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옮긴이의 말 = 11
서문 = 13
머리말 = 15
제1장 프로젝트 접근법의 개요 = 23
프로젝트란 무엇인가? = 25
프로젝트 접근법이란 무엇인가? = 26
프로젝트 접근법의 목적은 무엇인가? = 27
지적 목적과 정신적 생활 = 27
활동의 균형성 = 30
생활으로서의 학교 = 31
교실 안에서의 지역 사회 분위기 = 31
도전으로서의 지도 = 32
왜 프로젝트 접근법을 선택하는가? = 34
프로젝트 활동은 어떻게 교육 과정의 다른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가? = 36
내적 및 외적 동기 = 39
교사와 아동의 선택 = 40
교사와 아동의 전문성 = 41
교사와 아동의 책임 = 44
요약 = 44
제2장 연구와 실제의 원칙 = 46
발달의 개념 = 46
발달의 표준적 차원 = 47
발달의 역동적 차원 = 47
학습 목표의 네 가지 범주 = 51
지식의 습득 = 52
기술의 습득 = 58
성향의 발달 = 65
감정의 발달 = 79
교육 과정 연구의 적용 = 84
학습에서의 상호 작용의 역할 = 84
비형식성의 가치 = 86
교수 방법의 다양성 = 88
이질적인 능력과 연령 집단 구성 = 89
교육 과정 연구 = 92
요약 = 94
제3장 프로젝트 활동의 실제 = 95
5년의 연령 범위 = 95
장보기 프로젝트 = 97
날씨 프로젝트 = 103
일기 예보 = 104
온도에 대한 학습 = 105
바람에 대한 학습 = 106
명암과 그림자에 대한 학습 = 107
비에 대한 학습 = 107
동물 = 108
기후 = 108
속담과 신화 = 109
공사장에 대한 프로젝트 = 110
요약 = 114
제4장 프로젝트 접근법의 특성 = 115
프로젝트 활동을 위한 주제 = 116
프로젝트 주제의 선택 = 118
프로젝트 활동 = 121
조사 활동 = 121
구성 활동 = 122
극화 놀이 = 124
학습 기회 = 126
지식 = 127
기술 = 127
성향 = 128
감정 = 128
아동의 선택 = 129
무엇을 할 것인가의 선택 = 129
언제 할 것인가의 선택 = 130
어디에서 할 것인가의 선택 = 133
누구와 할 것인가의 선택 = 134
교사의 역할 = 136
교실 전시 = 138
프로젝트 활동의 단계 = 139
1단계 : 계획과 시작 = 139
2단계 : 프로젝트의 진행 = 140
3단계 : 반영과 결론 = 142
극화 놀이에 반영된 3단계 = 143
요약 = 144
제5장 교사의 계획 = 145
주제의 선택 = 146
주제 조직망 만들기 = 146
주제 조직망을 만드는 과정 = 147
가능한 교육 과정 영역 = 149
프로젝트 범위의 결정 = 151
다섯 가지의 계획 기준 = 153
아동을 위한 활동 = 154
기술의 적용 = 155
자원의 활용성 = 159
교사의 흥미 = 162
시기 = 162
흥미 있는 장소의 견학 = 163
요약 = 164
제6장 프로젝트의 시작 : 1단계 = 165
아동들의 흥미 끌기 = 165
도입을 위한 토의 = 167
확장된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를 위한 활동들 = 168
극화 놀이 = 168
그림그리기, 색칠하기 및 쓰기 = 171
부모 참여 = 172
요약 = 174
제7장 프로젝트의 진행 : 2단계 = 175
아동들의 흥미 = 175
집단 토의 = 177
현장 견학 = 178
학습을 위한 활동 = 182
구성 활동 = 182
조사 활동 = 183
극화 놀이 = 184
아동들의 작품 = 185
교실 전시 = 186
정보를 위한 전시 = 187
기록으로서의 전시 = 188
외부 사람과의 의사 소통을 위한 전시 = 188
교사의 역할 = 190
요약 = 192
제8장 프로젝트의 완성 : 3단계 = 193
프로젝트의 절정 = 195
다른 학급에서의 발표 = 196
교실 공개 = 198
흥미의 유지 = 198
강화 활동들 = 199
프로젝트 평가하기 = 201
다음은 어디로? = 203
요약 = 204
제9장 미래의 프로젝트 접근법 = 206
참고문헌 = 210
부록
[부록 1] 집 : 어떻게 짓나? = 223
[부록 2] 씨앗깍지 프로젝트를 위한 안내 = 230
[부록 3] 병원 놀이 = 232
[부록 4] 아동을 위한 지도 : 당신 자신의 책을 만드는 방법 = 238
[부록 5] 장보기, 날씨, 그리고 건설 현장에 관한 프로젝트망 = 239
[부록 6] 아동들의 학교 버스망 = 241
[부록 7] 가정에 대한 확대망 = 243
[부록 8] 학교 주변 돌아다니기 = 244
[부록 9] "물고기 잡는 법"을 위한 프로젝트 망 = 253
[부록 10] 프로젝트 과정 중에 적용해 볼 수 있는 미주리 주능력 검사의 체크리스트 = 254
찾아보기 =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