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현대행정학 제3전정판

현대행정학 제3전정판 (5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유종해
서명 / 저자사항
현대행정학 / 劉鐘海 著.
판사항
제3전정판
발행사항
서울 :   博英社 ,   1995.  
형태사항
747 p. ; 23cm.
ISBN
8910450797
000 00557camccc200217 k 4500
001 000000457420
005 20100806071733
007 ta
008 961230s1995 ulk 001 kor
020 ▼a 8910450797 ▼g 93350 : ▼c \23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076139 ▼l 111076140 ▼l 111076141
082 0 4 ▼a 351 ▼2 21
090 ▼a 351 ▼b 1995c
100 1 ▼a 유종해 ▼0 AUTH(211009)67556
245 1 0 ▼a 현대행정학 / ▼d 劉鐘海 著.
250 ▼a 제3전정판
260 ▼a 서울 : ▼b 博英社 , ▼c 1995.
300 ▼a 747 p. ; ▼c 23cm.
950 0 ▼b \23000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 1995c 등록번호 11107614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1999-04-30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1 청구기호 351 1995c 등록번호 1110761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1 청구기호 351 1995c 등록번호 1110761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유종해(지은이)

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행정학석사) The University of Michigan(MPA, Ph.D.) Eastern Michigan University 교수 연세대학교 행정학 교수, 사회과학연구소장, 지역사회개발연구소장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장 명지대학교 객원교수 한국행정학회장(제17대) 한국교정학회장 입법고시, 행정고시, 외무고시위원 3급 공무원 특별채용 및 승진시험위원 국무총리실 지방자치제실시 연구위원, 총무처·내무부 정책자문위원, 이북5도위원회 행정자문 위원장 현 매산공공정책연구소장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편 序論 : 現代行政의 環境

