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이문열 세계명작 산책. 3 : 성장과 눈뜸

이문열 세계명작 산책. 3 : 성장과 눈뜸 (Loan 31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문열 李文烈, 1948-, 편 Benet, Stephen Vincent, 1898-1943. 저 Mann, Thomas, 1875-1955. 저 Chekhov, Anton Pavlovich, 1860-1904. 저 O'Connor, Frank. 저 Joyce, James, 1882-1941. 저 Lewis, Sinclair, 1885-1951. 저 Hesse, Hermann, 1877-1962. 저 Rosa, Joao Guimaraes, 1908-1967. 저 Johnson, Eyvind, 1900-1976, 저 Flaubert, Gustave, 1821-1880. 저
Title Statement
이문열 세계명작 산책. 3, 성장과 눈뜸 / 이문열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살림출판사,   1996  
Physical Medium
328 p. ; 23 cm
ISBN
8985577352 8985577328 (세트)
General Note
이문열의 본명은 '이열'임  
Content Notes
조니 파이와 바보 귀신, Johnny Pye and the fool-kiler / 베네, 스티븐 빈센트 -- 토니오 크뢰거, Tonio Kroger / 만, 토마스 -- 약혼녀, Невеста / 체홉, 안톤 -- 나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My Oedipus complex / 오코너, 프랭크 -- 애러비, Araby / 조이스, 제임스 -- 늙은 소년 액슬브롯, Young man Axelbrod / 루이스, 싱클레어 -- 시인, Der Dichter / 헤세, 헤르만 -- 제3의 강둑, The third bank of the river / 로사, 후앙 기마랑스 -- 보트 속의 남자 / 에이빈트 욘손 -- 순직한 영혼, Un coeur simple / 플로베르, 귀스타브
000 02231namcc2200421 c 4500
001 000000436625
005 20131127175610
007 ta
008 961011s1996 ulk 000cj kor
020 ▼a 8985577352 ▼g 04800
020 1 ▼a 8985577328 (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44002 ▼d 211009
041 1 ▼a kor ▼h eng ▼h ger ▼h rus ▼h por ▼h swe ▼h fre
049 1 ▼l 111068872 ▼f 개가 ▼l 111068873 ▼f 개가 ▼l 111068874 ▼f 개가 ▼l 131011312 ▼f 의학 ▼l 111272983 ▼l 111272984
082 0 4 ▼a 808.83 ▼2 23
085 ▼a 808.83 ▼2 DDCK
090 ▼a 808.83 ▼b 1996 ▼c 3
245 0 0 ▼a 이문열 세계명작 산책. ▼n 3, ▼p 성장과 눈뜸 / ▼d 이문열
260 ▼a 서울 : ▼b 살림출판사, ▼c 1996
300 ▼a 328 p. ; ▼c 23 cm
500 ▼a 이문열의 본명은 '이열'임
505 0 0 ▼t 조니 파이와 바보 귀신, Johnny Pye and the fool-kiler / ▼d 베네, 스티븐 빈센트 -- ▼t 토니오 크뢰거, Tonio Kroger / ▼d 만, 토마스 -- ▼t 약혼녀, Невеста / ▼d 체홉, 안톤 -- ▼t 나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My Oedipus complex / ▼d 오코너, 프랭크 -- ▼t 애러비, Araby / ▼d 조이스, 제임스 -- ▼t 늙은 소년 액슬브롯, Young man Axelbrod / ▼d 루이스, 싱클레어 -- ▼t 시인, Der Dichter / ▼d 헤세, 헤르만 -- ▼t 제3의 강둑, The third bank of the river / ▼d 로사, 후앙 기마랑스 -- ▼t 보트 속의 남자 / ▼d 에이빈트 욘손 -- ▼t 순직한 영혼, Un coeur simple / ▼d 플로베르, 귀스타브
546 ▼a 영어, 독일어, 러시아어, 포르투갈어, 스웨덴더, 프랑스어로 된 원저작을 한국어로 번역
700 1 ▼a 이문열 ▼g 李文烈, ▼d 1948-, ▼e
700 1 ▼a Benet, Stephen Vincent, ▼d 1898-1943. ▼t Johnny Pye and the fool-kiler, ▼e
700 1 ▼a Mann, Thomas, ▼d 1875-1955. ▼t Tonio Kroger, ▼e
700 1 ▼a Chekhov, Anton Pavlovich, ▼d 1860-1904. ▼t Невеста, ▼e
700 1 ▼a O'Connor, Frank. ▼t My Oedipus complex, ▼e
700 1 ▼a Joyce, James, ▼d 1882-1941. ▼t Araby, ▼e
700 1 ▼a Lewis, Sinclair, ▼d 1885-1951. ▼t Young man Axelbrod, ▼e
700 1 ▼a Hesse, Hermann, ▼d 1877-1962. ▼t Dichter, ▼e
700 1 ▼a Rosa, Joao Guimaraes, ▼d 1908-1967. ▼t third bank of the river, ▼e
700 1 ▼a Johnson, Eyvind, ▼d 1900-1976, ▼e
700 1 ▼a Flaubert, Gustave, ▼d 1821-1880. ▼t Coeur simple, ▼e
900 1 0 ▼a 이열, ▼e
940 ▼a Nevesta
940 ▼a 제삼의 강둑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8.83 1996 3 Accession No. 111068873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1997-11-15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8.83 1996 3 Accession No. 11127298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8.83 1996 3 Accession No. 11127298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808.83 1996 3 Accession No. 121026601 Availability Missing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5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4(Eastern Books)/ Call Number 808.83 1996 3 Accession No. 12102659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6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4(Eastern Books)/ Call Number 808.83 1996 3 Accession No. 12102660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7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4/ Call Number 808.83 1996 3 Accession No. 13101131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8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08.83 1996 3 Accession No. 15103107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8.83 1996 3 Accession No. 111068873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1997-11-15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8.83 1996 3 Accession No. 11127298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8.83 1996 3 Accession No. 11127298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808.83 1996 3 Accession No. 121026601 Availability Missing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4(Eastern Books)/ Call Number 808.83 1996 3 Accession No. 12102659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4(Eastern Books)/ Call Number 808.83 1996 3 Accession No. 12102660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4/ Call Number 808.83 1996 3 Accession No. 13101131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08.83 1996 3 Accession No. 15103107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귀스타브 플로베르(지은이)

