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대 태조실록
1. 왕건의 출생과 성장 = 13
2. 후삼국시대의 전개와 왕건의 등장 = 15
3. 궁예의 몰락과 왕건의 고려 건국 = 19
4. 고려 건국에 반대한 인물들 = 22
5. 삼국구도의 종말과 고려의 민족통일 = 24
6. 태조 왕건과 민족 대화합의 결정체 '고려' = 28
7. 왕건의 조상들과 그들에 얽힌 설화 = 33
8. 당왕실과 혈연관계를 조작한 고려왕실 = 37
9. 태조 왕건의 가족들 = 41
10. 고려 개국 공신 4인방 = 50
11. 태조의 정략결혼과 고려통일을 뒷받침한 주요 호족들 = 54
태조시대의 세계약사 = 58
제2대 혜종실록
1. 왕자 무의 태자 책봉을 둘러싼 역학관계 = 59
2. 주름살 왕 혜종의 즉위와 계속되는 왕권 위협 = 61
제3대 정종실록
1. 개경파와 서경파의 정권다툼과 왕요의 등극 = 69
2. 정종의 짧은 치세와 서경천도 계획 = 73
제4대 광종실록
1. 광종의 과감한 개혁작업과 호족들의 수난 = 77
2. 광종의 가족들 = 84
3. 왕권강화를 위한 일련의 개혁정책 = 87
4. 광종의 무자비한 공포정치와 숙청되는 호족들 = 95
광종시대의 세계약사 = 99
제5대 경종실록
1. 경종의 화합정책과 호족공신들의 재등장 = 100
2. 경종의 가족들 = 105
제6대 성종실록
1. 유학정치이념의 실현자 성종과 중앙집권체계의 완성 = 109
2. 성종의 가족들 = 114
3. 중앙집권체제 마련을 위한 행정조직의 개편 = 117
4. 유학의 진흥과 교육개혁을 통한 중앙집권화 = 121
5. 성종시대를 풍미한 사람들 = 124
성종시대의 세계약사 = 131
제7대 목종실록
1. 동성연애자 목종의 나약한 정치와 강조의 반란 = 132
제8대 현종실록
1. 불륜의 씨앗 왕순의 파란만장한 삶과 즉위과정 = 138
2. 수난을 먹고 자란 군주 현종과 고려의 국력 신장 = 141
3. 현종의 가족들 = 145
4. 거란의 2차 침입과 불굴의 용장 양규 = 148
5. 거란의 3차 침입과 강감찬의 맹활약 = 152
6. 고려 최초의 실록 '칠대실록' 편찬 과정 = 155
7. '현종실록' 편찬 관련사항 = 155
현종시대의 세계약사 = 156
제9대 덕종실록
1. 덕종의 짧은 치세와 오래 기억된 '덕' = 157
2. 덕종의 가족들 = 159
3. '덕종실록' 편찬 관련사항 = 160
제10대 정종실록
1. 정종의 실리책과 고려의 안정 = 162
2. 정종의 가족들 = 164
3. '정종실록' 편찬 관련사항 = 167
정종시대의 세계약사 = 167
제11대 문종실록
1. 성군 문종과 고려의 태평성세 = 168
2. 문종의 가족들 = 173
3. 문종시대를 이끈 양대 산맥 = 178
문종시대의 세계약사 = 185
제12대 순종실록
1. 순종의 병상 3개월 치세 = 186
제13대 선종실록
1. 선종의 중도정치와 고려문화의 융성 = 189
2. 선종의 가족들 = 193
3. 국경문제와 관련한 고려의 항의서한과 거란의 답신 = 195
선종시대의 세계약사 = 198
제14대 헌종실록
1. 나이 어린 헌종의 즉위와 왕위를 노리는 사람들 = 199
제15대 숙종실록
1. 어린 조카를 밀어내고 즉위한 숙종의 10년 통치 = 204
2. 숙종의 가족들 = 208
3. '숙종실록' 편찬 관련사항 = 212
숙종시대의 세계약사 = 213
제16대 예종실록
1. 예종의 영토확장 노력과 여진의 성장 = 214
2. 예종의 가족들 = 220
3. 윤관의 여진정벌과 동북9성 = 222
4. '예종실록' 편찬 관련사항 = 230
예종시대의 세계약사 = 231
제17대 인종실록
1. 인종의 우유부단한 정치와 고려왕조의 위기 = 232
