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ⅲ
제1장 정치체계의 기초이론
1. 정치체계연구의 의의 = 3
2. 체계이론의 근원과 발전 = 5
1) 일반체계이론의 등장 = 7
2) 일반체계이론의 의의 = 8
3) 일반체계이론의 가정 = 9
4) 일반체계이론의 주요 개념 = 12
제2장 일반체계이론의 기본 모델
1. 체계의 정의 = 17
1) 대상 = 17
2) 속성 = 18
3) 관계 = 18
2. 환경의 정의 = 18
3. 체계의 분석단위 = 19
1) 체계의 미시적 차원 = 19
2) 체계의 거시적 차원 = 20
4. 개방체계의 모델 = 21
1) 개방체계의 특징 = 21
2) 개방체계의 역학 = 24
3) 사건들의 주기로서의 관계 = 25
5. 체계에 있어서의 부분과 전체 = 27
1) 부분과 전체의 관계 = 27
2) 전체와 단위들의 유기적 관계 = 30
6. 일반체계이론과 유기체이론 = 39
1) 생물학적 유기체 = 39
2) 유기적 개방체계이론 = 42
3) 일반체계이론과 사이버네틱스 = 45
7. 사회체계이론의 구조적 모델 = 49
1) 구조기능적 분석 = 49
2) 구조주의 = 51
3) 구조와 자체유기성 = 55
8. 체계철학 = 58
1) 체계철학과 방법론 = 59
2) 체계철학의 활용 = 60
9. 정치현상의 체계적 분석 = 62
1) 체계이론적 적용의 의미 = 62
2) 체계이론적 적용의 특징 = 63
3) 기능주의적 모델 = 65
(1) 기능과 구조 = 67
(2) 기능적 필수요건과 구조적 필수요건 = 71
(3) 기능적 선재요건과 구조적 선재요건 = 72
제3장 정치체계분석 : 구조기능주의Ⅰ, 앱터를 중심으로
1. 정치체계와 정부 = 77
1) 분석단위로서의 정부 = 77
2) 정부의 필수요건 = 78
3) 정부의 가동력 = 80
2. 정부의 체계이론 = 82
1) 정부의 이론 = 82
2) 신생국의 정부 = 85
3) 일반화된 정부 모델 = 88
3. 정부의 기능·구조 이론 = 90
1) 기능적 필수요건과 구조적 필수요건 = 90
2) 투입으로서의 정보와 산출로서의 결과 = 94
4. 정치체계의 변화 = 95
제4장 정치체계분석 : 구조기능주의Ⅱ, 얼몬드를 중심으로
1. 정치체계의 기능과 구조 = 109
1) 단위로서의 정치체계 = 109
2) 구조, 문화 및 역할 = 110
3) 정치체계의 구조 = 111
4) 정치체계의 기능 = 113
(1) 체계가동력 = 114
(2) 변환과정 = 115
(3) 체계유지와 적응기능 = 116
2. 정치체계의 투입과 산출기능 = 116
1) 투입기능 = 117
(1) 정치사회화와 충원 = 117
(2) 이익표출 = 118
(3) 이익취합 = 121
(4) 정치적 커뮤니케이션 = 122
2) 산출기능 = 124
(1) 법규제정 = 124
(2) 법규적용 = 125
(3) 법규판결 = 127
3. 정치체계에의 생태적 접근법 = 128
제5장 정치체계의 동태적 분석Ⅰ : 정치체계의 사이버네틱스 모델, 도이취를 중심으로
1. 정치체계의 동태분석 = 135
1) 정치체계의 결속력과 공변율 = 135
(1) 교환과 상호의존 = 135
(2) 경계선과 경계영역 = 136
(3) 교환의 중요성 = 138
2) 정치구조의 기능 = 142
(1) 정치구조 = 143
(2) 정치체계의 기능 = 143
2. 정치체계의 사이버네틱스 모델 = 144
1) 체계분석의 기본가정 = 144
2) 자체조정체계 모델 = 147
3) 환류기능의 복합적 메커니즘 = 150
3. 정치체계에의 진화론적 접근법 = 151
1) 정치의 공통분모적 요소 = 152
2) 정치의 사이버네틱스 정의 = 153
3) 정치에서의 기능적 시너지즘 = 156
4. 정치의 일반이론 = 159
제6장 정치체계의 동태적 분석Ⅱ : 정치체계의 투입·산출 모델, 이스튼을 중심으로
1. 정치체계의 과정분석 = 165
1) 분석개념으로서의 정치체계 = 165
2) 개방체계로서의 정치 = 166
2. 정치체계의 환경 = 167
1) 사회 내적 환경 = 168
2) 사회 외적 환경 = 170
3. 정치체계의 동태적 변화 모델 = 172
1) 정치체계의 모델 = 172
(1) 인식의 속성 = 174
(2) 투입과 산출 = 174
(3) 정치체계내의 분화 = 175
(4) 체계의 통합 = 175
2) 투입으로서의 요구 = 176
(1) 요구의 발생과 성질 = 177
(2) 요구의 이슈에로의 변환 = 178
3) 투입으로서의 지지 = 179
(1) 지지의 영역 = 180
(2) 지지의 양과 범위 = 183
4) 지지의 메커니즘 = 185
(1) 지지의 메커니즘으로서의 투입산출 = 185
(2) 지지의 메커니즘으로서의 정치화 = 186
4. 정치체계와 환경간의 연계변수 = 187
1) 체계와 환경간의 관계 = 187
2) 체계환경들간의 교환 = 188
5. 정치체계의 안정과 변화 = 190
1) 체계존속의 의미 = 190
2) 내적 원인 = 191
3) 외적 원인 = 193
4) 체계존속의 양태 = 194
(1) 체계의 소멸 또는 비존속 = 194
(2) 절대적 안정체계 = 196
(3) 체계존속과 변화 = 197
5) 체계존속과 분석수준 = 199
(1) 체계존속과 변화 = 200
(2) 체계존속과 자체유지 = 202
(3) 체계존속에의 다양한 방법 = 203
6) 체계에 대한 중압 = 204
(1) 중압원인으로서의 정치적 동요 = 204
(2) 중압과 정상적 작동범위 = 206
(3) 중압의 지표로서의 본질적 변수들 = 207
(4) 중압과 본질적 변수들의 한계점 = 210
(5) 정치체계의 본질적 변수들 = 211
(6) 한계적 변수들의 정상적 범위 = 213
7) 중압의 규제 = 215
6. 정치체계의 존속 = 217
1) 체계에의 지지산출 극대화 = 217
2) 체계에의 지지산출 실패의 극소화 = 219
3) 체계내의 균열 극소화 = 222
4) 체계에의 특수 및 분산지지산출 = 226
(1) 특수지지의 효과와 한계 = 226
(2) 체계에의 분산지지 : 정당성 = 230
7. 체계의 반응규제 = 233
1) 요구중압의 원인 = 233
2) 요구중압의 규제 = 236
8. 정치체계의 붕괴 = 238
1) 체계변화연구의 체계론적 접근법 = 238
2) 체계변화의 동태적 모델 = 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