 제1장 現代行政의 意義

  제1절 行政의 諸定義 = 3

  제2절 行政의 槪念 = 5

   Ⅰ. 行政法學的 行政槪念 = 5

   Ⅱ. 行政學的 行政槪念 = 6

  제3절 行政에 대한 偏見 = 9

   Ⅰ. 行政에 대한 偏見 = 9

   Ⅱ. 行政에 대한 偏見의 克服方法 = 11

  제4절 政治와 行政 = 13

  제5절 現代行政決定의 特性 = 15

  제6절 公行政과 私行政 = 18

 제2장 現代行政의 特質

  제1절 特質上으로 본 特質 = 21

  제2절 傾向上으로 본 特質 = 23

  제3절 韓國行政의 發展過程 = 27

   Ⅰ. 序言 = 27

   Ⅱ. 韓國行政의 歷史的 環境과 行政의 發展 = 28

 제3장 現代行政의 特性

  제1절 國家機能의 變質과 行政權의 强化 = 32

   Ⅰ. 變質過程 = 32

   Ⅱ. 行政權强化의 內容 = 33

  제2절 行政機構·公務員·豫算의 暴增 = 34

  제3절 行政機能의 分業化·專門化·技術化 = 35

  제4절 行政企劃機能의 重視 = 35

  제5절 新中央集權化 傾向 = 36

  제6절 廣域行政方式의 擡頭 = 37

 제4장 現代行政學의 發達

  제1절 行政學發達의 背景 = 39

  제2절 美國行政學의 發達 = 40

   Ⅰ. 行政改革運動의 根源 = 40

   Ⅱ. 科學的 方法에 의한 發展 = 41

   Ⅲ. 政治學과의 妥結 = 44

  제3절 行政學의 새로운 擴張 = 46

  제4절 新行政學 = 49

  제5절 우리 나라 行政學의 發達 = 51

 제5장 行政學의 硏究

  제1절 行政學硏究의 模型 = 53

  제2절 行政原理의 發展과 變遷 = 55

   Ⅰ. 行政原理의 發展 = 55

   Ⅱ. 行政理論의 變遷 = 57

  제3절 行政의 信賴性 提高方案 = 60

   Ⅰ. P.R.의 强化 = 60

   Ⅱ. 行政責任制의 强化 = 61

   Ⅲ. 監督制의 强化 = 61

   Ⅳ. 公務員敎育訓練의 强化 = 61

   Ⅴ. 公務員의 意識構造 改善 = 62

   Ⅵ. 새로운 管理技法의 도입 = 62

   Ⅶ. 管理統制의 확립 = 63

   Ⅷ. 職業公務員制의 확립 = 63

  제4절 現代行政의 基本理念 = 64

   Ⅰ. 合法性 = 64

   Ⅱ. 能率性 = 64

   Ⅲ. 民主性 = 66

   Ⅳ. 效果性 = 70

   Ⅴ. 政治的 中立性 = 70

   Ⅵ. 社會的 衡平性 = 70

   Ⅶ. 加外性 = 71

  제5절 行政倫理論 = 74

   Ⅰ. 行政倫理問題의 대두 = 74

   Ⅱ. 倫理와 行政의 倫理性 = 75

   Ⅲ. 行政의 倫理性과 公職倫理 = 76

   Ⅳ. 行政學에 있어서 倫理問題 = 79

  제6절 行政學의 接近法 = 81

   Ⅰ. 社會學的 接近法 = 82

   Ⅱ. 生態論的 接近法 = 82

   Ⅲ. 行態論的 接近法 = 84

   Ⅳ. 社會心理學的 接近法 = 85

   Ⅴ. 比較論的 接近法 = 85

   Ⅵ. 體系的 接近法과 機能的 分析 = 86

제2편 國家發展과 行政

 제1장 國家發展의 槪念

  제1절 發展의 定義 = 93

  제2절 發展行政에서의 여러 定義 = 94

 제2장 發展理論의 系譜

  제1절 序論 = 97

  제2절 問題의 傾向 = 98

   Ⅰ. 行政發展과 政治發展의 同一視 = 98

   Ⅱ. 政治發展과 行政發展의 相衡 = 99

   Ⅲ. 政治發展과 行政發展의 相互依存 = 100

   Ⅳ. 傾向의 綜合 = 101

 제3장 開發途上國 行政의 特徵

  제1절 開發途上國 行政의 理論模型 = 103

  제2절 開發途上國 社會環境의 特徵 = 104

   Ⅰ. 政治的 環境 = 104

   Ⅱ. 經濟的 環境 = 106

   Ⅲ. 社會·文化的 環境 = 106

  제3절 開發途上國 行政體系의 模型 = 107

  제4절 開發途上國 行政體系의 一般的 特徵 = 109

 제4장 比較行政

  제1절 比較行政의 意義 및 發展要因 = 112

  제2절 比較行政의 接近方法 = 114

  제3절 行政體系의 模型 = 116

