와 生涯 = 114
2. 白湖의 學風 = 125
Ⅲ. 白湖의 經世論
1. 政治體制와 紀綱論 = 140
2. 經濟體制에 대한 批判과 抱負 = 148
3. 兵政論 = 168
Ⅳ. 맺음말 = 186
第5章 明齋 尹拯의 '實學'觀-實學의 槪念 再論
Ⅰ. 머리말 = 189
Ⅱ. 實心實學·窮經實學 = 190
Ⅲ. 實學의 槪念內容 = 194
Ⅳ. 實學尊重의 風潮 = 199
Ⅴ. 맺음말 = 203
第6章 星湖 李瀷의 學風
Ⅰ. 머리말 = 205
Ⅱ. 洙泗學的인 窮經實學 = 207
Ⅲ. 西學의 受容 = 212
Ⅳ. 맺음말 = 217
第7章 茶山 丁若鏞의 學問觀과 學風-傳統的인 儒學思想을 中心으로
Ⅰ. 머리말 = 218
Ⅱ. 茶山의 學問觀 = 220
Ⅲ. 當代 學風에 대한 批判 = 223
Ⅳ. 茶山의 五學論-性理·訓고·文章·科擧·術數之學의 弊 = 226
Ⅴ. 茶山의 學風-洙泗學的 修己治人之學, 그 의미 = 229
Ⅵ. 茶山의 學統 = 233
第8章 天主敎初期傳播와 그 反響
Ⅰ. 머리말 = 236
Ⅱ. 天主敎의 傳來 = 237
Ⅲ. 傳播期의 社會狀態 = 240
Ⅳ. 天主敎의 傳播 = 244
Ⅴ. 天主敎의 禁壓 = 251
Ⅵ. 맺음말 = 258
第9章 東學思想-唱道의 時代的 背景과 本質
第1部 東學唱道의 時代的 背景
Ⅰ. 머리말 = 260
Ⅱ. 19세기 중엽의 社會的 與件
1. 儒敎的 支配體制의 파탄과 民亂 확대 = 260
2. 外勢의 침투와 危機意識의 고조 = 271
Ⅲ. 東學唱道의 思想的 背景
1. 儒敎思想의 퇴폐와 佛敎·道敎 = 276
2. 秘記(圖譚思想)와 巫俗(鬼神信仰) = 283
3. 西學(天主敎) 敎勢의 熾盛 = 288
Ⅳ. 맺음말 = 291
第2部 東學思想의 本質
Ⅰ. 머리말 = 292
Ⅱ. 非世俗的 宗敎論理와 豫言-道·德論과 運數觀
1. 非世俗的 論理로서의 誠敬信 = 294
2. 運數觀에 바탕한 豫言 = 300
Ⅲ. 世俗的 救濟를 위한 呪術 - 降靈說과 靈符·呪文 = 303
Ⅳ. 宗敎論理와 呪術과의 統一的 媒介者-鬼神觀 = 314
Ⅴ. 民衆과 民族의 宗敎-革命的·民族主義的 性格 = 319
Ⅵ. 맺음말 = 326
第10章 開港當時의 危機意識과 開化思想
Ⅰ. 머리말 = 328
Ⅱ. 開港前의 內修外攘論-天主敎·洋貨의 排斥 = 331
Ⅲ. 開港直前의 洋情探問 = 337
Ⅳ. 對日修交反對論과 舊交復舊論-倭洋一體論과 與倭續好·匪洋伊和論 = 344
Ⅴ. 衛正斥邪論의 沸騰 = 352
Ⅵ. 强兵策試圖와 舊軍卒의 反撥 = 362
Ⅶ. 韓美條約締結直後의 開化論-門戶開放과 '東道西器'의 主張 = 365
Ⅷ. 日本勢力浸透와 自主開化意識 - '利用厚生'의 自主開化 = 371
附錄 1 茶山思想의 展開 = 379
附錄 2 韓國史學의 課題 = 391
索引 = 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