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1 : 결정과 발발 (40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명림, 朴明林, 1963-
서명 / 저자사항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 결정과 발발. 1 / 박명림 저.
발행사항
서울 :   나남출판사,   1996.   2003(3쇄)  
형태사항
504 p. ; 23 cm.
총서사항
나남신서 ;477
ISBN
8930034772
일반주기
참고문헌 및 색인포함  
000 00671camccc200229 k 4500
001 000000441376
005 20230810175019
007 ta
008 961022s1996 ulk 001a kor
020 ▼a 8930034772 ▼g 92350 : ▼c \14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069958 ▼l 111069959 ▼l 111069960 ▼l 111244433
082 0 4 ▼a 953.0723
090 ▼a 953.0723 ▼b 1996d
100 1 ▼a 박명림, ▼g 朴明林, ▼d 1963- ▼0 AUTH(211009)126906
245 1 0 ▼a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 ▼b 결정과 발발. ▼n 1 / ▼d 박명림 저.
260 ▼a 서울 : ▼b 나남출판사, ▼c 1996. ▼g 2003(3쇄)
300 ▼a 504 p. ; ▼c 23 cm.
490 0 0 ▼a 나남신서 ; ▼v 477
500 ▼a 참고문헌 및 색인포함
950 0 ▼b \14000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723 1996d 등록번호 1410308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723 1996d 1 등록번호 11124443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723 1996d 1 등록번호 1113172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723 1996d 1 등록번호 1113172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953.0723 1996d 1 등록번호 1510306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953.0723 1996d 1 등록번호 15103062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723 1996d 등록번호 1410308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723 1996d 1 등록번호 11124443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723 1996d 1 등록번호 1113172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723 1996d 1 등록번호 1113172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953.0723 1996d 1 등록번호 1510306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953.0723 1996d 1 등록번호 15103062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6·25 발발 46돌 즈음에 나온 박명림(고려대 강사·정치학) 씨의《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은 10만 쪽이 넘는 국내외 1차 자료의 섭렵, 관련자 인터뷰, 현장 및 지형답사와 그것의 치밀하고 엄정한 분석에 기초하고 있는 대작이다. 이 연구는 방대하고 복잡한 사실을 탄탄한 역사사회학 및 정치학의 이론적 틀과 방법론에 의거해 조망함으로써 협애한 실증주의와 무책임한 이론주의를 동시에 뛰어넘고 있다.
한국전쟁을 세계적·동아시아적·남북국내적 3가지 수준에서 조망하고 있는 지은이의 총체적 연구는, 식민지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 한국전쟁의 기원을 찾는 근본주의적 시각이나, 6월 25일 하루의 사태에서 전쟁의 책임을 캐려는 현상적 해석 두 가지 모두를 거부하며'기원'과 '발발'의 결합을 시도한다.
'발발'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제1권에서는, 스탈린 -마오쩌둥 - 김일성·박헌영으로 이어지는 '동아시아 공산주의 삼각동맹'에 의한 전쟁의 구체적 결정과정과 6월 23일∼25일 3일간의 상황을 치밀하게 재구성해, '북침설'과 '유도설'을 정면으로 반박한다. '기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제2권에서는, 이미 1948년부터 한반도에 형성된 두 개의 국가인 남북한간의 '대쌍관계동학'의 급진적·모험적 군사주의를 유발시키는 과정을 분석한다.
남북한의 비교분석을 통해 북한의 '혁명'이 남한의 개혁에 비해 더 진보적이거나 자주적이지 않았고(가장 논쟁적인 부분이다), 따라서 한국전쟁을 단순히 식민지시대의 연장선상에 선 민족해방 전쟁이나 민중과 지배 엘리트를 대표하는 세력간의 혁명내전으로 볼 수 없다는 입장을 내세운다.
안타까운 것은, 이런 치열한 객관적 사실 탐구의 결과물이 벌써 한국의 시대착오적 냉전논리의 좌·우 덫에 걸려 많은 부분이 단순화하고 왜곡 전달될 위험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한편으로는 지은이의 주장을 '북침설'의 허구를 입증하는 증거로 축소하며 북한에 대한 남한의 우위와 정당성을 홍보하려는 우익 냉전주의자들의 비학문적 차원의 의도가 보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의 주장을 기존의 '진보론'의 입장에서 일종의 '전향'으로 매도하려는 경향이 보인다. 그것은 그의 말처럼 '한 번 상투화한 고정관념은 모든 것을 명백히 해주는 결정적 자료의 제시에 의해서조차' 얼마나 교정하기 어려운가를 말해준다.
