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5
서설 = 13
제1장 美·中의 지정학적 이해의 일치
Ⅰ. 중국-동아시아의 안정화 세력 = 21
1. 서양에 비친 중국 = 22
1) 중국의 신비 = 23
2) 중국의 구심력 = 25
3) 대륙문명과 조화의 개념 = 29
2. 중국의 철학 = 33
1) 百家爭嗚 = 33
2) 儒敎 - 중국문화의 陽 = 35
3) 道敎 - 중국문화의 陰 = 37
3. 중국 외교정책의 기조 = 43
1) 자기보존 우선주의 = 43
2) 현상유지의 외교정책 = 47
3) 조공제도와 문화적 자신감 = 51
Ⅱ. 미국-태평양의 지배세력 = 55
1. 신대륙에서 미국으로 = 57
1) 대서양에서 태평양까지 = 57
2) 명백한 운명 = 60
3) 실리와 이상간의 괴리 = 62
2. 고립주의와 이상주의의 생성 = 64
1) 먼로주의 = 64
2) 국익과 이상주의의 換置 = 66
3) 도덕적 이상주의 = 68
3. 미국의 아·태정책 기조 = 73
1) 문호개방주의 = 74
2) 동아시아의 세력균형 = 79
3) 반패권정책 = 82
제2장 봉쇄전략과 중국의 고립
Ⅰ. 공산주의 이념과 미국의 봉쇄전략 = 91
1. 공산 이념의 신화 = 94
1) 스피노자와 칸트 = 95
2) 부정적 이념 = 98
3) 전체주의의 옹호 = 102
2. 미국의 모호성 = 105
1) 이상주의와 반공 = 106
2) 실종된 현실주의 = 108
3) 중국 '상실'의 책임 = 113
3. 한국전쟁에서 봉쇄전략으로 = 116
1) 미국 군사방위선 = 118
2) 내맡긴 주도권 = 122
3) 한국전쟁의 역사적 의의 = 124
Ⅱ. 중·소 분쟁과 미·중·소 삼각관계 = 127
1. 국익 차원에서 본 중·소 분쟁 = 129
1) 분쟁의 언저리 = 129
2) 국익의 충돌 = 133
3) 이념의 역할 = 138
2. 러시아의 공산화, 그리고 공산이념의 중국화 = 140
1) 러시아의 제국주의 = 141
2) 공산화된 러시아 = 148
3) 공산화된 공산이념 = 153
3. 미·중·소 삼각관계의 역할 = 158
1) 중국의 고립과 미·소의 '음모' = 158
2) 미·소 관계의 본질 = 162
3) 삼각관계의 성립 = 167
제3장 美·日·中 삼각 앙탕트
Ⅰ. 상해 코뮤니케와 미·중관계 정상화 = 173
1. 월남전과 닉슨 독트린 = 175
1) 월남전과 한국전 = 176
2) 냉전체제의 퇴색 = 180
3) '인민전선'과 여론의 역할 = 182
4) 닉슨 독트린 = 189
2. 상해 코뮤니케 = 190
1) 미·중 관계 개선의 서곡 = 191
2) 전략적 이해의 일치 = 197
3) 전술적 상이점 = 199
3. 미·중 앙탕트 = 204
1) 외교관계의 수립 = 204
2) 소련의 반응 = 211
3) 앙탕트 체제로 발전 = 214
4) 대만 문제와 미·중 관계 = 217
Ⅱ. 일본의 합세 = 222
1. 일본의 이원성 = 226
1) 대륙문화의 영향 = 226
2) 일본의 해양성 = 228
3) 이원적 일본 = 229
2. 미국과 소련 사이의 일본 = 235
1) 미·일 동맹 = 236
2) 일본의 재무장 = 239
3) 쿠릴열도와 日·蘇 관계 = 244
3. 아·태 反패권 앙탕트 = 250
1) 日·中 외교관계 수립 = 250
2) 중국과 소련-일본의 선택 = 254
3) 反패권 조항의 의미 = 258
4) 미·일·중 삼각체제 = 262
제4장 域內國家의 적응
Ⅰ. 동남아-모스크바-하노이 추축의 형성 = 269
1. 中·蘇·越 삼각관계 = 271
1) 蘇·越 관계의 태동 = 272
2) 中·越 관계의 양면성 = 274
3) 삼각관계의 형성 = 278
2. 蘇·越 대 中·캄보디아 = 289
1) 수세에 선 중·캄보디아 = 291
2) 蘇-越 추축의 공세 = 296
3) 제3차 인도차이나전쟁 = 299
3. 아세안과 삼각 앙탕트 = 308
1) 아세안의 이질성과 동질성 = 309
2) 美·中 화해의 영향 = 312
3) 아세안의 선택-북경과 하노이 = 313
Ⅱ. 동북아-美·中 화해의 패러독스 = 321
1. 대만의 경제적 생존 = 322
1) 미국·대만 관계의 변천 = 322
2) 미·중 화해의 충격 = 326
3) 대만의 생존-경제성장과 내부단결 = 331
2. 한반도-분단과 대화 = 334
1) 분단의 발생 = 335
2) 통일 노력의 실패 = 338
3) 남북대화 = 344
3. 마지막 냉전지역 = 351
1) 북한의 현상타파정책과 대화 거부 = 353
2) 한국의 평화공존정책과 주한미군 = 359
3) 딜레마의 극복과 냉전의 종식 = 366
동아시아 외교연표(1945∼1991) =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