   Ⅰ. 헤디의 分類 = 116

   Ⅱ. 리그스의 分類 = 118

  제4절 先進國家의 行政 = 119

  제5절 開發途上國家의 行政 = 120

 제5장 發展行政

  제1절 發展行政의 擡頭 = 121

  제2절 發展의 槪念 = 122

  제3절 發展行政의 槪念 = 123

  제4절 發展行政의 接近方法 = 125

 제6장 國際行政

  제1절 國際行政의 槪念 = 129

  제2절 國際組織 = 131

  제3절 國際行政의 特徵 = 132

  제4절 國際行政의 展望的 考察 = 133

 제7장 行政改革

  제1절 行政改革의 意義 = 135

  제2절 行政改革의 必要性 = 136

  제3절 行政改革의 接近方法 = 137

  제4절 行政改革의 節次 = 139

  제5절 行政改革의 障碍 = 141

  제6절 韓國의 行政改革 = 144

   Ⅰ. 第1共和國의 行政改革 = 144

   Ⅱ. 第2共和國의 行政改革 = 145

   Ⅲ. 第3·4共和國의 行政改革 = 145

   Ⅳ. 第5共和國의 行政改革 = 146

   Ⅴ. 第6共和國의 行政改革 = 146

  제7절 우리 나라 行政改革의 問題點 = 147

 제8장 行政責任 및 統制

  제1절 行政責任 = 149

   Ⅰ. 責任의 槪念 = 149

   Ⅱ. 行政責任의 特質 = 149

   Ⅲ. 行政責任의 區分 = 150

   Ⅳ. 行政責任의 基準 = 151

  제2절 民主統制 = 152

   Ⅰ. 民主統制의 槪念 = 152

   Ⅱ. 民主統制의 方式 = 153

   Ⅲ. 民主統制의 先行要件 = 157

 제9장 行政과 市民參與

  제1절 市民參與의 槪念 = 160

  제2절 市民參與의 公式的 側面 = 161

  제3절 參與와 行政行態 = 162

  제4절 市民參與의 非公式的 側面 = 163

  제5절 意味 있는 參與를 위한 代案 = 166

  제6절 市民參與의 肯定的 側面 = 166

 제10장 公職의 倫理

  제1절 公職倫理의 意義 = 168

  제2절 公職倫理의 새로운 擡頭와 必要性 = 169

   Ⅰ. 行政倫理의 理論的 擡頭 = 169

   Ⅱ. 公職倫理의 必要性 = 172

  제3절 公職倫理의 內容과 形式 = 174

   Ⅰ. 消極的 側面의 公職倫理 = 174

   Ⅱ. 積極的 側面의 公職倫理 = 175

   Ⅲ. 倫理의 統制手段 = 176

  제4절 公職倫理 확립을 위한 바람직한 戰略 = 178

   Ⅰ. 組織的 次元 = 178

   Ⅱ. 構造的 次元 = 179

   Ⅲ. 環境的 次元 = 179

   Ⅳ. 個人的 次元 = 180

제3편 行政機關의 政策決定 및 企劃

 제1장 槪說

  제1절 政策決定의 槪念 = 183

  제2절 政策決定與件의 變化 = 184

  제3절 政策決定과 行政學 = 187

   Ⅰ. 行政學의 變遷 = 188

   Ⅱ. 現代의 行政學 = 191

 제2장 政策決定의 理論과 實際

  제1절 政策決定에 관한 諸理論 = 195

   Ⅰ. 政策決定의 硏究傾向 = 195

   Ⅱ. 合理的 決定模型 = 196

   Ⅲ. 滿足模型 = 197

   Ⅳ. 漸增模型 = 197

   Ⅴ. 混合走査模型 = 199

   Ⅵ. 最適模型 = 199

   Ⅶ. 其他模型 = 200

  제2절 政策決定의 實際 = 203

   Ⅰ. 政策決定의 過程 = 203

   Ⅱ. 政策決定의 參與者 = 204

   Ⅲ. 合理的 決定의 制約要因 = 208

 제3장 政策科學과 政策分析

  제1절 政策科學의 必要性 = 211

  제2절 政策科學의 基礎 = 214

  제3절 政策分析 = 217

   Ⅰ. 政策分析의 意義 = 217

   Ⅱ. 政策分析의 一般的 節次 = 218

   Ⅲ. 政策分析의 役割 = 218

   Ⅳ. 政策分析의 限界 = 220

 제4장 政策執行論

  제1절 政策執行의 意義 = 222

  제2절 政策執行의 諸要素 = 223

   Ⅰ. 目標 = 223

   Ⅱ. 尺度 = 223

   Ⅲ. 測定 = 224

   Ⅳ. 說明 = 224

