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생성문법론 : GB 이론의 기본 체계 및 그 변천

생성문법론 : GB 이론의 기본 체계 및 그 변천 (10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한학성
서명 / 저자사항
생성문법론 : GB 이론의 기본 체계 및 그 변천 / 한학성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태학사 ,   1995.  
형태사항
417 p. ; 23 cm.
ISBN
8976260953
일반주기
색인포함  
000 00584camccc200217 k 4500
001 000000452910
005 20100806053823
007 ta
008 961206s1995 ulk 001a kor
020 ▼a 8976260953 ▼g 93700 : ▼c \10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075766 ▼l 111075767
082 0 4 ▼a 415 ▼2 21
090 ▼a 415 ▼b 1995a
100 1 ▼a 한학성 ▼0 AUTH(211009)50891
245 1 0 ▼a 생성문법론 : ▼b GB 이론의 기본 체계 및 그 변천 / ▼d 한학성 지음.
260 ▼a 서울 : ▼b 태학사 , ▼c 1995.
300 ▼a 417 p. ; ▼c 23 cm.
500 ▼a 색인포함
950 0 ▼b \10000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5 1995a 등록번호 11107576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5 1995a 등록번호 11107576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한학성(지은이)

충청북도 산골에서 태어나 줄곧 서울에서 성장했다. 전체 수석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입학했지만 대학 생활은 별로 즐겁지 않았다. 영어과에 다니면서도 영어보다는 프랑스어나 스페인어 주변을 더 기웃거리기도 했다. 넓은 세계를 보며 평범하게 살겠노라며 선택한 대기업 수출부에서의 직장 생활은 평범한 생활을 보장해주지도, 넓은 세계를 보여주지도 않았다. 직장인으로서의 삶에 회의를 느끼다가 1983년 미국 유학 중 잠시 귀국한 친구를 통해 남의 일을 해주며 사는 생활보다는 자신의 일을 하면서 사는 삶을 꿈꾸게 되었다. 그즈음 우연히 들른 책방에서 서울대학교 이정민 교수 등이 펴낸 《언어과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책을 보고 언어학에 강한 매력을 느꼈다. 다음 해 미국 텍사스대 대학원에 입학했는데 여기서 처음으로 공부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었다. 3년 만에 석사와 박사 학위를 모두 취득한 뒤 1988년 봄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영문과에서 교수 생활을 시작했다. 그 후 1991년에 경희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재직했고 지금은 명예교수로 있다. 촘스키의 생성 문법 이론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상당 기간 촘스키에 매료되어 있었으나 최근에는 한국인 및 한국어적 관점에서의 영어학, 한국어 화자를 위한 영어 교육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이러한 작업에 덴마크 출신이면서 가장 위대한 영어학자라는 평을 듣기도 하는 오토 예스퍼슨Otto Jespersen을 큰 귀감으로 삼고 있다. 그동안 《GB 통사론》, 《영어란 무엇인가》, 《생성문법론》, 《영어 관사의 문법》, 《영어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인을 위한 영어 발음 교과서》, 《우리시대 영어 담론: 그 위선의 고리들》 등의 책을 펴냈으며, 존 마허 John Maher와 주디 그로브스 Judy Groves의 《촘스키Introducing Chomsky》, 오토 예스퍼슨의 《외국어 교육 개혁론How to Teach a Foreign Language》 등을 번역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통사론의 목표 및 기본 연구 방향 = 17

