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동아시아 국제관계사 : 제2차세계대전 이후 미ㆍ중 관계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국제관계사 : 제2차세계대전 이후 미ㆍ중 관계를 중심으로 (Loan 130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최영진
Title Statement
동아시아 국제관계사 : 제2차세계대전 이후 미ㆍ중 관계를 중심으로 / 최영진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지식산업사,   1996  
Physical Medium
416 p. : 삽화, 도표, 연표 ; 23 cm
ISBN
8942330266
000 00629camcc2200205 c 4500
001 000000467606
005 20101222105613
007 ta
008 970131s1996 ulkadj 000c kor
020 ▼a 8942330266 ▼g 9334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078743 ▼l 111078744 ▼l 111078745
082 0 4 ▼a 327.5 ▼2 22
085 ▼a 327.5 ▼2 DDCK
090 ▼a 327.5 ▼b 1996a1
100 1 ▼a 최영진
245 1 0 ▼a 동아시아 국제관계사 : ▼b 제2차세계대전 이후 미ㆍ중 관계를 중심으로 / ▼d 최영진 지음
260 ▼a 서울 : ▼b 지식산업사, ▼c 1996
300 ▼a 416 p. : ▼b 삽화, 도표, 연표 ; ▼c 23 c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5 1996a1 Accession No. 11107874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5 1996a1 Accession No. 11107874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5 1996a1 Accession No. 11107874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7.095 1996 Accession No. 15103871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7.095 1996 Accession No. 15103871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5 1996a1 Accession No. 11107874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5 1996a1 Accession No. 11107874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5 1996a1 Accession No. 11107874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7.095 1996 Accession No. 15103871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7.095 1996 Accession No. 15103871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최영진(지은이)

연세대학교 특임교수이다.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사무차장보, 주 코트디부아르 유엔 평화유지임무단(UNOCI) 대표, 외교안보연구원장, 외교부 차관, 주 오스트리아 대사, 주 유엔대사, 주미 대사,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사무차장을 역임했다. UNOCI에서의 활동은 코트디부아르의 민주화와 통일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연세대에서 의과대학 4년을 수료하고,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다. 프랑스 파리1대학에서 국제관계 박사학위를 받았다. 《신 조선책략》(2013), 《코트디부아르 위기》(프랑스어 2015), 《동서양 문명 비교》(영어 2015, 폴란드어 2018, 중국어 2018) 등을 출간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책머리에 = 5 
서설 = 13 
제1장 美·中의 지정학적 이해의 일치 
  Ⅰ. 중국-동아시아의 안정화 세력 = 21 
    1. 서양에 비친 중국 = 22 
      1) 중국의 신비 = 23 
      2) 중국의 구심력 = 25 
      3) 대륙문명과 조화의 개념 = 29 
    2. 중국의 철학 = 33 
      1) 百家爭嗚 = 33 
      2) 儒敎 - 중국문화의 陽 = 35 
      3) 道敎 - 중국문화의 陰 = 37 
    3. 중국 외교정책의 기조 = 43 
      1) 자기보존 우선주의 = 43 
      2) 현상유지의 외교정책 = 47 
      3) 조공제도와 문화적 자신감 = 51 
  Ⅱ. 미국-태평양의 지배세력 = 55 
