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ⅲ
머리말 = ⅴ
감사의말 = ⅹ
제Ⅰ부 서론
1. 형태론의 영역 = 3
1.1 단어의 구조 = 3
1.2. 형태소, 형태, 이형태교체 = 5
1.3. 형태론적 작용의 유형들 = 12
1.3.1 굴절과 파생 = 12
1.3.2 형태소 : 사물인가 규칙인가? = 18
1.3.3 형태론적 형성소 : 사물로서의 형태소 = 19
1.3.4 형태론적 형성소 : 규칙으로서의 형태소 = 24
1.3.5 요약 = 32
1.4 형태론의 기능 - 형태통사론 = 33
1.5 요약 = 47
연습문제 = 48
2. 기본적인 개념과 생성형태론 이전의 접급방법들 = 56
서론 = 56
2.1 형태론적 유형분류 = 57
2.2 형태소, 단어, 그리고 어휘부 = 60
2.2.1 형태소와 이형태교체 = 60
2.2.2 단어의 성격 = 62
2.2.3 어휘부 = 72
2.3 구조주의 이론 = 76
2.3.1 세개의 모델 = 76
2.3.2 형태음소론 = 82
2.4 요약 = 89
연습문제 = 89
3. 초기의 생성문법적 접근방법 = 96
3.1 표준이론에서의 음운론과 통사론 = 96
3.1.1 표준이론 개관 = 96
3.1.2 SPE식 음운론 모델 = 97
3.1.3 표준이론에서의 형태통사론 = 99
3.2 Chomsky의 'Remarks on Nominalization' : 어휘론적 문법 = 103
3.2.1 생성의미론과 어휘적 변형 = 103
3.2.2 어휘론 = 105
3.2.3 'Remarks'에 대한 끝맺음 말 = 110
3.3 Hall의 'Prolegomena' = 111
3.4 Siegel의 단계유순가설 = 120
3.5 Aronoff의 Word Formation in Generative Grammar = 124
3.5.1 모델의 개관 = 124
3.5.2 어형성규칙의 형태와 기능 = 127
3.5.3 모델의 정당화 = 129
3.6 생성형태론의 '고전적' 모델: 결론 = 137
연습문제 = 141
제Ⅱ부 형태론 - 음운론 중개장치
4. 이형태 교체 = 149
서론 = 149
4.1 SPE 모델 = 149
4.2 자연생성음운론 = 156
4.3 어휘음운론 = 159
4.3.1 Kiparsky의 교체조건 = 159
4.3.2 순환음운론과 어휘음운론 = 163
4.3.3 어휘 음운론 : 요약 = 181
4.4 형태어휘적 음운론 = 183
4.5 자연형태론에서의 이형태교체 = 193
4.6 Zwicky의 형상조건 = 196
4.7 요약 = 199
연습문제 = 200
5. 형태론에 대한 비단선적 접근방법 = 205
서론 = 205
5.1 형태론에 대한 자립분절음적 접근방법 = 207
5.1.1 McCarthy의 이론 = 207
5.1.2 McCarthy의 접근방법에 따른 몇가지 이론적 결과 = 219
5.2 중첩 = 227
5.3 비연쇄형태론의 심화적용 = 236
5.3.1 선율요소에 영향을 끼치는 교체 = 236
5.3.2 CV골결에 영향을 미치는 교체 = 241
5.4 형태소로서의 성조 = 246
5.5 전망 = 252
5.6 요약 = 259
연습문제 = 260
제Ⅲ부 형태론 - 통사론 중개장치
6. 후기 생성이론 = 265
서론 = 265
6.1 기본적 논제 = 268
6.1.1 단계유순의 문제점 = 268
6.1.2 형태론에서의 성분구조 = 274
6.1.3 논항구조 = 285
6.1.4 굴절의 본질 = 289
6.2 단어의 성분구조 = 297
6.2.1 구구조문법적 접근방법 = 297
6.2.2 Lieber의 '어휘부의 구조' = 304
6.3 통사론적 접사첨가 = 309
6.4 형판형태론 = 314
6.5 굴절에 대한 접근방법 = 324
6.5.1 기본적 논제 = 324
6.5.2 Anderson의 '확대 단어 - 어형변화표'이론 = 326