 1. 통사론의 목표 = 17

 2. 언어 능력과 언어 수행 = 19

 3. 문법성과 용인 가능성 = 19

 4. 언어 능력의 창의성 = 22

 5. 연구의 순서 = 23

 6. 문법의 적합성 = 24

 7. 보편 문법 대 개별 문법 = 27

제2장 구구조 = 29

 1. 구구조 규칙의 필요성 = 29

 2. 구구조 문법의 문제점 = 35

 3. X'-이론의 대두 = 38

 4. X'-이론과 S = 44

 5. X'-구조 연습 = 48

 연습문제 = 53

제3장 변형 규칙 = 55

 1. 변형 규칙의 필요성 = 55

 2. 접사 건너 뛰기와 Do-지탱 = 57

 3. 주어-조동사 도치 = 61

 4. 수동화 = 66

  4.1 목적어의 이동 = 68

  4.2 주어의 이동 및 by 삽입 = 70

  4.3 be동사의 삽입 = 73

  4.4 -en 삽입 = 74

  4.5 종합 = 74

 연습문제 = 77

제4장 격이론 = 79

 1. 격조건 = 79

 2. 수동 구문의 재조명 = 84

 3. 격할당의 조건 = 90

 4. 지배 개념의 정의 = 95

  4.1 성분 통어 개념 = 97

  4.2 지배 개념과 격할당 = 101

 5. 주격 할당자와 격할당 자질 = 102

 6. 가시 조건 = 104

  6.1 의미역 기준과 투사 원리 = 104

  6.2 가시 조건의 타당성 = 108

 7. 격저항 원리 = 116

  7.1 격저항 원리 = 116

  7.2 격저항 원리의 문제점 = 119

 8. 확대 투사 원리 = 122

 9. 예외적 격표시 동사 = 124

 연습문제 = 127

제5장 Wh-이동 = 131

 1. Wh-구문의 특성과 α-이동 = 131

 2. Ross의 제약 조건들과 Chomsky의 Wh-섬 제약 = 137

  2.1 복합 명사구 제약 = 137

  2.2 문주어 제약 = 138

  2.3 등위 구조 제약 = 138

  2.4 왼쪽 분지 제약 = 139

  2.5 Wh-섬 제약 = 139

 3. 하위 인접 조건 = 140

  3.1 A-over-A 원칙 = 140

  3.2 하위 인접 조건 = 144

 4. 연속적 순환 이동 = 146

  4.1 연속적 순환 이동 = 146

  4.2 엄밀 순환성 조건 = 147

 5. Rizzi와 하위 인접 조건 = 149

 6. That-흔적 효과 = 153

 7. 공범주 원리 = 157

 8. 어휘 지배자의 요건과 부적격 이동 = 159

 9. 우위 효과와 공범주 원리 = 162

 10. LF와 공범주 원리 = 170

  10.1 불어의 personne = 170

  10.2 이태리어의 nessuno = 172

  10.3 역연계 양화사와 양화사 인상 = 178

 연습문제 = 185

제6장 결속 이론 = 189

 1. 결속 영역의 결정 = 190

  1.1 동절 요소 조건 = 190

  1.2 시제문 조건 = 193

  1.3 지정 주어 조건 = 194

 2. Chomsky(1981)의 결속 조건 = 195

  2.1 지배 범주 = 195

  2.2 접근 가능 대주어 = 197

  2.3 결속 조건 A, B, C = 202

  2.4 결속 조건 C와 강교차 제약 = 204

 3. PRO = 208

  3.1 의미역 기준과 PRO = 208

  3.2 PRO의 환경 = 210

  3.3 PRO 정리 = 215

 4. 대용사와 대명사 간의 상보적 분포 문제와 Huang(1983) = 220

 연습문제 = 227

제7장 LGB 이후 I : 『Knowledge of Language』에서의 수정 결속 이론 = 229

 1. LGB 결속 이론의 동인 = 229

 2. LGB 결속 이론의 문제점 = 231

  2.1 이론 구성사의 문제 = 231

  2.2 경험적 문제 = 234

 3. 『Knowledge of Language』에서의 결속 이론 = 235

  3.1 결속 이론 양립성과 완전 기능 복합체 = 235

  3.2 대용사 이동 = 241

 4. 『Knowledge of Language』결속 이론의 장점 = 245

  4.1 대용사와 대명사 간의 지배 범주 차이 가능성 반영 = 245

  4.2 결속 이론상의 주격섬 조건을 공범주로 원리로 통합 = 245

  4.3 대주어 및 i-within-i 조건의 제거 = 246

  4.4 장거리 결속 경우의 주어 지향성 설명 가능 = 246

  4.5 지배된 요소의 지배 범주는 전체 문장이라는 보조 가설의 제거 = 247

 5. 『Knowledge of Language』결속 이론의 문제점 = 248

  5.1 LF대용사 이동의 동인에 대한 문제 = 248

  5.2 대용사와 대명사 간의 차이에 대한 불충분한 설명 = 249

  5.3 대용사 이동에 대한 상세한 분석의 결여 = 256

제8장 LGB 이후 Ⅱ : 장벽 이론 = 259

 1. 장벽 이론에서의 Chomsky의 주요 시도 = 259

  1.1 지배 개념과 하위 인접 개념의 통합적 접근 = 259

  1.2 공범주 원리의 이접성 제거 = 260

 2. 예비 제안 = 261

  2.1 X'-식형의 확장 = 262

  2.2 Wh-이동의 도달점 및 이동에 대한 제약 = 263

  2.3 성분 통어와 최대 통어 개념의 분리 = 266

 3. 장벽의 개념 = 266

  3.1 L-표시 및 차단 범주 = 267

  3.2 고유 장벽과 계승 장벽 = 270

 4. VP의 장벽성 및 VP-부가 = 272

  4.1 격할당과 VP의 장벽성 = 273

  4.2 선행사 지배와 VP의 장벽성 = 273

  4.3 VP-부가에 의한 VP장벽성의 제거 = 276

  4.4 Chomsky가 주장하는 VP-부가의 동인 = 277

 5. 『장벽 이론』에서의 지배 개념 = 279

  5.1 최대 통어 개념 = 280

  5.2 조각, 제외, 및 완전 관할 개념 = 282

 6. 어휘 지배와 선행사 지배 간의 이접성 문제 = 286

  6.1 VP-부가에 의한 공범주 원리의 통합 = 286

  6.2 A-이동과 지정어-핵 일치에 의한 간접적 선행사 지배 = 288

  6.3 Chomsky 분서의 문제점 = 293

 7. 최소성 조건 = 296

 8. 하위 인접 조건의 장벽 이론적 분석 = 301      

  8.1 추출 영역 조건 = 302

  8.2 복합 명사구 제약 = 304

  8.3 Wh-섬 제약 = 308

  8.4 왼쪽 분지 제약 = 309

  8.5 등위 구조 제약 = 310

  8.6 하위 인접 조건과 관련한 장벽 이론의 문제점 = 310

제9장 LGB 이후 Ⅲ : 경제성 원칙 = 313

 1. 「Economy」논문의 주요 제안 = 313

 2. 동사 굴절, 의미역 이론 및 경제성 원칙 = 313

  2.1 영어와 불어 간의 동사 굴절과 관련한 차이 = 313

  2.2 동사 인상과 의미역 이론 = 316

  2.3 LF에서의 동사 이동 = 319

  2.4 경제성 원칙 = 320

 3. NegP = 321

 4. AgrP와 흔적 지우기 = 323

 5. 경제성 측정의 기준 = 330

 6. Agr-S와 Agr-O = 334

 7. LF-표시상의 경제성 원칙 = 336

 8. 「Economy」이후 = 342

[부록 1] : 최대 통어 개념의 정의에 관하여 = 347

[부록 2] : 한국어의 AgrP와 NegP = 367

참고 문헌 = 393

찾아보기 = 403

영한 용어 대조표 = 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