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자본의 경제학 철학 이데올로기

자본의 경제학 철학 이데올로기 (5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Bidet, Jacques 박창렬 김석진
서명 / 저자사항
자본의 경제학 철학 이데올로기 / 자크 비데 ; 박창렬 ; 김석진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새날 ,   1995.  
형태사항
447 p. ; 23 cm.
총서사항
새날 새책 ; 19
원표제
Que faire du Capital? Materiaux pour une refondation
ISBN
8985726226 :
일반주기
색인포함  
000 00770camccc200277 k 4500
001 000000449978
005 20100806043914
007 ta
008 961120s1995 ulk 001a kor
020 ▼a 8985726226 : ▼c \ 15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fre
049 1 ▼l 111073715 ▼l 111073716 ▼l 111073717
082 0 4 ▼a 335.41 ▼2 21
090 ▼a 335.41 ▼b 1995
100 1 ▼a Bidet, Jacques ▼0 AUTH(211009)77348
245 1 0 ▼a 자본의 경제학 철학 이데올로기 / ▼d 자크 비데 ; ▼e 박창렬 ; ▼e 김석진 옮김.
246 1 9 ▼a Que faire du Capital? Materiaux pour une refondation
260 ▼a 서울 : ▼b 새날 , ▼c 1995.
300 ▼a 447 p. ; ▼c 23 cm.
490 0 0 ▼a 새날 새책 ; ▼v 19
500 ▼a 색인포함
700 1 ▼a 박창렬
700 1 ▼a 김석진
950 0 ▼b \15000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5.41 1995 등록번호 1110737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5.41 1995 등록번호 1110737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5.41 1995 등록번호 1110737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자크 비데(지은이)

1935년 프랑스 출생. 프랑스의 대표적인 마르크스주의 연구자이자 철학자. 루이 알튀세르 사상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며, 에티엔 발리바르와는 다른 자신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알튀세르의 사상을 계승해 전 세계 마르크스주의 연구에 기여해 왔다. 알튀세르는 생전에 비데의 작업을 마르크스주의의 발전에 공헌하는 중요한 시도로 인정한 바 있으며, 발리바르 역시 비데를 지속적으로 참조하고 있다. 박사학위 논문 「『자본』으로 무엇을 할 것인가?」(1985)에서 구축한 ‘메타구조적 접근’ 혹은 ‘메타구조론’을 논문 출간 당시부터 오늘날까지 ‘메타-마르크스주의’라는 또 다른 이름 아래 꾸준히 발전시켜 왔고, 특히 『근대성의 이론: 마르크스와 시장』(1990), 『일반이론』(1999), 『『자본』에 대한 설명과 재구성』(2004)에서 그 접근법을 더욱 정교하게 다듬었다. 『존 롤스와 정의론』(1995), 『세계-국가』(2011), 『마르크스와 함께 푸코를』(2014)에서는 이 메타구조적 접근을 존 롤스의 철학, 세계-체계, 미셸 푸코의 철학 등으로까지 확장했다. 『신자유주의: 또 하나의 거대한 이야기』(2016)에서는 그런 이론 틀 안에서 동시대 신자유주의를 헤게모니 체제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했고, 『‘그들’과 ‘우리’?: 좌파 포퓰리즘에 대한 하나의 대안』(2018)을 통해 현재 진행 중인 좌파 포퓰리즘을 둘러싼 논쟁에 개입한 바 있으며, 『마르크스의 생명정치학』에서는 『마르크스와 함께 푸코를』의 논의에 기반해 ‘노동법 (개악) 투쟁’이라는 구체적인 정세에 실천적으로 개입했다. 국내에는 박사학위 논문이 『『자본』의 경제학, 철학, 이데올로기』(1995)라는 제목의 책으로 출간되어 한국 마르크스주의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 밖에도 제라르 뒤메닐과 함께 쓴 『대안마르크스주의』(2014)가 번역되어 있으며, 가장 최근에는 본서와 짝이 되는 저서인 『마르크스의 생명정치학』이 『마르크스의 생명정치학: 푸코와 함께 마르크스를』(2020)이라는 제목으로 소개되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일러두기 = 5
한국어판 서문 = 7
서론 = 33
제1장 예비적인 방법론적 고찰
 개관 : 1857-1875년 = 38
 과학사의 관점 = 41
 체계 재구성의 관점 = 43
제2장 양으로서의 가치
 1. 동질적인 경제적 공간의 구성 : 정치경제학과 단절한 마르크스의 프로젝트 = 48
 2. 측량사 마르크스의 배리(背理) = 50
 3. 『자본』: 척도의 범주들이 측정되어야 할 실체의 이론화를 뒤엎다 = 53
 4. 어떤 의미에서 보다 생산적인 노동이 더 많은 가치를 생산하는가 : 구조와 동태의 접합 = 57
 5. 배리의 구역: 숙련노동 = 59
 6. 강도 : 양적 공간의 폐쇄와 단층(斷層) = 70
  결론 = 76
제3장 사회적·정치적 개념으로서의 가치
 1. 노동력의 지출로서의 가치 = 80
 2. '노동력 지출의 노동력 소비로의 전화' = 89
 3. 화폐와 노동가치는 리카도에 대한 마르크스의 유일하고 동일한 단절점이 이룬다 = 97
 4. 반(半)개념으로서의 가치와 자본 = 103
 5. 가치와 노동의 사회화 : 마르크스의 자가당착적인 사회주의 = 110
 6. 노동가치와 국가 = 117
  결론 = 121
제4장 노동력의 가치와 가격
 1. 규범에 대한 비규범적 문제설정 = 128
 2. 가치의 운동과 가격의 운동 = 137
 3. 체계의 비기능성: 그 '개방성' = 145
 4. 노동력 가치의 위계화? = 149
  결론 = 155
제5장 생산관계와 계급관계
 1. 생산적 노동과 비생산적 노동 = 161
 2. 재생산과 사회계급 = 185
  결론 = 192
제6장 서술의 단초와 전개
 1. 『자본』의 최초 계기의 문제 = 198
 2. '자본으로의 이행' = 222
  겨론 = 237
제7장 서술방법과 헤겔의 유산
 1. 『자본』의 서술방법에 관하여 = 242
 2. 헤겔, 인식론적 지주-장애 = 259
  결론 = 272
제8장『자본』에서의 이데올로기의 이론화
 1. 제자리에 놓여 있는 일상의식 : 제3권 = 277
 2. 마르크스의 서술의 불확실성 = 292
 3. (제1권에서의)현상형태의 '존재이유' = 302
  결론 = 316
제9장 가치형태이론
 1. 역사적 또는 논리·역사적 해석은 왜 타당할 수 없는가 = 321
 2. 상대가치의 개념과 구분되는 가치형태 또는 가치표현의 개념 = 325
 3. 『자본』제1장 제3절의 인식론적 변천 = 335
 4. 가치형태의 변증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 343
 5. '사용가치에 의한'가치표현 = 348
 6. 상품생산 이데올로기의 구조적 범주로서의 물신숭배 = 355
   결론 = 367
제10장 경제(학) 일반과 역사적 유물론
 1. 『자본』이 전제하는 다양한 일반성들 = 372
 2. 순수경제학의 노동가치와 역사적 유물론의 노동가치 = 390
  결론 = 412
일반적 결론 = 415
역자후기 = 429
참고문헌 = 431
찾아보기 = 44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