1821년 프랑스 북부 도시 루앙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외과 의사였고, 내과 의사의 딸인 어머니는 플로베르의 삶과 작품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바이런의 조숙한 독자이자 셰익스피어의 광적인 팬이었던 10대의 플로베르는 여행 중에 젊고 생기 있는 연상의 여인 엘리자 슐레징거를 만나게 된다. 슐레징거는 플로베르가 상상할 수 있는 최고의 완벽한 여인으로서 평생 그의 마음속에 있었고, 그녀에 대한 오랜 사랑은 그의 삶과 작품을 결정짓는 중요한 모티프가 되었다. 열여덟 살에 법학을 공부하기 위해 파리로 떠났으나, 신경질환으로 인해 3년 뒤 학업을 중단하고 고향 마을로 돌아와 홀로된 어머니와 함께 살면서 글쓰기에 전념했다. 초기작, 특히 『성 앙투안의 유혹』에서 그는 대담한 상상력을 자유롭게 펼쳤으나, 이후에는 친구들의 조언에 따라 예술적인 객관성을 획득하고 산문 스타일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낭만주의적인 풍성함을 혹독하게 훈련했다. 이렇게 예술적 완전성을 갖추기 위한 노력은 그에게 커다란 고역임은 물론 생전에 제한된 성공만을 가져왔다. 1857년에 『보바리 부인』을 출간하고 나서는 대중적인 도덕률을 위반한다는 이유로 기소되었고, 이국적인 소설 『살람보』(1862)는 고고학적인 세부사항의 외형적 묘사에 불과하다는 이유로 비판을 받았다. 자기 세대의 도덕적인 역사를 다루려는 『감정 교육』(1869)은 비평가들의 오해를 샀으며, 정치적 희곡 『후보자』(1874)는 참담한 실패를 겪어야 했다. 『세 개의 우화』(1877)만이 완전한 성공을 이루었는데, 그것은 플로베르의 기분, 건강, 재정이 가장 밑바닥에 있을 때였다. 그의 사후인 1880년, 미완결 유작 『부바르와 페퀴셰』와 『서한집』이 출간되는 것을 기화로 그에 대한 평가가 서서히 힘을 얻고 명성 또한 높아지게 되었다. 관습적인 도덕과 사회적인 사실성의 차원을 넘어 진리에 도달하고 미를 창조하려 했던 ‘모더니티’의 대명사 플로베르. 그는 낭만주의와 사실주의, 자연주의와 구조주의에 이르는 현대의 예술 사조를 이끌어내는 씨앗으로서 조르주 상드, 에밀 졸라, 기 드 모파상 등 동시대 작가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친 19세기 위대한 프랑스 작가다.