2. 인종의 가족들 = 237
3. 이자겸의 난과 고려 조정의 혼란 = 243
4. 묘청의 난과 서경세력의 몰락 = 253
5. 김부식과 『삼국사기』 = 259
6. '인종실록' 편찬 관련사항 = 263
인종시대의 세계약사 = 264
제18대 의종실록
1. 향락주의자 의종의 환관정치와 정중부의 난 = 265
2. 환관정치의 주역 정함과 그 주변인들 = 272
3. '정중부의 난'과 문신귀족의 몰락 = 276
4. '의종실록' 편찬 관련사항 = 281
제19대 명종실록
1. 허수아비 임금 명종과 무신들의 정권다툼 = 283
2. 무신정권시대를 풍미한 인물들 = 289
3. 명종시대의 변란들 = 297
4. '명종실록' 편찬 관련사항 = 302
명종시대의 세계약사 = 302
제20대 신종실록
1. 늙은 왕 신종의 즉위와 최씨 무신정권의 성립 = 304
2. 60년 장기집권의 기반을 닦은 최충헌 = 309
3. '신종실록' 편찬 관련사항 = 312
제21대 희종실록
1. 왕권회복을 꿈꾸는 희종과 최충헌 제거계획 = 313
2. 희종의 가족들 = 317
제22대 강종실록
1. 강종의 황혼녘 짧은 치세 = 319
2. 강종의 가족들 = 320
제23대 고종실록
1. 고종시대의 계속되는 변란과 대몽항쟁 = 322
2. 최씨 무신정권의 전개와 몰락 = 328
3. 전란 중에 핀 연꽃 팔만대장경 = 336
4. '고종실록' 편찬 관련사항 = 338
고종시대의 세계약사 = 338
제24대 원종실록
1. 원종의 친원정책과 무신정권의 종식 = 340
2. 원종의 가족들 = 345
3. 김준과 임연의 말기 무신정권 = 348
4. 원의 고려복속정책과 삼별초의 난 = 354
5. '원종실록' 편찬 관련사항 = 357
원종시대의 세계약사 = 357
제25대 충렬왕실록
1. 변발한 충렬왕과 원의 부마국으로 전락한 고려 = 358
2. 충렬왕의 가족들 = 362
3. 일본정벌전쟁 배경 및 관련 인물들 = 367
4. 일연과 『삼국유사』 = 372
5. '충렬왕실록' 편찬 관련사항 = 374
충렬왕시대의 세계약사 = 374
제26대 충선왕실록
1. 충선왕의 전지정치와 고려조정의 불안정 = 376
2. 충선왕의 가족들 = 381
제27대 충숙왕실록
1. 충숙왕의 위태로운 삶과 불안전한 왕위 = 387
2. 충숙왕의 가족들 = 392
3. 왕고의 왕위찬탈음모와 충숙왕의 시련 = 397
충숙왕 시대의 세계약사 = 402
제28대 충혜왕실록
1. 희대의 패륜아 충혜왕과 고려왕실의 위기 = 403
2. 충혜왕의 가족들 = 408
3. '충혜왕실록' 편찬 관련사항 = 411
제29대 충목왕실록
1. 어린 충목왕의 즉위와 덕령공주의 섭정 = 413
제30대 충정왕실록
1. 충정왕의 짧은 통치와 비참한 최후 = 415
제31대 공민왕실록
1. 개혁주의자 공민왕의 배원정책과 고려의 국권회복 = 417
2. 공민왕의 가족들 = 424
3. 공민왕시대의 반란사건들 = 428
4. 공민왕의 개혁작업을 수행한 사람들 = 438
5. '공민왕실록' 편찬 관련사항 = 443
공민왕시대의 세계약사 = 443
제32대 우왕실록
1. 우여곡절 끝에 왕위에 오른 우왕과 고려 조정의 혼란 = 444
2. 우왕의 가족들 = 448
3. 최영의 요동정벌 전쟁과 위화도 회군 = 453
우왕시대의 세계약사 = 458
제33대 창왕실록
1. 어린 창왕의 짧은 치세와 신진세력의 득세 = 459
제34대 공양왕실록
1. 고려의 마지막 왕 공양왕과 고려왕조의 최후 = 462
2. 공양왕의 가족들 = 466
3. 충절의 대명사 정몽주와 두문동 72현 = 467
부록
1. 고려시대의 관제 및 주요 관청 = 473
2. 군사조직 = 482
3. 형법 = 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