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ⅲ
감사의 말 = ⅴ
역자 서문 = ⅵ
음성 기호표(국제음성기호) = ⅷ
제1부 배경
제1장 서론
1.1 형태론의 출현 = 3
1.2 미국 구조주의 언어학에서의 형태론 = 4
1.3 Chomsky식의 생성문법 개념 = 5
1.3.1 초기 생성문법에서의 형태부 위치 = 12
1.3.2 형태부 - 음운부의 상호작용 = 15
1.3.3 형태부 - 통사부의 상호작용 = 16
1.4 본서의 구성 = 18
제2장 어구조에 대한 소개
2.1 단어란 무엇인가? = 20
2.1.1 어휘소 = 20
2.1.2 어형 = 20
2.1.3 무법적 단어 = 22
2.2 형태소 : 의미의 최소단위 = 23
2.2.1 단어분석 = 26
2.2.2 형태소, 형태, 이형태 = 27
2.2.3 문법적 조건, 어휘적 조건, 보충법 = 35
2.2.4 기저표시 = 37
2.3 형태소의 본질 = 41
2.4 요약 = 46
제3장 형태소의 유형
3.1 어근, 접사, 어간, 어기 = 49
3.1.1 어근 = 49
3.1.2 접사 = 53
3.1.3 어근, 어간,어기 = 54
3.1.4 어간 확장자 = 56
3.2 굴절 / 파생 형태소 = 57
3.3 다중 접사첨가 = 62
3.4 합성어형성 = 64
3.5 전환 = 65
3.6 형태 유형론 = 66
3.7 단어 - 어형변화표와 단어 중심성 = 72
제4장 어형성에서의 생산성
4.1 어휘부의 개방성 = 78
4.1.1 생산성이란 무엇인가? = 80
4.1.2 준 - 생산성 = 85
4.1.3 생산성과 창조성 = 87
4.2 생산성의 제약 = 88
4.2.1 저지 = 88
4.3 생산성이 굴절과 파생을 구분하는가? = 96
4.4 어휘부의 본질 = 99
4.4.1 가능어 = 99
4.4.2 언어지식과 어휘부의 역할 = 100
제2부 형태부, 그리고 형태부와 어휘부 / 음운부의 관계
제5장 어휘형태론 개요
5.1 어휘 음운론 / 형태론 모델 = 107
5.2 어휘층위 = 107
5.2.1 어휘형태론에서의 파생 = 111
5.2.2 어휘형태론에서의 굴절 = 121
5.3 어휘규칙 = 126
5.4 어휘규칙과 후어휘규칙의 차이 = 128
제6장 어휘형태론적 통찰
6.1 서론 = 134
6.2 어휘형태론 통찰 = 134
6.2.1 형태소 배열에서의 층위유순 = 136
6.2.2 층위유순과 생산성 = 143
6.2.3 층위유순과 전환 = 146
6.2.4 엄밀순환조건 = 149
제7장 어휘형태론 : 그 평가
7.1 서론 : 어휘음운론의 주장 = 163
7.2 어휘음운론 비판 = 164
7.2.1 어휘층위는 어근이 아닌 접사에 의해 정해지는가? = 164
7.2.2 접사는 하나의 층위에만 소속되는가? = 165
7.2.3 몇 개의 층위가 필요한가? = 170
7.2.4 음운규칙은 하나의 층위에만 국한되는가? = 172
7.2.5 형태규칙은 하나의 층위에만 국한되는가? = 175
7.3 결론 = 185
제8장 운율형태론
8.1 서론 = 189
8.2 음운론적 서론 : 자립분절 음운론 = 189
8.2.1 자립분절 음운론 : 전사원리 = 190
8.2.2 골격충렬 = 197
8.3 운율형태론 = 200
8.3.1 아라비아어의 비녀님 = 200
8.3.2 운율형태론과 비연쇄형태론 = 202
8.3.3 형태소 층렬 가설 = 210
8.4 결론 = 216
제9장 형판 / 운율 형태론
9.1 중첩이란 무엇인가? = 219
9.2 중첩은 구성소 복사인가? = 222
9.3 CV - 형판과 중첩 = 224
9.3.1 불완전명시 = 224
9.3.2 접두사 첨가로서의 중첩 = 226
9.3.3 접미사 첨가로서의 중첩 = 230
9.3.4 내부중첩 = 231
9.3.5 운율형태론 = 233
9.4 음위전환 = 238
9.5 결론 = 241
제Ⅲ부 형태부, 그리고 형태부와 어휘부 / 통사부의 관계
제10장 굴절형태론
10.1 서론 = 247
10.2 굴절과 파생 = 248
10.2.1 굴절과 파생의 구분 = 248
10.2.2 관련성과 일반성 = 256
10.2.3 형태부는 필요한가? = 262
10.3 동사의 굴절범주 = 266
10.3.1 동사의 내재적 특성 = 266
10.3.2 동사의 일치 특성 = 272
10.3.3 동사의 형상적 특성 = 275
10.4 명사의 굴절범주 = 282
10.4.1 명사의 내재적 범주 = 282
10.4.2 명사의 일치 범주 = 286
10.4.3 명사의 형상적 범주 = 287
10.5 접어 = 296
제11장 문법기능의 형태론적 전사
11.1 서론 = 310
11.2 술어, 논항, 어휘항목 = 311
11.3 의미역과 어휘항목 = 311
11.4 문법적 관계 = 319
11.5 문법기능 변화규칙 = 322
11.5.1 수동태 = 325
11.5.2 반(反)수동태 = 327
11.5.3 응용구문 = 329
11.5.4 사역구문 = 333
11.6 경상원리 = 334
11.7 포합 = 343
11.7.1 명사포함 = 344
11.7.2 동사 포함 = 345
11.7.3 전치사 포함 = 347
11.8 결론 = 347
제12장 숙어와 합성어 : 어휘부, 형태부, 통사부의 상호작용
12.1 서론 : 모듈 사이의 상호작용 = 354
12.2 합성어 형성에서의 음운론적 요인 = 355
12.3 합성어는 통사구와 다른가? = 357
12.3.1 '단어'의 개념의 재검토 = 358
12.3.2 목록소 = 359
12.3.3 미기재된 형태적 객체 = 360
12.3.4 통사적 객체와 통사적 원자 = 362
12.4 어형성 규칙의 특성
12.4.1 합성어의 유핵성 = 368
12.4.2 우측핵 규칙 = 378
12.4.3 좌측핵 합성어 = 384
12.4.4 무핵 합성어 = 387
12.5 합성어 형성과 파생 = 391
12.5.1 크랜베리 단어 = 391
12.5.2 신 - 고전 합성어 = 393
12.6 결론 = 395
용어 해설 = 401
참고문헌 = 408
주제 색인 (한영) = 427
주제 색인 (영한) = 437
언어 색인 = 448
인명색인 = 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