안톤 파블로비치 체호프(지은이)

아버지 파벨은 항구도시 타간로크에서 잡화점을 운영했다. 그는 자식들에게 새벽 기도와 성가대 활동을 강요했는데, 그것이 작가의 유년 시절의 지각(知覺)을 지배하게 된다. 중학교 때 아버지가 파산해 온 가족이 모스크바로 떠난 후 체호프는 타간로크에 혼자 남았다. 이때부터 체호프는 독립심과 가족 부양에 대한 책임 의식을 갖게 되었다. 1879년 체호프는 모스크바에서 의과대학에 입학한 후, ‘안토샤 체혼테’, ‘내 형의 아우’, ‘쓸개 빠진 남자’와 같은 필명으로 생계를 위해 유머 잡지에 글을 쓰기 시작했다. 그의 초기 단편들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가벼운 소품들이 대부분이었다. 1885년 12월 체호프는 레이킨의 초대를 받아 페테르부르크로 가게 된다. 거기서 드미트리 바실리예비치 그리고로비치와 알렉세이 세르게예비치 수보린을 알게 된다. 1886년 초 그리고로비치는 체호프의 <사냥꾼>을 읽으면서 그의 위대한 재능이 소모되는 것을 안타깝게 여겼다. 이 작가는 체호프에게 재능을 아낄 것과 굳건한 문학적 입장을 가질 것을 촉구하는 편지를 보낸다. 이 충고 이후 1887년 봄 무렵부터 체호프는 이전과는 다른, 보다 객관적인 작가로 변모하게 된다. 한편으로 수보린은 체호프에게 고정 지면을 내주었고, 경제적 후원자가 되어 주었다. 그의 경제적 후원 덕택에 체호프는 원고 마감 시간과 주제의 제약과 같은 현실적 부담에서 벗어나 전업 작가로서의 길을 걷게 된다. 1892년 모스크바 근교의 멜리호보에 정착한 작가는 왕성한 창작열로 <6호실>(1892), <문학 선생>(1889∼1894), <롯실트의 바이올린>(1894), <대학생>(1894), <3년>(1895), <다락이 있는 집>(1896), <나의 삶>(1896), <갈매기>(1896), <농군들>(1897)과 같은 후기 걸작들을 집필했다. 한편으로 농민들을 무료로 진료하고, 톨스토이, 코롤렌코와 함께 기근(饑饉)과 콜레라 퇴치 자선사업을 펼쳤으며, 학교와 병원 건립 등 사회사업에도 참여했다. 1898년 지병인 결핵이 악화되어 크림 반도의 얄타로 이사한 체호프는 우울과 고독 속에서 나날을 보냈는데, 모스크바 예술극장 여배우 올가 크니페르와의 결혼으로 ‘새로운 삶’에 대한 희망을 갖게 된다. 이 시기에 그는 <용무가 있어서>(1899), <사랑스러운 여인>(1899), <개를 데리고 다니는 부인>(1899), <바냐 외삼촌>(1899), <골짜기에서>(1900), <세 자매>(1901), <약혼녀>(1903) 등을 발표했다. 1904년 1월 17일 체호프의 생일에 초연된 <벚나무 동산>과 창작 25주년 축하연은 그에게 무한한 기쁨을 주었지만, 그의 건강은 회복할 수 없을 정도로 악화되었다. 같은 해 6월 독일 바덴베일레르(Баденвейлер)로 아내 올가 크니페르와 요양을 떠나 거기서 생을 마감했다.