  제3절 效果的 政策執行의 沮害要因 = 225

   Ⅰ. 不充分한 資源 = 225

   Ⅱ. 不完全한 知識 = 225

   Ⅲ. 組織의 問題 = 225

   Ⅳ. 複雜한 環境 = 226

   Ⅴ. 政策執行家들의 偏見 = 226

  제4절 政策執行能力 向上條件 = 226

 제5장 企劃論

  제1절 企劃의 本質 = 229

  제2절 企劃의 性格 = 230

  제3절 企劃制度의 發達 = 231

  제4절 企劃의 類型 = 235

  제5절 企劃行政의 機構 = 236

  제6절 企劃의 過程 = 238

   Ⅰ. 企劃의 一般過程 = 238

   Ⅱ. 企劃執行의 隘路點 = 240

 제6장 政策評價論

  제1절 政策評價의 意義 = 243

  제2절 政策評價의 分析틀 = 244

  제3절 政策評價에 관한 體系分析的 接近 = 247

   Ⅰ. 體系의 槪念 = 247

   Ⅱ. 體系分析의 諸類型 = 247

  제4절 政策評價의 問題點 = 253

제4편 行政組織

 제1장 現代組織의 意義

  제1절 組織의 槪念 = 257

  제2절 現代組織의 特性 = 258

 제2장 組織의 類型

  제1절 槪說 = 259

  제2절 諸學者의 類型別 分類 = 260

  제3절 組織의 變型(overlays) = 265

 제3장 組織理論의 系譜

  제1절 古典的 組織理論 = 269

  제2절 人間關係論 = 272

   Ⅰ. 人間關係論에 관한 諸實驗 = 274

   Ⅱ. 人間關係論의 結論 = 277

  제3절 構造論 = 277

   Ⅰ. 古典理論과 人間關係論의 融合 = 278

   Ⅱ. 開放關係 = 279

   Ⅲ. 豫見可能性의 增大 = 281

   Ⅳ. 意思決定論 = 284

 제4장 組織과 個人

  제1절 組織에서의 人間觀 = 288

  제2절 組織에서의 人間에 관한 諸理論 = 289

   Ⅰ. 매슬로우의 欲求階層理論 = 289

   Ⅱ. 맥그리거의 X·Y理論 = 290

   Ⅲ. 호만스의 人間集團理論 = 291

   Ⅳ. 아지리스의 成熟-未成熟理論 = 292

   Ⅴ. 허즈버그의 動機-衛生理論 = 293

   Ⅵ. 베른의 意思去來分析理論 = 294

   Ⅶ. 리커트의 管理體系理論 = 295

   Ⅷ. 브룸의 動機期待理論 = 296

  제3절 諸理論의 綜合的 考察 = 297

 제5장 組織의 目標

  제1절 槪說 = 299

  제2절 組織의 目標 = 299

  제3절 組織目標의 種類 = 300

  제4절 目標와 環境 = 302

  제5절 目標의 變化 = 303

  제6절 組織目標와 個人目標 = 303

 제6장 組織과 環境

  제1절 組織과 環境의 關係 = 305

  제2절 環境에 관한 硏究 = 305

  제3절 環境의 分類 = 309

  제4절 組織環境의 變化 = 313

 제7장 現代組織의 階層制

  제1절 階層制와 權力 = 317

   Ⅰ. 權威와 權力類型 = 320

   Ⅱ. 權威와 役割의 受容 = 323

  제2절 上昇의 誘因으로서의 階層制 = 326

   Ⅰ. 階層制의 機能 = 326

   Ⅱ. 昇進慾 : 세 가지 觀點 = 327

   Ⅲ. 成功의 多樣性 = 330

 제8장 官僚制

  제1절 官僚制의 意義 = 337

   Ⅰ. 槪念 = 337

   Ⅱ. 官僚制의 硏究傾向 = 338

  제2절 官僚制의 特徵 = 339

   Ⅰ. 베버의 官僚制理論 = 339

   Ⅱ. 베버理論의 再評價 = 340

   Ⅲ. 官僚制의 病理 = 342

   Ⅳ. 官僚制의 刷新 = 344

   Ⅴ. 官僚制의 民主主義 = 345

 제9장 애드호크라시

  제1절 애드호크라시의 槪念 = 348

  제2절 애드호크라시의 活用 = 349

  제3절 애드호크라시의 限界 = 351

 제10장 組織의 編成

  제1절 組織編成의 原理 = 352

   Ⅰ. 組織原理의 評價 = 352

   Ⅱ. 組織編成의 原理 = 353

  제2절 組織編成의 基準 = 357

 제11장 集權化와 分權化

  제1절 集權과 分權의 意義 = 360

  제2절 集權化와 分權化의 要因 = 361