한국학을 세계적 차원으로 끌어올린 브루스 커밍스의《한국전쟁의 기원》을 극복하는 연구가 당분간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필자로서는, 지은이의 몇몇 주장에 대해 입장을 달리하면서도, 사실에 대한 10년간의 구도자적 천착을 통해 좌우 이데올로기의 신화를 깨뜨린 그의 연구에 충격을 받았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히 한국전쟁에 대한 사실 탐구에 머물고 있지 않다. 그의 노작은 사회주의 붕괴 이후 새롭게 제기되는 한국전쟁의 의의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며 동시에 한국전쟁 연구를 다학제적인 보편적 이론창출로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우리 인문사회과학의 새로운 고전으로 남게 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권혁범(대전대 교수, 정치학)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박명림(지은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지역학협동과정 교수. 김대중도서관 관장과 인간평화연구센터 소장을 맡고 있다. 연구 주제는 평화와 화해, 한국 정치, 정치이론, 동아시아 국제관계다. 주요 저서로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I·II, 『한국 1950: 전쟁과 평화』, 『다음 국가를 말하다』, 『역사와 지식과 사회』, 『인간국가의 조건』 I·II(근간)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9
제1장 서론 : 한국전쟁 연구의 의미와 방법 = 27
 1. 문제의 제기 = 27
 2. 시각 : 비판합리주의와 한국전쟁 연구 = 37
 3. 인식과 해석의 준거 : 농민, 민주주의, 민족주의 = 51
 4. 방법론의 문제 : 분석의 영역과 방법 = 64
제1부 전쟁의 결정 : 과정
 제2장 분단과 국토완정론의 등장 = 83
  1. 국토완정론 : 혁명전술의 변화 = 83
  2. 최대 공산주의연합의 형성과 화전양면전략 = 102
  3. 부분공격과 부분점령의 시도 = 116
 제3장 최종결정 : 스탈린 - 모택동 - 김일성의 합의 = 133
  1. 중국혁명과 동아시아 공산주의 삼각동맹의 형성 = 133
  2. 최종합의 : 한 파국적 결정 = 152
제2부 전쟁의 결정 : 분석
 제4장 스탈린 : 지원과 은폐의 이중주 = 181
  1. 일국 사회주의와 일지역 사회주의 = 181
  2. 중국혁명과 스탈린의 전환 = 191
  3. 조종과 은폐의 정치 : 전쟁중의 스탈린 = 200
 제5장 모택동 : 내키지 않는 적극적 동의 = 215
  1. 모택동과 한국전쟁 : 설명의 방식 = 215
  2. 스탈린 - 모택동의 관계, 대만해방과 한국전쟁결정 = 222
  3. 항일공동투쟁, 국가건설과 조·중공산주의연대 : 역사적 배경 = 235
 제6장 비밀의 늪 : 북한내부의 결정 Ⅰ = 257
  1. '박헌영 유도' 대 '박헌영 반대' : 두 개의 신화 = 259
  2. 김일성과 박헌영 : 공동의 혁명·공동의 결정 = 267
 제7장 비밀의 늪 : 북한내부의 결정 Ⅱ = 287
  1. 내부핵심의 저항 : 조선인민군 총사령관 민족보위상 최용건의 전쟁반대 = 287
  2. 주체의 인식 : 김일성·박헌영의 대남·대미인식의 문제 = 305
제3부 전쟁의 발발
 제8장 전쟁으로의 이행 = 331
  1. 전쟁의 사전준비조치들 : 1950 = 333
  2. 공격작전, 군사편제의 변경, 전면이동 = 351
  3. 공격직전 대남 사전조치 : 제안과 침투 = 369
  4. 결론 = 392
 제9장 공격명령 : 6월25일 직전의 38선 북선 = 395
  1. 집결지에서의 인민군 : 최종준비와 최종점검 = 396
  2. 공격명령Ⅰ : 중앙 = 408
  3. 공격명령Ⅱ : 6월23∼25일의 38선 북선 = 421
 제10장 마지막 조치 : 북침의 주장 = 435
  1. 전쟁의 시작 : '북침' 주장 = 435
  2. '북침' 이론 : 그 대답없는 질문의 구조와 논리 = 454
  3. 결론 = 472
참고문헌 = 475
찾아보기 = 495
跋文 :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의 의미와 평가 / 최장집 = 505


관련분야 신착자료

안확 (2023)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서천군지편찬위원회 (2023)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沈志華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