제임스 조이스(지은이)

1882년 아일랜드의 수도 더블린에서 태어나, 예수회 학교들과 더블린의 유니버시티 칼리지(UCD)에서 교육을 받았다. 대학에서 그는 철학과 언어를 공부했으며, 대학생이던 1900년, 입센의 마지막 연극에 관해 쓴 긴 논문이 《포트나이틀리 리뷰》지에 발표되었다. 당시 그는 서정시를 쓰기 시작했는데, 이는 나중에 《실내악》이란 시집으로 출판되었다. 1902년 조이스는 더블린을 떠나 파리로 향했으나, 이듬해 어머니의 임종으로 잠시 귀국했다. 1904년 그는 노라 바너클이란 처녀와 함께 다시 대륙으로 떠났다. 그들은 1931년 정식으로 결혼했다. 1905년부터 1915년까지 그들은 이탈리아의 트리에스테에 함께 살았으며, 조이스는 그곳의 벨리츠 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쳤다. 1909년과 1912년, 그는 《더블린 사람들》의 출판을 위해 아일랜드를 방문했다. 이 작품은 1914년 영국에서 마침내 출판되었다. 1915년 한 해 동안 조이스는 그의 유일한 희곡 《망명자들》을 썼다. 《젊은 예술가의 초상》은 1916년에 출판되었다. 같은 해 조이스와 그의 가족은 스위스의 취리히로 이사했으며, 조이스가 《율리시스》를 작업하는 동안 그들은 심한 재정적 빈곤을 겪어야 했다. 이 작품은 미국의 잡지 《리틀 리뷰》지에 연재되었다. 연재는 1918년에 시작되었으나, 작품에 대한 외설 시비와 그에 따른 연재 중지 판결로 1920년에 중단되었다. 《율리시스》는 1922년 파리에서 단행본으로 출판되었으며, 조이스 가족은 양차 세계대전 기간 동안 그곳에 체류했다. 1939년에 《피네간의 경야》가 출판되었고, 이어 조이스 가족은 스위스로 되돌아갔다. 두 달 뒤, 1941년 1월에 조이스는 장궤양으로 사망했다. 《젊은 예술가의 초상》의 초고의 일부인 《영웅 스티븐》이 1944년 저자 사후에 출판되었다.

토마스 만(지은이)