  제3절 集權과 分權의 長·短點 = 364

  제4절 新中央集權化傾向과 限界 = 364

   Ⅰ. 新中央集權化의 原因과 意義 = 364

   Ⅱ. 新中央集權의 限界 = 364

  제5절 分權化의 國家制度로서의 地方自治制 = 367

  제6절 地方自治의 새로운 傾向 = 368

 제12장 系線과 幕僚組織

  제1절 系線 및 幕僚組織의 槪念 = 370

  제2절 幕僚機關의 性格과 機能 = 371

  제3절 幕僚機關의 類型 = 372

  제4절 系線·幕僚·補助機關의 特徵과 長·短點 = 373

  제5절 系線과 幕僚의 不和問題 = 374

  제6절 不和의 解決方案 = 375

 제13장 非公式組織

  제1절 非公式組織의 槪念 = 376

  제2절 公式組織과 非公式組織의 比較 = 376

  제3절 非公式組織의 形成要因 = 377

  제4절 非公式組織의 機能 = 378

  제5절 非公式組織에 대한 統制 = 379

 제14장 委員會制度

  제1절 委員會의 槪念 = 381

  제2절 委員會의 類型 = 382

  제3절 委員會의 長·短點 = 384

  제4절 效率的인 運營을 위한 要件 = 386

 제15장 組織의 集合

  제1절 組織集合의 槪念 = 387

  제2절 組織集合의 特性 = 387

  제3절 組織集合의 機能 = 388

  제4절 組織集合의 分析的 使用 = 388

  제5절 組織集合의 人事交流上 效果 = 391

  제6절 組織集合의 構造的 類似傾向 = 393

 제16장 組織發展

  제1절 組織發展의 槪念 = 395

  제2절 組織發展의 特徵 및 目的 = 398

  제3절 組織發展의 背景 = 400

  제4절 組織發展의 過程 및 戰略 = 402

  제5절 組織發展의 問題點 = 406

  제6절 組織發展의 成功을 위한 條件 및 技術 = 407

  제7절 韓國 行政組織에서의 組織發展의 問題點과 方向 = 408

제5편 行政管理

 제1장 現代行政管理槪說

  제1절 行政管理의 意義 = 411

  제2절 行政管理의 緊要性 = 412

  제3절 行政管理의 目標 = 413

  제4절 行政管理의 現況 = 414

  제5절 行政管理의 高度化方案 = 416

  제6절 行政管理效率化의 前提條件 = 418

 제2장 組織과 葛藤의 管理

  제1절 組織葛藤의 序說 = 420

  제2절 葛藤의 機能 = 421

  제3절 葛藤의 類型 = 423

  제4절 葛藤의 原因과 解決方案 = 424

 제3장 커뮤니케이션

  제1절 序說 = 427

  제2절 커뮤니케이션의 意義 = 428

  제3절 커뮤니케이션의 類型 = 428

  제4절 커뮤니케이션의 基本過程 = 430

  제5절 커뮤니케이션의 機能 = 431

  제6절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주는 要因 = 431

  제7절 커뮤니케이션의 障碍要因 = 433

   Ⅰ. 障碍要因 = 433

   Ⅱ. 커뮤니케이션의 變質 = 433

   Ⅲ. 內容의 正確性回復과 維持 = 434

  제8절 커뮤니케이션의 一般原則과 改善方案 = 434

 제4장 公共關係

  제1절 序說 = 436

  제2절 公共關係의 槪念 = 437

  제3절 公共關係의 本質 = 438

  제4절 公共關係의 機能과 그 批判 = 439

  제5절 우리 나라 P.R. 行政의 問題點과 그 改善方案 = 440

 제5장 리더십

  제1절 序說 = 442

  제2절 리더십의 槪念 = 442

  제3절 리더십理論의 接近方法 = 444

  제4절 리더십의 類型 = 446

  제5절 韓國에서 요청되는 리더십 = 456

 제6장 行政調整

  제1절 序說 = 457

  제2절 行政調整의 意義 = 457

  제3절 行政調整의 手段 = 458

  제4절 調整의 沮害要因 = 460

  제5절 效率的 調整의 指針 = 461

 제7장 組織의 情報管理

  제1절 情報體系의 槪念 = 463

  제2절 組織情報의 特質 = 465

 제8장 目標에 의한 管理制(MBO)

