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역사를 위하여 : 강만길 역사에세이

역사를 위하여 : 강만길 역사에세이 (43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강만길
서명 / 저자사항
역사를 위하여 : 강만길 역사에세이 / 강만길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한길사,   1996  
형태사항
260 p. ; 23 cm
ISBN
8935610968
000 00641camcc2200205 c 4500
001 000000457514
005 20120210162911
007 ta
008 961230s1996 ulk 000c kor
020 ▼a 8935610968 ▼g 039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076849 ▼f 개가 ▼l 111076850 ▼f 개가 ▼l 111076851 ▼l 131002052 ▼l 131002053 ▼l 131002054 ▼l 192007760
082 0 4 ▼a 951.9002 ▼2 22
085 ▼a 953.002 ▼2 DDCK
090 ▼a 953.002 ▼b 1996
100 1 ▼a 강만길 ▼0 AUTH(211009)50824
245 1 0 ▼a 역사를 위하여 : ▼b 강만길 역사에세이 / ▼d 강만길 지음
260 ▼a 서울 : ▼b 한길사, ▼c 1996
300 ▼a 260 p. ; ▼c 23 c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02 1996 등록번호 1110768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02 1996 등록번호 11130668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1 청구기호 953.002 1996 등록번호 1110768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1 청구기호 953.002 1996 등록번호 1110897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953.002 1996 등록번호 192007760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6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천원 953.002 1996 등록번호 192056111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7 소장처 중앙도서관/박물관/ 청구기호 약헌 953.002 1996 등록번호 912013792 도서상태 열람불가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8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청구기호 953.002 1996 등록번호 1210278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9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청구기호 953.002 1996 등록번호 12102789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0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청구기호 953.002 1996 등록번호 1210279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청구기호 953.002 1996 등록번호 11107685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청구기호 953.002 1996 등록번호 1116567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3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4/ 청구기호 953.002 1996 등록번호 13100205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953.002 1996 등록번호 1510342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02 1996 등록번호 1110768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02 1996 등록번호 11130668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1 청구기호 953.002 1996 등록번호 1110768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1 청구기호 953.002 1996 등록번호 1110897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953.002 1996 등록번호 192007760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6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천원 953.002 1996 등록번호 192056111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7 소장처 중앙도서관/박물관/ 청구기호 약헌 953.002 1996 등록번호 912013792 도서상태 열람불가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청구기호 953.002 1996 등록번호 1210278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청구기호 953.002 1996 등록번호 12102789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청구기호 953.002 1996 등록번호 1210279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청구기호 953.002 1996 등록번호 11107685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청구기호 953.002 1996 등록번호 1116567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4/ 청구기호 953.002 1996 등록번호 13100205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953.002 1996 등록번호 1510342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강만길(지은이)