6.5.3 체계로서의 어형변화표 = 339
6.5.4 어형변화표 경제성 = 345
6.6 요약 = 349
연습문제 = 351
7. 문법적 관계 = 360
서론 = 360
7.1 현상에 대한 개요 = 361
7.2 이론적 배경 = 388
7.2.1 문법적 관계의 표시 = 388
7.2.2 수동태의 관한 변형이론 = 392
7.2.3 비대격가설 = 395
7.3 Marantz의 이론 = 398
7.3.1 서론 = 398
7.3.2 접사가 관여하는 교체 = 402
7.3.3 형태론적 합병 : 사역구문 = 405
7.3.4 형태론적 합병 : 응용동사구문 = 413
7.4 Baker의 포합이론 = 416
7.4.1 기본적 원리 = 416
7.4.2 음운형태의 확인 = 424
7.4.3 응용(동사)구문 = 433
7.4.5 수동태와 반수동태 = 435
7.4.6 겨론 = 441
7.5 결합가 교체에 대한 어휘론적 접근방법 = 446
7.5.1 어휘부에서의 결합가 교체 = 446
7.5.2 Williams의 이론 = 450
7.5.3 형용사적 수동태에 대한 부록(Levin/Rappaport) = 454
7.6 결론 : 통사적 접근방법과 어휘적 접근방법 = 458
연습문제 = 460
8. 합성어 = 466
서론 = 466
8.1 합성어 유형에 대한 개관 = 467
8.1.1 기본 개념 = 467
8.1.2 터어키어의 합성어 형성 = 473
8.2 어근합성어 = 480
8.3 영어의 종합합성어 = 489
서론 = 489
8.3.1 Roeper/Siegel (1978) = 491
8.3.2 Selkirk (1982) = 493
8.3.3 Lieber (1983) = 496
8.3.4 Di Sciullo/Williams (1987) = 499
8.3.5 통사적 접근방법 = 502
8.3.5.1 Fabb (1984) = 502
8.3.5.2 Sproat (1985a) = 504
8.3.5.3 Roeper (1988) = 510
8.3.6 논항구조 상속에 대한 후기 = 513
8.3.6.1 Roeper (1987) = 513
8.3.6.2 상속에 대한 의미론적 설명 = 516
8.4 요약 및 결론 = 518
연습문제 = 520
9. 접어 = 527
서론 = 527
9.1 네가지 사례연구 = 529
9.1.1 Serbo-Croat = 529
9.1.2 마케도니아어 = 539
9.1.3 포르투칼어 = 546
9.1.4 폴란드어 = 552
9.1.5 요약 = 563
9.2 접어의 정의 = 565
9.3 접어화와 일치 = 579
9.4 요약 및 결론 = 590
연습문제 = 592
제Ⅳ부 생성문법에서의 단어
10. 괄호매김 역설 = 599
10.1 서론 : 역설의 예 = 599
10.2 어휘음운론에서의 괄호매김 역설 = 603
10.3 운율적 접근방법(Aronoff/Sridhar) = 605
10.4 Williams의 '어휘적 관련성' 이론 = 608
10.5 Pesetsky의 '형태론적 양화사인상' = 610
10.6 Sproat의 전사 원리 = 616
10.7 괄호매김 역설과 계열적 어형성 = 622
부록: Sproat의 형식론 = 630
연습문제 = 633
11. 형태론의 위치 = 637
서론 = 637
11.1 Di Sciullo/Williams의 '단어'에 대한 정의 = 640
11.2 분리가설 = 645
11.3 Zwicky의 '중개장치 프로그램' = 654
11.4 자립어위통사론 = 656
11.5 일본어의 후통사적 합성어 형성 = 665
11.6 병행형태론 = 673
11.7 결론 = 681
참고문헌 = 693
항목색인(한영) = 723
항목색인(영한) = 749
인명색인 = 777
언어색인 = 7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