  제1절 MBO의 槪念 = 469

  제2절 MBO의 歷史的 背景 = 470

  제3절 MBO의 基本過程 = 471

  제4절 MBO와 PPBS의 比較·評價 = 472

  제5절 MBO의 問題點 = 474

  제6절 MBO의 將來 = 476

 제9장 行政監督

  제1절 監督의 基礎 = 478

  제2절 監督者의 機能 = 479

  제3절 監督者의 類型 = 480

  제4절 監督理論 = 481

 제10장 事務管理

  제1절 事務의 機能과 管理 = 483

   Ⅰ. 事務의 本質 = 483

   Ⅱ. 行政에 있어서의 事務의 役割 = 483

   Ⅲ. 事務의 類型 = 484

  제2절 文書管理 = 485

  제3절 事務改善 = 486

   Ⅰ. 事務改善의 必要性 = 486

   Ⅱ. 事務改善의 一般原則 = 486

   Ⅲ. 事務改善의 推進方案 = 487

   Ⅳ. 事務改善의 基本目標 = 488

   Ⅴ. 事務改善의 諸段階 = 488

  제4절 事務近代化와 O & M = 491

제6편 人事行政

 제1장 人事行政의 槪念

  제1절 人事行政의 意義 및 重要性 = 495

  제2절 人事行政의 接近方法 = 496

 제2장 人事行政의 發展

  제1절 人事行政觀의 變遷 = 498

   Ⅰ. 獵官主義(情實主義) = 498

   Ⅱ. 實績主義 = 500

   Ⅲ. 積極的 人事行政 = 502

  제2절 美國人事行政의 發達 = 503

  제3절 英國人事行政의 發達 = 505

  제4절 우리 나라 人事行政의 發達 = 506

 제3장 人事行政機構

  제1절 人事行政의 機構 = 507

  제2절 人事行政機關의 組織類型 = 508

  제3절 中央人事機關의 機能 = 509

  제4절 우리 나라 人事行政機關 = 510

 제4장 公職의 分類

  제1절 經歷職과 特殊經歷職 = 511

  제2절 職位分類制 = 512

   Ⅰ. 職位分類制의 意義 = 512

   Ⅱ. 職位分類制의 效用과 長·短點 = 513

   Ⅲ. 職位分類制의 構造 = 514

   Ⅳ. 職位分類制의 樹立節次 = 515

   Ⅴ. 職位分類制 導入上의 問題點 = 516

  제3절 階級制 = 517

   Ⅰ. 意義 = 517

   Ⅱ. 長·短點 = 518

   Ⅲ. 職位分類制와 階級制의 關係 = 519

  제4절 閉鎖型과 開放型 = 520

 제5장 職業公務員制

  제1절 意義 = 522

  제2절 實績主義와의 比較 = 522

  제3절 職業公務員制의 確立要件 = 523

  제4절 職業公務員制의 缺陷 = 524

  제5절 職業公務員制의 現實과 方向 = 525

 제6장 人事管理의 諸問題

  제1절 募集 = 526

   Ⅰ. 意義 = 526

   Ⅱ. 募集方法 = 526

   Ⅲ. 募集要件 = 527

   Ⅳ. 缺格事由 = 529

  제2절 試驗 = 529

   Ⅰ. 效用性과 限界 = 529

   Ⅱ. 效用性과 測定基準 = 530

   Ⅲ. 試驗의 種類 = 530

   Ⅳ. 우리 나라의 試驗制度 = 532

  제3절 新規任命 = 532

   Ⅰ. 公開競爭採用 = 532

   Ⅱ. 特別採用 = 533

   Ⅲ. 試補任用 = 534

  제4절 敎育訓練 = 534

   Ⅰ. 敎育訓練의 意義 = 534

   Ⅱ. 敎育訓練의 目的 = 535

   Ⅲ. 敎育訓練의 種類 = 535

   Ⅳ. 敎育訓練의 方法 = 536

   Ⅴ. 訓練計劃의 運營 = 538

   Ⅵ. 敎育訓練의 事後評價 = 539

  제5절 勤務成績評定 = 539

   Ⅰ. 意義 = 539

   Ⅱ. 勤務成績評定의 用途 및 效用 = 540

   Ⅲ. 評定의 對象 = 540

   Ⅳ. 評定의 方法 = 541

   Ⅴ. 運營上의 留意點 = 543