20세기 독일 문학을 대표하는 소설가, 평론가. 독일 북부의 뤼베크에서 부유한 사업가 집안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세기말의 암울한 데카당스 분위기에서 학창시절을 보냈고 일찍부터 문학,?예술, 철학 등에 관심이 많았다. 1891년 아버지의 죽음으로 형편이 어려워지자 보험회사에서 잠시 근무했고, 뮌헨으로 이사 가 1933년까지 살았다. 이때부터 집필 활동을 시작했고, 쇼펜하우어, 바그너, 니체 등에 심취했다. 1898년 단편집 《키 작은 프리데만 씨》를 발표하고, 1901년 《부덴브로크가》를 출간하여 작가로서 자리를 잡는다. 이어 1903년 《토니오 크뢰거》, 《트리스탄》 등을 집필한다. 1905년에 카티아 프링스하임과 결혼하여 그해에 장녀 에리카 만을 얻는다. 1911년에는 휴양지에서 작곡가 구스타프 말러의 서거 소식을 듣고 《베니스에서의 죽음》을 쓰기 시작하여 이듬해에 발표한다.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가던 1918년 10월에 600쪽이 넘는 방대한 논문집 《비정치적인 사람의 관찰》을 완성하는데, 여기서 그는 세계대전을 지지하는 발언을 한다. 그러나 차츰 이러한 경향에서 멀어져 나중에는 민주주의와 시민계급을 옹호했고, 이러한 세계관이 반영된 대작 《마의 산》을 1924년 발표, 소설가로서 세계적 명성을 얻으며 1929년 노벨문학상을 받는다. 1933년 ‘리하르트 바그너의 고난과 위대함’이라는 제목으로 국외 강연 여행 도중 히틀러의 집권으로 신변에 위협을 느껴 귀국을 포기한다. 이후 스위스에서 《요셉과 그 형제들》을 집필하여 1943년에 4부작을 완성한다. 1936년에는 독일 국적을 포기하고 1938년 미국에서 망명 생활을 보내는데, 여러 강연과 연설로 바쁜 와중에도 1947년 음악과 독일에 관한 소설이라 할 만한 《파우스트 박사》를 내놓는다. 1952년 미국에서 스위스로 거처를 옮기고 3년 후인 1955년 취리히에서 영면한다.

헤르만 헤세(지은이)