1933년 경남 마산에서 태어났다. 소년시절에 일제강점 말기와 해방정국을 경험하며 역사공부에 뜻을 두게 되어 고려대학교 사학과에 입학했다. 대학원에 다니며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일하다 1967년 고려대 사학과 교수로 임용되었으며, 1972년 ‘유신’ 후 독재정권을 비판하는 각종 논설문을 쓰면서 서서히 현실비판적 지식인으로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광주항쟁 직후 항의집회 성명서 작성과 김대중으로부터의 학생선동자금 수수 혐의 등으로 구금되었다가 고려대에서 해직되었다. 1984년 4년 만에 복직하여 강단으로 돌아온 이후 정년퇴임하는 1999년까지 한국근현대사 연구와 저술활동을 통해 진보적 민족사학의 발전에 힘을 쏟았으며, 2001년 상지대학교 총장을 맡아 학교운영 정상화와 학원민주화를 위해 노력했다. 김대중정권부터 노무현정권까지 약 10년간 통일고문을 역임했고, 남북역사학자협의회 남측위원회 위원장,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위원장, 광복60주년기념사업 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2000년 역사대중화를 위해 계간지 『 내일을 여는 역사 』 를 창간했으며, 2007년부터 재단법인 ‘내일을 여는 역사재단’을 설립해 젊은 한국근현대사 전공자들의 연구를 지원해왔다. 2023년 6월, 향년 90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1
 역사진행의 방향을 찾아서
  이불 속에 구겨진 천자문 = 17
  해방과 전쟁의 소용돌이 = 20
  역사는 왜 말이 없는가 = 23
  역사의 뒷바퀴에 깔리기도 하고 = 25
  서대문구치소의 고적답사 = 29
  역사는 어디로 가는가 = 32
 취조실의 역사선생
  취조실에서의 보람 = 35
 『아리랑의 노래』를 처음 읽던 날 = 39
 갈 수 없는 나라
  바지만 걷으면 건널 수 있는 조국의 한쪽 = 43
  '따오기'를 함께 부르며 = 46
2
 외로운 구름
  월영대에 서린 최치원의 비극 = 53
  신채호와 이광수의 갈림길 = 56
  시대를 앞서간 지도자 몽양 여운형 = 60
  김규식의 큰 선택 = 64
  외국인이 아닌 외국인 서재필의 비극 = 66
 서대문형무소에 스민 역사
  영예를 잉태한 현장 = 71
  식민지배의 족쇄 = 73
  다시 민주·통일운동의 현장으로 = 80
  역사는 남아야 한다 = 84
『5공화국 전사』의 진실
  구국 일념의 역사적 거사? = 87
  피를 토해 죽는다 해도 정통성은 세울 수 없다 = 89
 군사정권의 탯줄은 끊었는가
  김영삼 정권이 갖는 역사성 = 93
  문민정부는 역사인식부터 달라져야 한다 = 96
  5.18광주민중항쟁과 역사의 심판 = 99
 선열들의 유해는 통일조국으로 돌아아야 한다
  정통성 문제는 왜 일어나는가 = 103
  정통성은 무엇으로 세워지는가 = 106
  정통성의 진정한 의미 = 108
  정통성을 옳게 세우는 길 = 113
 꽃은 그 나름의 빛과 향기를 지닐 때 가장 아름답다
  흐르는 물 = 117
  용광로 속에서도 녹지 않았던 주체성 = 119
  불어닥친 강풍 = 122
  모든 꽃은 나름대로의 빛과 향기를 지닌다 = 126
3
 총독부 건물이 사라져도 지워지지 않는 것
  '테레비'는 일본말이다 = 131
  "그대는 천황의 신민이다" = 134
  이완용이라도 사유재산권은 보장되어야 하는가 = 138
 살아 있는 신
  일왕 히로히토의 죽음 = 139
  일본의 왕은 아직도 신인가 = 142
  가미가제 특공대 기념관에서 눈물짓는 일본 = 145
  "독도는 한국땅입니다" = 147
 일본 천황은 왜 '통석'해 하는가
  과거청산의 출발점 = 151
  강제지배 사실이 명기된 배상조약이어야 한다 = 154
4
 통일의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
  반쪽의 헌 부대는 버리자 = 161
  유엔가입이 통일을 좌우하지 않는다 = 164
  김일성 주석의 죽음과 남북관계 = 168
 좌우는 하나였다
  "반조각 정부로는 임정법통을 계승할 근거가 없다" = 171
  독립운동 때는 좌우가 하나였는데 = 174
 젊은 세대에게 바란다
  세대차와 역사발전 = 179
  적대인식에서 동족인식으로 = 181
  젊은 세대에게 바란다 = 183
 두 강물은 결국 하나가 된다
  민족사 안에서 본 분단 50년 = 187
  민족사 밖에서 본 분단 50년 = 190
  분단국가주의 50년과 통일민족주의 = 192
 통일조국의 국가(國歌)
  통일조국의 새로운 국가 = 197
  국가에 담길 뜻 = 199
5
 역사란 무엇인가
  무엇이 역사가 되는가 = 205
  역사의 의미는 늘 변한다 = 207
  역사는 결국 어디로 가는가 = 210
 왜 역사에서 현재성이 중요한가
  모든 역사는 현재의 역사이다 = 213
  시대에 따라 사실(史實)의 역사적 가치는 달라진다 = 215
  역사는 늘 새롭게 선택되고 해석된다 = 219
  역사의 객관적 진실 = 220
 우리 현대사를 어떻게 쓸 것인가
  역사는 현재를 비추는 거울이다 = 223
  역사는 왜 왜곡되는가 = 227
  현재의 반성과 미래의 결단 = 231
  현대사의 큰 줄기 = 234
  분단시대사의 서술방향 = 236
  현대사 서술의 세 가지 방향 = 238
 민족주의사관의 어제와 오늘
  일제식민지시대의 민족주의사관 = 241
  8.15 후의 민족주의사관 = 244
  새롭게 수립해야 할 민족주의사관 = 247
 반쪽의 역사를 넘어
  식민지시대 민족해방운동을 어떻게 볼 것인가 = 251
  왜 통일전선운동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는가 = 252
  통일전선운동이 갖는 역사적 의미 = 255
  통일전선운동의 현재적 의의 = 257


관련분야 신착자료

안확 (2023)
서천군지편찬위원회 (2023)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沈志華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