    1. 신대륙에서 미국으로 = 57 
      1) 대서양에서 태평양까지 = 57 
      2) 명백한 운명 = 60 
      3) 실리와 이상간의 괴리 = 62 
    2. 고립주의와 이상주의의 생성 = 64 
      1) 먼로주의 = 64 
      2) 국익과 이상주의의 換置 = 66 
      3) 도덕적 이상주의 = 68 
    3. 미국의 아·태정책 기조 = 73 
      1) 문호개방주의 = 74 
      2) 동아시아의 세력균형 = 79 
      3) 반패권정책 = 82 
제2장 봉쇄전략과 중국의 고립 
  Ⅰ. 공산주의 이념과 미국의 봉쇄전략 = 91 
    1. 공산 이념의 신화 = 94 
      1) 스피노자와 칸트 = 95 
      2) 부정적 이념 = 98 
      3) 전체주의의 옹호 = 102 
    2. 미국의 모호성 = 105 
      1) 이상주의와 반공 = 106 
      2) 실종된 현실주의 = 108 
      3) 중국 '상실'의 책임 = 113 
    3. 한국전쟁에서 봉쇄전략으로 = 116 
      1) 미국 군사방위선 = 118 
      2) 내맡긴 주도권 = 122 
      3) 한국전쟁의 역사적 의의 = 124 
  Ⅱ. 중·소 분쟁과 미·중·소 삼각관계 = 127 
    1. 국익 차원에서 본 중·소 분쟁 = 129 
      1) 분쟁의 언저리 = 129 
      2) 국익의 충돌 = 133 
      3) 이념의 역할 = 138 
    2. 러시아의 공산화, 그리고 공산이념의 중국화 = 140 
      1) 러시아의 제국주의 = 141 
      2) 공산화된 러시아 = 148 
      3) 공산화된 공산이념 = 153 
    3. 미·중·소 삼각관계의 역할 = 158 
      1) 중국의 고립과 미·소의 '음모' = 158 
      2) 미·소 관계의 본질 = 162 
      3) 삼각관계의 성립 = 167 
제3장 美·日·中 삼각 앙탕트 
  Ⅰ. 상해 코뮤니케와 미·중관계 정상화 = 173 
    1. 월남전과 닉슨 독트린 = 175 
      1) 월남전과 한국전 = 176 
      2) 냉전체제의 퇴색 = 180 
      3) '인민전선'과 여론의 역할 = 182 
      4) 닉슨 독트린 = 189 
    2. 상해 코뮤니케 = 190 
      1) 미·중 관계 개선의 서곡 = 191 
      2) 전략적 이해의 일치 = 197 
      3) 전술적 상이점 = 199 
    3. 미·중 앙탕트 = 204 
      1) 외교관계의 수립 = 204 
      2) 소련의 반응 = 211 
      3) 앙탕트 체제로 발전 = 214 
      4) 대만 문제와 미·중 관계 = 217 
  Ⅱ. 일본의 합세 = 222 
    1. 일본의 이원성 = 226 
      1) 대륙문화의 영향 = 226 
      2) 일본의 해양성 = 228 
      3) 이원적 일본 = 229 
    2. 미국과 소련 사이의 일본 = 235 
      1) 미·일 동맹 = 236 
      2) 일본의 재무장 = 239 
      3) 쿠릴열도와 日·蘇 관계 = 244 
    3. 아·태 反패권 앙탕트 = 250 
      1) 日·中 외교관계 수립 = 250 
      2) 중국과 소련-일본의 선택 = 254 
      3) 反패권 조항의 의미 = 258 
      4) 미·일·중 삼각체제 = 262 
제4장 域內國家의 적응 
  Ⅰ. 동남아-모스크바-하노이 추축의 형성 = 269 
    1. 中·蘇·越 삼각관계 = 271 
      1) 蘇·越 관계의 태동 = 272 
      2) 中·越 관계의 양면성 = 274 
      3) 삼각관계의 형성 = 278 
    2. 蘇·越 대 中·캄보디아 = 289 
      1) 수세에 선 중·캄보디아 = 291 
      2) 蘇-越 추축의 공세 = 296 
      3) 제3차 인도차이나전쟁 = 299 
    3. 아세안과 삼각 앙탕트 = 308 
      1) 아세안의 이질성과 동질성 = 309 
      2) 美·中 화해의 영향 = 312 
      3) 아세안의 선택-북경과 하노이 = 313 
  Ⅱ. 동북아-美·中 화해의 패러독스 = 321 
    1. 대만의 경제적 생존 = 322 
      1) 미국·대만 관계의 변천 = 322 
      2) 미·중 화해의 충격 = 326 
      3) 대만의 생존-경제성장과 내부단결 = 331 
    2. 한반도-분단과 대화 = 334 
      1) 분단의 발생 = 335 
      2) 통일 노력의 실패 = 338 
      3) 남북대화 = 344 
    3. 마지막 냉전지역 = 351 
      1) 북한의 현상타파정책과 대화 거부 = 353 
      2) 한국의 평화공존정책과 주한미군 = 359 
      3) 딜레마의 극복과 냉전의 종식 = 366 
동아시아 외교연표(1945∼1991) = 37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和田春樹 (2023)
Kissinger, Henry (2023)
국중호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