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45namcc2200217 c 4500 | |
001 | 000000441377 | |
005 | 20121201151705 | |
007 | ta | |
008 | 961022s1996 ulk 000c kor | |
020 | ▼a 8930034780 ▼g 9235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a ACCL ▼l 111069961 ▼l 111069962 ▼l 111069963 |
082 | 0 4 | ▼a 953.0723 ▼2 22 |
085 | ▼a 953.0723 ▼2 DDCK | |
090 | ▼a 953.0723 ▼b 1996d ▼c 2 | |
100 | 1 | ▼a 박명림 ▼0 AUTH(211009)126906 |
245 | 1 0 | ▼a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 ▼b 기원과 원인. ▼n 2 / ▼d 박명림 저 |
260 | ▼a 서울 : ▼b 나남출판사, ▼c 1996. ▼g (2003) | |
300 | ▼a 956 p. ; ▼c 23 cm | |
440 | 0 0 | ▼a 나남신서 ; ▼v 478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723 1996d 2 | 등록번호 11106996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723 1996d 2 | 등록번호 111069962 | 도서상태 파오손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723 1996d 2 | 등록번호 11131729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723 1996d 2 | 등록번호 1115203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953.0723 1996d 2 | 등록번호 15103062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723 1996d 2 | 등록번호 11106996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723 1996d 2 | 등록번호 111069962 | 도서상태 파오손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723 1996d 2 | 등록번호 11131729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723 1996d 2 | 등록번호 1115203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953.0723 1996d 2 | 등록번호 15103062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6·25 발발 46돌 즈음에 나온 박명림(고려대 강사·정치학) 씨의《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은 10만 쪽이 넘는 국내외 1차 자료의 섭렵, 관련자 인터뷰, 현장 및 지형답사와 그것의 치밀하고 엄정한 분석에 기초하고 있는 대작이다. 이 연구는 방대하고 복잡한 사실을 탄탄한 역사사회학 및 정치학의 이론적 틀과 방법론에 의거해 조망함으로써 협애한 실증주의와 무책임한 이론주의를 동시에 뛰어넘고 있다.
한국전쟁을 세계적·동아시아적·남북국내적 3가지 수준에서 조망하고 있는 지은이의 총체적 연구는, 식민지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 한국전쟁의 기원을 찾는 근본주의적 시각이나, 6월 25일 하루의 사태에서 전쟁의 책임을 캐려는 현상적 해석 두 가지 모두를 거부하며'기원'과 '발발'의 결합을 시도한다.
'발발'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제1권에서는, 스탈린 -마오쩌둥 - 김일성·박헌영으로 이어지는 '동아시아 공산주의 삼각동맹'에 의한 전쟁의 구체적 결정과정과 6월 23일∼25일 3일간의 상황을 치밀하게 재구성해, '북침설'과 '유도설'을 정면으로 반박한다. '기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제2권에서는, 이미 1948년부터 한반도에 형성된 두 개의 국가인 남북한간의 '대쌍관계동학'의 급진적·모험적 군사주의를 유발시키는 과정을 분석한다.
남북한의 비교분석을 통해 북한의 '혁명'이 남한의 개혁에 비해 더 진보적이거나 자주적이지 않았고(가장 논쟁적인 부분이다), 따라서 한국전쟁을 단순히 식민지시대의 연장선상에 선 민족해방 전쟁이나 민중과 지배 엘리트를 대표하는 세력간의 혁명내전으로 볼 수 없다는 입장을 내세운다.
안타까운 것은, 이런 치열한 객관적 사실 탐구의 결과물이 벌써 한국의 시대착오적 냉전논리의 좌·우 덫에 걸려 많은 부분이 단순화하고 왜곡 전달될 위험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한편으로는 지은이의 주장을 '북침설'의 허구를 입증하는 증거로 축소하며 북한에 대한 남한의 우위와 정당성을 홍보하려는 우익 냉전주의자들의 비학문적 차원의 의도가 보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의 주장을 기존의 '진보론'의 입장에서 일종의 '전향'으로 매도하려는 경향이 보인다. 그것은 그의 말처럼 '한 번 상투화한 고정관념은 모든 것을 명백히 해주는 결정적 자료의 제시에 의해서조차' 얼마나 교정하기 어려운가를 말해준다.
