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통사론의 목표 및 기본 연구 방향 = 17
1. 통사론의 목표 = 17
2. 언어 능력과 언어 수행 = 19
3. 문법성과 용인 가능성 = 19
4. 언어 능력의 창의성 = 22
5. 연구의 순서 = 23
6. 문법의 적합성 = 24
7. 보편 문법 대 개별 문법 = 27
제2장 구구조 = 29
1. 구구조 규칙의 필요성 = 29
2. 구구조 문법의 문제점 = 35
3. X'-이론의 대두 = 38
4. X'-이론과 S = 44
5. X'-구조 연습 = 48
연습문제 = 53
제3장 변형 규칙 = 55
1. 변형 규칙의 필요성 = 55
2. 접사 건너 뛰기와 Do-지탱 = 57
3. 주어-조동사 도치 = 61
4. 수동화 = 66
4.1 목적어의 이동 = 68
4.2 주어의 이동 및 by 삽입 = 70
4.3 be동사의 삽입 = 73
4.4 -en 삽입 = 74
4.5 종합 = 74
연습문제 = 77
제4장 격이론 = 79
1. 격조건 = 79
2. 수동 구문의 재조명 = 84
3. 격할당의 조건 = 90
4. 지배 개념의 정의 = 95
4.1 성분 통어 개념 = 97
4.2 지배 개념과 격할당 = 101
5. 주격 할당자와 격할당 자질 = 102
6. 가시 조건 = 104
6.1 의미역 기준과 투사 원리 = 104
6.2 가시 조건의 타당성 = 108
7. 격저항 원리 = 116
7.1 격저항 원리 = 116
7.2 격저항 원리의 문제점 = 119
8. 확대 투사 원리 = 122
9. 예외적 격표시 동사 = 124
연습문제 = 127
제5장 Wh-이동 = 131
1. Wh-구문의 특성과 α-이동 = 131
2. Ross의 제약 조건들과 Chomsky의 Wh-섬 제약 = 137
2.1 복합 명사구 제약 = 137
2.2 문주어 제약 = 138
2.3 등위 구조 제약 = 138
2.4 왼쪽 분지 제약 = 139
2.5 Wh-섬 제약 = 139
3. 하위 인접 조건 = 140
3.1 A-over-A 원칙 = 140
3.2 하위 인접 조건 = 144
4. 연속적 순환 이동 = 146
4.1 연속적 순환 이동 = 146
4.2 엄밀 순환성 조건 = 147
5. Rizzi와 하위 인접 조건 = 149
6. That-흔적 효과 = 153
7. 공범주 원리 = 157
8. 어휘 지배자의 요건과 부적격 이동 = 159
9. 우위 효과와 공범주 원리 = 162
10. LF와 공범주 원리 = 170
10.1 불어의 personne = 170
10.2 이태리어의 nessuno = 172
10.3 역연계 양화사와 양화사 인상 = 178
연습문제 = 185
제6장 결속 이론 = 189
1. 결속 영역의 결정 = 190
1.1 동절 요소 조건 = 190
1.2 시제문 조건 = 193
1.3 지정 주어 조건 = 194
2. Chomsky(1981)의 결속 조건 = 195
2.1 지배 범주 = 195
2.2 접근 가능 대주어 = 197
2.3 결속 조건 A, B, C = 202
2.4 결속 조건 C와 강교차 제약 = 204
3. PRO = 208
3.1 의미역 기준과 PRO = 208
3.2 PRO의 환경 = 210
3.3 PRO 정리 = 215
4. 대용사와 대명사 간의 상보적 분포 문제와 Huang(1983) = 220
연습문제 = 227
제7장 LGB 이후 I : 『Knowledge of Language』에서의 수정 결속 이론 = 229
1. LGB 결속 이론의 동인 = 229
2. LGB 결속 이론의 문제점 = 231
2.1 이론 구성사의 문제 = 231
2.2 경험적 문제 = 234
3. 『Knowledge of Language』에서의 결속 이론 = 235
3.1 결속 이론 양립성과 완전 기능 복합체 = 235
3.2 대용사 이동 = 241
4. 『Knowledge of Language』결속 이론의 장점 = 245
4.1 대용사와 대명사 간의 지배 범주 차이 가능성 반영 = 245
4.2 결속 이론상의 주격섬 조건을 공범주로 원리로 통합 = 245
4.3 대주어 및 i-within-i 조건의 제거 = 246
4.4 장거리 결속 경우의 주어 지향성 설명 가능 = 246
4.5 지배된 요소의 지배 범주는 전체 문장이라는 보조 가설의 제거 = 247
5. 『Knowledge of Language』결속 이론의 문제점 = 248
5.1 LF대용사 이동의 동인에 대한 문제 = 248
5.2 대용사와 대명사 간의 차이에 대한 불충분한 설명 = 249
5.3 대용사 이동에 대한 상세한 분석의 결여 = 256
제8장 LGB 이후 Ⅱ : 장벽 이론 = 259
1. 장벽 이론에서의 Chomsky의 주요 시도 = 259
1.1 지배 개념과 하위 인접 개념의 통합적 접근 = 259
1.2 공범주 원리의 이접성 제거 = 260
2. 예비 제안 = 261
2.1 X'-식형의 확장 = 262
2.2 Wh-이동의 도달점 및 이동에 대한 제약 = 263
2.3 성분 통어와 최대 통어 개념의 분리 = 266
3. 장벽의 개념 = 266
3.1 L-표시 및 차단 범주 = 267
3.2 고유 장벽과 계승 장벽 = 270
4. VP의 장벽성 및 VP-부가 = 272
4.1 격할당과 VP의 장벽성 = 273
4.2 선행사 지배와 VP의 장벽성 = 273
4.3 VP-부가에 의한 VP장벽성의 제거 = 276
4.4 Chomsky가 주장하는 VP-부가의 동인 = 277
5. 『장벽 이론』에서의 지배 개념 = 279
5.1 최대 통어 개념 = 280
5.2 조각, 제외, 및 완전 관할 개념 = 282
6. 어휘 지배와 선행사 지배 간의 이접성 문제 = 286
6.1 VP-부가에 의한 공범주 원리의 통합 = 286
6.2 A-이동과 지정어-핵 일치에 의한 간접적 선행사 지배 = 288
6.3 Chomsky 분서의 문제점 = 293
7. 최소성 조건 = 296
8. 하위 인접 조건의 장벽 이론적 분석 = 301
8.1 추출 영역 조건 = 302
8.2 복합 명사구 제약 = 304
8.3 Wh-섬 제약 = 308
8.4 왼쪽 분지 제약 = 309
8.5 등위 구조 제약 = 310
8.6 하위 인접 조건과 관련한 장벽 이론의 문제점 = 310
제9장 LGB 이후 Ⅲ : 경제성 원칙 = 313
1. 「Economy」논문의 주요 제안 = 313
2. 동사 굴절, 의미역 이론 및 경제성 원칙 = 313
2.1 영어와 불어 간의 동사 굴절과 관련한 차이 = 313
2.2 동사 인상과 의미역 이론 = 316
2.3 LF에서의 동사 이동 = 319
2.4 경제성 원칙 = 320
3. NegP = 321
4. AgrP와 흔적 지우기 = 323
5. 경제성 측정의 기준 = 330
6. Agr-S와 Agr-O = 334
7. LF-표시상의 경제성 원칙 = 336
8. 「Economy」이후 = 342
[부록 1] : 최대 통어 개념의 정의에 관하여 = 347
[부록 2] : 한국어의 AgrP와 NegP = 367
참고 문헌 = 393
찾아보기 = 403
영한 용어 대조표 = 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