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羅末麗初의 政治社會와 文人知識層

羅末麗初의 政治社會와 文人知識層 (2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전기웅
서명 / 저자사항
羅末麗初의 政治社會와 文人知識層 / 全基雄 著.
발행사항
서울 :   혜한 ,   1996.  
형태사항
313 p. : 삽도 ; 24 cm.
ISBN
8985905341
000 00553camccc200205 k 4500
001 000000457077
005 20100806070855
007 ta
008 961223s1996 ulka 000a kor
020 ▼a 8985905341 ▼g 03910 : ▼c \12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076951 ▼l 111076952 ▼l 111076953
082 0 4 ▼a 953.041
090 ▼a 953.041 ▼b 1996a
100 1 ▼a 전기웅
245 1 0 ▼a 羅末麗初의 政治社會와 文人知識層 / ▼d 全基雄 著.
260 ▼a 서울 : ▼b 혜한 , ▼c 1996.
300 ▼a 313 p. : ▼b 삽도 ; ▼c 24 cm.
950 0 ▼b \12000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41 1996a 등록번호 11107695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41 1996a 등록번호 11107695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청구기호 953.041 1996a 등록번호 1110769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전기웅(지은이)

시인, 역사학자, 사진작가로 활동 중이다. 시집에 『세상의 모든 슬픔들에게』『바람의 무늬』가 있다. 동인이며, 부산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5
제1장 序論 = 11
 1. 硏究動向 = 11
 2. 硏究視角과 方法 = 18
제2장 新羅 政治社會의 動搖와 六頭品知識人 = 25
 제1절 新羅末 王京支配層의 動搖 = 28
  1. 王巨仁事件의 發生 = 28
  2. 王室側近集團의 檢討 = 30
  3. 國人과 六頭品知識人 = 42
 제2절 崔致遠의 時務 10條와 政治社會의 變化 = 49
  1. 崔致遠의 時務 10條 = 49
  2. 中央政治社會의 變化 = 54
  3. 地方統治體制의 轉換과 六頭品知識人 = 63
 제3장 羅末麗初 知識人階層의 形成 = 83
  제1절 西北地域出身 知識人層의 成長과 活動 = 85
   1. 羅末 地方知識人의 成長 = 85
   2. 西北地域出身 文士層의 活動 = 91
    1) 西北地域 知識人의 成長背景 = 91
    2) 西北地域出身 文士와 그 活動 = 94
  제2절 高麗初 知識人階層의 擴散 = 117
   1. 統一期 文士層의 擴散 = 117
   2. 新羅系知識層의 受容 = 128
    1) 新羅의 歸附와 그 性格 = 130
    2) 新羅歸附人의 存在樣態 = 142
    3) 新羅系勢力의 動向 = 153
 제4장 高麗成立期 文臣官僚層의 成長 = 167
  제1절 光宗代의 改革과 文臣官僚層의 役割 = 169
   1. 光宗初의 文士層에 대한 檢討 = 171
   2. 新進官僚層의 存在樣態 = 179
   3. 豪族勢力의 숙청과 '後生讒讖賊'에 대한 檢討 = 185
  제2절 景宗代의 政治構造와 文臣官僚層의 擡頭 = 202
   1. 景宗代 政治主導勢力의 分析 = 204
   2. 政治社會의 展開와 文臣官僚層의 浮上 = 215
   3. 始定田柴科의 成立과 그 特性 = 231
 제5장 總論 : 羅末麗初 政治社會史의 理解 = 251
  1. 新羅末期 政治社會의 展開 = 252
  2. 地方勢力과 知識人階層 = 264
  3. 高麗初期의 政治社會와 文臣官僚 = 279
  4. 羅末麗初 社會轉換의 性格 = 286
參考文獻 = 295
ABSTRACT = 305
찾아보기 = 309


관련분야 신착자료

한국학호남진흥원 (2022)
홍봉한 (2022)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HK+ 사업단 지역인문학센터 (2022)
김민수 (2022)
서종원 (2022)
최보영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