한국학을 세계적 차원으로 끌어올린 브루스 커밍스의《한국전쟁의 기원》을 극복하는 연구가 당분간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필자로서는, 지은이의 몇몇 주장에 대해 입장을 달리하면서도, 사실에 대한 10년간의 구도자적 천착을 통해 좌우 이데올로기의 신화를 깨뜨린 그의 연구에 충격을 받았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히 한국전쟁에 대한 사실 탐구에 머물고 있지 않다. 그의 노작은 사회주의 붕괴 이후 새롭게 제기되는 한국전쟁의 의의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며 동시에 한국전쟁 연구를 다학제적인 보편적 이론창출로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우리 인문사회과학의 새로운 고전으로 남게 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권혁범(대전대 교수, 정치학)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머리말 = 9 서론 = 27 제1부 해방과 분단 제1장 해방과 초기 질서 : '광기의 순간' = 35 1. 해방과 최초 지형 : 시민사회의 폭발 = 35 2. 냉전과 최초 지형의 변환 : 의도하지 않은 그러나 피할 수 없는 압력, 냉전 = 58 제2장 초기 분단질서의 등장 = 73 1. 소련의 초기 정책 : 확보된 지역의 사회주의 구축정책의 최초 모습 = 75 2. 분단체제구축의 초기행보 : 분할통치기구의 조기구축 = 94 제3장 분단의 內化 = 135 1. 모스크바 협정과 탁치 균열 = 137 2. 분단정권의 등장 : 분단지배체제의 등장과 급진이행의 준비 = 148 제2부 북한혁명과 분단 질서의 등장 제4장 북한혁명 : 半정복과 半혁명 = 171 1. 토지 문제 : 갈등의 중심 = 172 2. 토지개혁과 북한혁명 : 사회변동의 동학 = 184 3. 사회변혁과 정치변동 : 북한혁명의 성격 = 202 제5장 혁명적 동원체제의 구축 = 221 1. 김일성의 등장과 부상 = 222 2. 혁명의 종착 - 반 세기의 출발 = 240 제6장 선거와 이행의 완료 = 267 1. 선거 : '긴 과정의 마지막 의식' = 268 2. 교육과 건국운동 : 동의의 추구 = 294 제7장 분단국가 형성과 48년질서의 등장 = 311 1. 또 하나의 분단국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13 2. 초기 북한의 저항과 갈등 = 335 3. 두 가지의 북풍 : 혁명과 반혁명 = 353 4. 48년질서 형성의 특징 = 365 제3부 48년질서의 성격 - 남한 제8장 분단국가의 등장과 초기 균열 = 385 1. 국가형성과 초기 균열 : 정치사회 = 385 2. 밑으로부터의 마지막 저항 : 여수반란 = 403 3. 반공체제의 강화 = 415 제9장 48년질서의 변환 : 6월 공세와 토지개혁 = 439 1. 6월공세 : 48년질서하 남한의 대응양식 = 439 2. 토지개혁과 헤게모니 지배 : 전쟁과 농민 = 475 제10장 '미국의 범위'와 한미관계 = 519 1. '미국의 범위' : 한미관계의 본질 = 521 2. 유도의 문제 : 사실과 해석 = 551 3. 전쟁 직전의 유도 : 한 반대가설 = 569 제11장 48년질서와 대쌍관계동학 = 593 1. 북진통일론 : 국토완정론의 대응 = 594 2. 분계선 충돌과 게릴라 갈등 = 619 3. 전쟁 직전의 남한 : '보통의 위기' = 642 4. 결론 : 48년질서의 성격 - 남한 = 671 제4부 48년질서의 성격 - 북한 제12장 혁명적 동원체제의 구조 = 685 1. 조선인민군의 형성과 발전 = 688 2. 조선인민군의 기원 - 북한체제의 기원 = 702 3. 조선인민군의 성격 - 사회의 반영 = 720 제13장 혁명적 동원체제의 변환 : 군사주의의 등장과 확산 = 737 1. 군대와 사회 : 북한체제의 성격과 특징 = 737 2. 토대의 구축 : 확신과 동원의 사회경제적 기반 = 763 3. 인민의 동원 : 혁명적 동원체제의 근거 = 777 제14장 대쌍관계동학과 급진군사주의 = 791 1. 군사주의와 급진주의의 결합지점 : 대남문제 = 792 2. 급진군사주의의 전면확산, 1950년대 초 - 현실주의의 결여 = 808 3. 저항·탈출과 남한 반공의 상관관계 = 831 4. 결론 : 48년질서의 성격 - 북한 = 856 제15장 결론 : 전쟁의 의미와 현대한국 = 865 1. 한국전쟁의 결정·발발·기원·원인의 재론 = 865 2. 현대한국과 한국전쟁 = 880 3. 한국전쟁의 성격과 의미 = 894 참고문헌 = 903 찾아보기 = 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