독일 남부 뷔르템베르크의 칼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요하네스는 목사였고, 어머니 역시 독실한 신학자 가문 출신이라 기독교적 분위기 속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1890년 라틴어 학교에 입학했고, 이듬해 마울브론 신학교에 들어갔다. 하지만 신학교의 속박된 생활을 못 견디고 뛰쳐나와 한때 자살을 시도했다. 시인이 되기를 꿈꾼 뒤 시계 공장에서 시계 톱니바퀴를 닦으며 문학수업을 시작했다. 1895년 낭만주의 문학에 심취해 첫 시집 《낭만적인 노래》를 출간했다. 1904년 첫 장편소설 《페터 카멘친트》를 출간하여 문학적 지위를 얻었다. 그해에 피아니스트 마리아 베르누이와 결혼했으며, 스위스로 이주해 시작에 몰두했다. 그 후 인도 여행으로 동양에 대한 관심이 깊어졌으며, 아내의 정신병, 헤세 자신의 신병 등 가정적 위기를 겪었고, 제2차 세계대전 중 나치스의 광적인 폭정에 저항하는 등 파란 많은 세월을 겪었다. 주요 작품으로 《수레바퀴 밑에서》, 《게르트루트》, 《크눌프》, 《데미안》, 《싯다르타》, 《나르치스와 골트문트》, 《유리알 유희》(1946년 노벨문학상 수상작) 등이 있다. 1877년 7월 2일 남부 독일 칼브에서 태어남. 1881년 스위스의 바젤로 이주함. 1890년 라틴 어 학교에 입학함. 1891년 어려운 주州 시험을 통과하고 마울브론의 신학교에 들어감. 1893년 칸슈타르 고교를 중퇴함. 1895년 서점 견습 점원이 됨. 1899년 처녀시집 《낭만적인 노래(Romantische Lieder)》와 산문집 《자정 이후의 한 시간(Eine Stunde hinter Mitternacht)》을 발간함. 1901년 시문집 《헤르만 라우셔(Hermann Lauscher)》를 발간해 시인 부세의 주목을 받음. 1902년 《시집(Gedichte)》을 어머니에게 헌정했으나, 어머니는 출판 직전에 별세. 1904년 최초의 장편소설 《페터 카멘친트(Peter Camenzind)》로 일약 인기 작가가 됨. 9세 연상인 피아니스트 마리아 베르누이와 결혼함. 1906년 제2의 장편소설인 《수레바퀴 아래서(Unterm Rad)》를 발표함. 1907년 소설집 《이 세상 이야기(Diesseits)》를 발간함. 1908년 《이웃 사람(Nachbarn)》을 발간함. 1910년 《게르트루트(Gertrud)》를 발간. 방랑벽이 심한 그와 피아니스트인 아내와의 불화로 인도 지방으로 여행함. 귀국 후 스위스 베른으로 이주함. 1911년 시집 《도상(途上, Unterwegs)》을 발간함. 1912년 《우회로(迂廻路, Umwege)》를 발간함. 1913년 〈로스할데(Roßhalde)〉를 씀. 이 작품에 그려진 예술가의 결혼 생활의 파국은 마침내 헤세 자신의 현실이 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때 반전주의자로 지목받아 국적을 스위스로 옮겼으며, 같은 입장에 있던 R. 롤랑과 친교를 맺음. 1915년 서정적인 방랑자의 이야기 《크눌프(Knulp)》와 시집 《고독자의 음악(Musik des Einsamen)》을 발간. 전쟁의 체험과 정신병이 악화된 아내와의 이별 등은 헤세의 작품 경향을 일변시켰음. 1919년 정신 분석 연구로 자기 탐구의 길을 개척한 대표작인 《데미안(Demian)》을 발간함. 1922년 《싯다르타(Siddhartha)》와 〈내면에의 길(Weg nach Innen)〉에서 불교적 해탈의 비밀을 추구하였음. 1927년 《황야의 이리(Der Steppenwolf)》를 발표. 이 작품은 내외의 분열과 고뇌를 그린 《데미안》과 일관되어 있음. 1928년 에세이집 《관찰(Betrachtungen)》을 발간함. 1929년 시집 《밤의 위안(Trost der Nacht)》을 발간함. 1930년 스위스에 있으면서 《지(知)와 사랑(Narziss und Goldmund)》을 발표. 이 작품은 신학자로서 지성의 세계에 사는 나르치스와, 여성을 알고 애욕에 눈이 어두워진 골드문트와의 우정의 역사를 다룬 것임. 1933년 소설집 《작은 세계(Kleine Welt)》를 발간함. 1942년 《시집(Die Gedichte)》을 발간함. 1943년 20세기의 문명의 비판서라 할 수 있는 미래소설 장편 《유리알 유희(Das Glasperlenspiel)》를 발표함. 1945년 시선집 《꽃 피는 가지(Der Blutenzweig)》를 발간함. 1946년 괴테상과 노벨문학상 수상. 《전쟁과 평화(Krieg und Frieden)》를 발간함. 1951년 《만년의 산문(Spate)》을 발간함. 1954년 《헤세와 로망 롤랑의 왕복 서한》을 발간함. 1955년 《악마를 부름(Beschworungen)》을 발간함. 1962년 8월 9일 사망함.

스티븐 빈센트 베네(지은이)

퓰리처상 2회 수상. 『세일즈맨의 죽음』으로 퓰리처상과 뉴욕 연극 비평가상을 수상함으로써 미국의 대표적인 극작가로 자리매김하였다. 1955년 거듭 퓰리처상을 수상한 아서 밀러는 할리우드 최고 여 배우였던 마릴린 먼로와 두 번째 결혼과 이혼을 하며 세간의 관심을 사기도 했다.

