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42c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00462048 | |
005 | 20100806082552 | |
007 | ta | |
008 | 970127s1996 ulka 001a kor | |
020 | ▼a 8930034403 : ▼c \20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078521 ▼l 111078522 ▼l 111078523 ▼l 111074050 |
082 | 0 4 | ▼a 351 ▼2 21 |
090 | ▼a 351 ▼b 1996 | |
100 | 1 | ▼a 이문영 |
245 | 1 0 | ▼a 논어 ㆍ 맹자와 행정학 / ▼d 이문영 [저]. |
260 | ▼a 서울 : ▼b 나남출판 , ▼c 1996. | |
300 | ▼a 828 p. : ▼b 삽도 ; ▼c 23 cm. | |
490 | 0 0 | ▼a 나남신서 ; ▼v 440 |
500 | ▼a 색인 및 부록포함 | |
504 | ▼a 참고문헌포함 | |
950 | 0 1 | ▼a \20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51 1996 | 등록번호 11107405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1 1996 | 등록번호 11107852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351 1996 | 등록번호 192044881 |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천원 351 1996 | 등록번호 192055011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 청구기호 351 1996 | 등록번호 11107852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 청구기호 351 1996 | 등록번호 1110785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7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51 1996 | 등록번호 15103045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8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51 1996 | 등록번호 15103045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51 1996 | 등록번호 11107405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1 1996 | 등록번호 11107852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351 1996 | 등록번호 192044881 |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천원 351 1996 | 등록번호 192055011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 청구기호 351 1996 | 등록번호 11107852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 청구기호 351 1996 | 등록번호 1110785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51 1996 | 등록번호 15103045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51 1996 | 등록번호 15103045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문영(지은이)
1927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시건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북한의《로동신문》60개월분을 분석해서 쓴 논문〈북한 행정권력의 변질요인에 관한 연구〉로 1970년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 논문에서 비록 전체주의 체제라 할지라도 ‘일하는 조직’과 ‘개인을 존중하는 조직’이 생겨나기 시작하면 체제의 자유화와 남북의 공존·교류가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일하는 조직’과 ‘개인을 존중하는 조직’의 원형 연구는 평생의 연구 과제이지만, 1973년, 1975년, 1980년 세 번에 걸쳐 모두 9년 6개월 동안 해직되고 그사이 5년간 영어의 생활을 했기에 연구를 계속 할 수가 없었다. 첫 번째 투옥은 3·1민주구국선언에 참여, 유신헌법이 민주헌법이 아님을 선언했기 때문이고, 두 번째 투옥은 YH 노동자를 외면할 수 없어 이른바 국가보위법의 첫 번째 위반자들과 행동을 함께 했기 때문이고, 세 번째 투옥은 1980년 5월 17일 전두환 정권이 조작한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 때문이었다. 1984년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복직해1992년 정년퇴임 이후에도 연구를 이어가 ‘행정의 최소 조건’ 5부작을 완성했다. 5부작의 처음은 1970년의 박사학위 논문이고, 그 뒤 네 권은 《자전적 행정학》(실천문학, 1991), 《논어맹자와 행정학》(나남, 1996), 《인간·종교·국가―미국행정, 청교도정신, 그리고 마르틴 루터의 95개조》(나남, 2001), 《협력형 통치―원효·율곡·함석헌·김구를 중심으로》(열린책들, 2006)이다. 자전적 의미를 담고 있는 《겁 많은 자의 용기》(삼인, 2008) 이후 생의 결산이 될 이 책 《3·1운동에서 본 행정학》에서는 3·1운동 정신의 핵인 비폭 력에 맥락 지어 우리가 열어야 할 세계를 성찰하고있다.