   Ⅵ. 批判과 改善方向 = 544

  제6절 報酬 및 便益 = 545

   Ⅰ. 意義 = 545

   Ⅱ. 報酬水準의 決定 = 545

   Ⅲ. 報酬表의 作成 = 547

   Ⅳ. 우리 나라의 報酬體系 = 547

   Ⅴ. 便益의 種類 = 548

  제7절 昇進 = 549

   Ⅰ. 意義 = 549

   Ⅱ. 昇進의 範圍 = 550

   Ⅲ. 昇進의 基準 = 551

   Ⅳ. 우리 나라의 昇進制度 = 552

  제8절 昇給 = 553

   Ⅰ. 意義 = 553

   Ⅱ. 基準 = 553

   Ⅲ. 昇給期間 = 554

   Ⅳ. 昇給額 = 554

  제9절 轉職 및 轉補 = 555

   Ⅰ. 轉職·轉補의 意義 = 555

   Ⅱ. 轉職·轉補의 用途 = 556

  제10절 解職 = 557

   Ⅰ. 解職의 意義 = 557

   Ⅱ. 强制退職(罷免) = 558

   Ⅲ. 停年退職 = 558

   Ⅳ. 減員制度 = 559

 제7장 提案制度

  제1절 意義 = 560

  제2절 提案制度의 效用性 = 560

  제3절 提案制度의 要件 = 561

  제4절 提案制度의 運營 = 562

 제8장 公務員團體

  제1절 意義 = 564

  제2절 公務員團體의 活動類型 = 564

  제3절 公務員團體의 確立要件 = 565

  제4절 우리 나라의 公務員團體 = 565

 제9장 公務員의 政治的 中立

  제1절 意義 = 567

  제2절 政治的 中立의 內容 = 568

  제3절 政治的 中立의 問題點 = 569

  제4절 政治的 中立의 確立要件 = 569

 제10장 士氣

  제1절 士氣의 槪念 = 570

  제2절 士氣의 要因 = 571

  제3절 士氣의 調査 = 571

  제4절 士氣의 昻揚方法 = 572

제7편 財務行政

 제1장 財務行政의 槪念과 機能

  제1절 財務行政의 槪念 = 577

  제2절 財務行政의 機能 = 578

 제2장 財務行政의 機構

  제1절 美國의 財務行政機構 = 580

  제2절 英國의 財務行政機構 = 581

  제3절 韓國의 財務行政機構 = 582

 제3장 財務行政에 관한 法規

  제1절 外國의 法規 = 584

  제2절 우리 나라의 法規 = 585

 제4장 豫算制度의 發展

  제1절 槪觀 = 587

  제2절 英國 豫算制度의 發達 = 588

  제3절 美國 豫算制度의 發達 = 588

  제4절 韓國 豫算制度의 發達 = 589

 제5장 豫算에 關聯된 諸論議

  제1절 豫算의 意義 = 590

  제2절 豫算의 機能 = 591

  제3절 豫算의 原則 = 593

  제4절 豫算의 種類 = 595

  제5절 豫算決定理論 = 598

 제6장 豫算의 分類

  제1절 豫算의 分類 = 602

  제2절 組織體別 分類 = 603

  제3절 機能別 分類 = 604

  제4절 品目別 分類 = 605

  제5절 經濟性質別 分類 = 605

  제6절 統合豫算 = 606

  제7절 發展企劃(計劃)과 豫算 = 610

 제7장 豫算過程

  제1절 豫算編成 = 614

  제2절 豫算審議 = 616

  제3절 豫算의 執行 = 618

  제4절 決算 = 622

  제5절 現行 豫算制度의 問題點과 改善方向 = 624

 제8장 會計監査

  제1절 會計監査의 意義 = 627

  제2절 傳統的 會計監査에 대한 批判 = 628

  제3절 會計監査機關 = 628

  제4절 會計監査의 種類 = 630

  제5절 우리 나라의 會計監査機構 = 631

 제9장 成果主義豫算

  제1절 成果主義豫算의 意義 = 634

  제2절 成果主義豫算의 長·短點 = 635

  제3절 導入上의 問題點 = 636

 제10장 計劃豫算制度(PPBS)