프랭크 오코너(지은이)

<이문열 세계명작산책 3>

싱클레어 루이스(지은이)

1885년 미국 미네소타주의 소도시 소크센터에서 태어났다. 예일대를 졸업한 뒤 출판사와 잡지사에서 일하며 미국 전역을 돌아다녔다. 틈틈이 습작을 계속하며 경력을 쌓아가던 루이스는, 첫 소설 《우리의 렌 씨》(1914)로 문단에 이름을 알렸고 미국 지방주의 소설의 교과서로 불리는 《메인 스트리트》(1920)를 출간하며 베스트셀러 작가에 이르렀다. 그 후로도 작가로서 승승장구하며 교양 없고 순응적인 중산층을 신랄하게 풍자한 《배빗》(1922), 약 2년 간격으로 연달아 출간한 《애로스미스》(1925), 《엘머 갠트리》(1927), 《도즈워스》(1929)가 모두 크게 성공하며 세계적인 작가의 반열에 올랐다. 1926년 퓰리처상 수상자로 선정됐지만, 자신이 비난해온 상업주의의 일부라는 이유로 수상을 거부했다. 루이스는 모험가라고 느껴질 정도로 전 세계를 여행했지만, 오로지 현실에서 도피하기 위해 여행을 다녔다고 말했다. 숨은 명작으로 꼽히는 《도즈워스》 역시 유럽 각지를 여행하는 도즈워스 부부의 모습을 생생하고 희화적으로 그린 작품인데, 끝없는 방황과 영원한 안착이라는 인간의 상충적인 욕망을 동시에 실현해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1930년 미국 작가로는 처음으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했지만, 두 번의 결혼이 모두 이혼으로 끝나고 심각한 알코올 중독에 빠지면서 힘겨운 말년을 보냈다. 그 밖의 작품으로는 획기적인 여성주의 소설 《앤 비커스》(1933), 미국에 등장한 파시즘 지도자를 그린 《있을 수 없는 일이야》(1935), 유작인 《아주 넓은 세계》(1951) 등이 있다. 1951년 이탈리아 로마에서 세상을 떠났다.

후앙 기마랑스 로사(지은이)

<이문열 세계명작산책 3>

에이빈트 욘손(지은이)

<이문열 세계명작산책 3>

이문열(엮은이)

1948년 서울에서 태어나 고향인 경북 영양, 밀양, 부산 등지에서 자랐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에서 수학했으며 1979년《동아일보》신춘문예에 중편「새하곡」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이후「그해 겨울」,「황제를 위하여」,「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등 여러 작품을 잇따라 발표하면서 다양한 소재와 주제를 독보적인 문체로 풀어내어 폭넓은 대중적 호응을 얻었다. 특히 장편소설『사람의 아들』은 문단의 주목을 이끈 초기 대표작이다. 작품으로 장편소설『젊은 날의 초상』,『영웅시대』,『금시조』,『시인』,『오디세이아 서울』,『선택』,『호모 엑세쿠탄스』등 다수가 있고,『이문열 중단편 전집』(전 6권), 산문집『사색』,『시대와의 불화』,『신들메를 고쳐매며』, 대하소설『변경』(전 12권),『대륙의 한』(전 5권) 등이 있으며, 평역소설로『삼국지』,『수호지』,『초한지』가 있다. 오늘의 작가상, 동인문학상, 이상문학상, 현대문학상, 호암예술상 등을 수상하였으며, 2015년 은관문화훈장을 수상했다. 그의 작품은 현재 미국, 프랑스, 독일 등 전 세계 20여 개국 15개 언어로 번역, 출간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세계명작산책』을 내며 = 11
제3권 『성장과 눈뜸』서문 = 19
조니 파이와 바보귀신 / 스티븐 빈센트 베네 = 21
토니오 크뢰거 / 토마스 만 = 57
약혼녀 / 안톤 체홉 = 141
나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프랭크 오코너 = 171
애러비 / 제임스 조이스 = 195
늙은 소년 액슬브롯 / 싱클레어 루이스 = 209
시인 / 헤르만 헤세 = 233
제3의 강둑 / 후앙 기마랑스 로사 = 249
보트 속의 남자 / 에이빈트 욘손 = 263
순직한 영혼 / 귀스타브 플로베르 = 28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박도형 (2022)
Dillon, Brian (2023)
Saki (2022)
Char, René (2023)
김은수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