목차
목차 일러두기 = 6 서문 (논어)·(맹자)는 곧 행정학 교과서이다 = 15 왜 (논어)·(맹자)인가 = 16 개인적 동기 = 19 연구의 진행 = 23 자료의 정리 = 26 주관과 객관의 조우 = 29 이 책의 효용 = 31 학문적 입장 = 39 이 책의 한계 = 41 감사의 글 = 44 제1장 이어짐 : 정년 후 첫 강의에서 나의 이어짐 = 47 시작의 경험 = 50 거듭하는 시작 = 52 행위의 논리 = 54 行有餘力則以學文 = 56 시작 이전의 사람들 = 57 무엇을 이어서 무엇에 잇게 할까 = 68 '통치틀'에 대한 이해 = 75 통치틀을 만드는 자 = 92 강의 실라버스 = 95 사적 경험의 확대 = 103 제1부 사적 세계 제2장 시작에 대한 이해 (논어집주) 序說 = 107 신의 개념 = 108 인간의 개념 = 111 프로이트가 보는 사람의 시작 = 113 사람이 시작에서 소유하는 세 가지 = 116 물질 = 121 경험적 인식 = 131 제사 = 140 관료조직 문화와 민회 문화에서의 시작 = 152 제3장 사실과 가치 전에 안 '사실과 가치' = 157 (告子) 章句 上 모두 = 159 性과 作用是性 = 161 性의 내용 = 165 性의 보편타당성 = 166 反退化의 의무 = 168 의무를 저버린 사람의 관심사 = 174 반퇴화를 안 하는 결과 = 176 반퇴화의 요령 = 177 浩然之氣를 기른다 = 178 제4장 현상학적 접근 노동부의 한 직원 = 189 해직된 경위 = 193 오늘에 필요한 사람 = 195 현상학 = 197 판단중지와 환원 = 206 흘러가는 江 = 210 위기감 = 213 평범한 사람의 일상 생활 = 216 상호주관성 = 218 겉과 속 = 219 제5장 가장 귀중한 것 나와 나라 = 245 '평범한 사람의 성실한 일상 생활' 序章 = 252 (鄕黨) 모두 = 256 의식주에서의 성실 = 261 행동 기준으로서의 선악 = 263 下의 존경을 받는 上 = 264 패러다임에 관한 세 가지 검토 = 266 이어가는 존재 = 271 제2부 공적 세계 제6장 행정을 정의하는 세 범주 : 사람, 일, 방법 나의 행정학 정의 = 283 (논어)의 첫 글 = 292 범주의 발전 순서 = 298 사회적 능률을 올리는 것이 방법이다 = 306 사회적 관계를 향상하게 하는 것이 일이다 = 309 배움의 내용 = 313 사람은 물질이 아니다-(里仁) 모두 = 317 홀로 있는 존재 = 321 제7장 두 가지 행정 인간 정신과 행정 기술 = 327 王道와 패道 = 333 사람(A1과 B1) = 338 일(A2와 B2) = 348 방법(A3과 B3) = 357 제8장 최악의 상태 왜 우리는 '악한 정부'를 고발하지 않는가 = 365 한 사례 = 368 병의 진전 = 376 불치의 병 = 390 제9장 최선의 상태 왜 仁義禮智가 오늘에도 필요한가 = 403 원전에서 본 공존 = 407 원전에서 본 순서 = 414 비폭력 = 419 개인윤리 = 424 사회윤리 = 431 자기희생 = 437 제3부 행정구도 제10장 조직 행정구도와 조직 = 453 조직의 네 얼굴 = 457 비폭력 = 463 조직의 지적 대응 = 474 조직 내 상하간의 합의 = 477 조직과 조직 밖의 조직 = 497 조직의 해체와 존속 = 504 제11장 정책 정책의 정의 = 507 전제가 되는 이론 = 510 '시작'의 세 조건을 충족하는 사례 = 517 순서를 설명하는 사례 = 531 제12장 재무 행정 있어도 없는 것 같은 것(有若無) = 539 재무행정의 내용 = 553 惠而不費 = 557 오늘과 어떻게 다른가 = 560 제13장 인사 행정 콩쥐와 팥쥐 = 563 임용 절차로서의 禮 = 573 경우에 맞는 인사 조치 = 580 구성원간의 화목 = 587 소외된 국민의 등용 = 595 구성원들의 이견 수용 = 598 제4부 문명 속의 행정 제14장 최소의 공존 요건 두 개의 '시작' = 605 공적 질서의 우위 = 609 執中의 우위 = 611 스승이 만드는 사람 = 630 최소 공존요건의 현대적 의의 = 639 제15장 실패한 문명 우리 나라의 위치는 무엇인가 = 653 왜 교회라는 민회가 중요한가 = 660 기독교는 무엇을 회개할까 = 671 제16장 궁극의 과제 큰사람 = 681 美의 행정학 = 700 참고문헌 = 721 부록Ⅰ 이 책의 章節別로 인용된 (論語)·(孟子)를 밝히는 索引 = 729 부록Ⅱ (論語)·(孟子)의 章節別로 이 책의 언급을 밝히는 索引 = 751 부록Ⅲ 원전에서의 등장인물 索引 = 799 부록Ⅳ 주제 索引 = 807 부록Ⅴ 인물 索引 = 815 부록Ⅵ 孔子·孟子의 年表 = 823 부록Ⅶ 春秋·戰國時代 지도 = 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