  제1절 計劃豫算制度의 意義 = 638

  제2절 計劃豫算制度의 科目構造 = 639

  제3절 計劃豫算制度의 發達背景 = 639

  제4절 計劃豫算制度의 特徵 및 長點 = 641

  제5절 計劃豫算制度의 限界 및 問題點 = 641

 제11장 資本豫算

  제1절 資本豫算의 意義 = 643

  제2절 資本豫算의 長點 = 644

  제3절 資本豫算의 問題點 = 644

 제12장 零基準豫算制度

  제1절 零基準豫算의 意義 = 645

  제2절 ZBB의 發達過程 = 646

  제3절 零基準豫算의 編成節次 = 646

  제4절 零基準豫算의 長·短點 = 647

  제5절 日沒豫算制度 = 648

 제13장 財政政策과 豫算政策

  제1절 財政政策 = 651

  제2절 豫算政策 = 651

 제14장 購買行政

  제1절 購買의 意義 = 653

  제2절 集中購買制度 = 653

  제3절 購買過程 = 655

 제15장 公企業制度

  제1절 公企業의 槪念 = 657

  제2절 公企業의 性格 = 657

  제3절 公企業의 類型 = 658

  제4절 公社의 特徵 = 660

  제5절 公企業管理上의 問題點 = 661

  제6절 公企業의 財務管理 = 661

  제7절 우리 나라 公企業運營上의 問題點 = 663

제8편 行政의 새로운 對象

 제1장 새로운 行政의 機能

  제1절 行政學의 所在와 機能에 대한 反省 = 667

  제2절 行政學의 새로운 接近 = 669

  제3절 새로운 行政의 機能 = 670

 제2장 行政의 計量化

  제1절 序說 = 672

  제2절 行政計量分析의 必要性 = 672

  제3절 行政計量分析의 方法과 限界 = 673

  제4절 EDPS = 673

   Ⅰ. EDPS의 意義 = 673

   Ⅱ. EDPS의 構造 = 674

   Ⅲ. EDPS의 適用範圍 = 676

   Ⅳ. EDPS의 適用上의 長·短點 = 677

  제5절 PERT = 677

  제6절 OR(運營硏究) = 680

   Ⅰ. OR의 歷史的 背景 = 680

   Ⅱ. OR의 意義 = 681

   Ⅲ. OR의 特徵 = 681

   Ⅳ. OR의 模型 = 682

  제7절 體系分析 = 684

   Ⅰ. 體系分析의 意義 = 684

   Ⅱ. 體系分析을 위한 準備段階 = 684

   Ⅲ. 體系分析의 過程 = 685

   Ⅳ. 體系分析의 分析技術 = 686

   Ⅴ. 體系分析의 役割 = 687

   Ⅵ. 體系分析의 模型 = 688

  제8절 結論 = 690

 제3장 社會指標

  제1절 社會指標의 槪念 = 692

  제2절 社會指標의 性格 = 693

  제3절 社會指標의 必要性 = 695

  제4절 社會指標의 接近方法 = 696

  제5절 社會指標의 對象 = 697

  제6절 韓國에 있어서의 社會指標 = 699

  제7절 社會指標와 福祉指標 = 699

  제8절 社會指標開發의 問題點과 改善方案 = 701

 제4장 廣域行政

  제1절 廣域行政의 意義 = 703

  제2절 廣域行政의 必要性 = 704

  제3절 廣域行政의 方式 = 705

   Ⅰ. 處理主體別 方式 = 705

   Ⅱ. 處理手段別 方式 = 706

   Ⅲ. 處理事業別 方式 = 708

  제4절 廣域行政의 利點 = 709

  제5절 韓國의 廣域行政 = 710

  제6절 廣域行政의 將來 = 712

參考文獻 = 715

人名索引 = 741

事項索引 = 74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