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 머리에 = 3
제1장 서론 = 11
1. 문제제기 = 11
2. 연구목적과 범위 = 15
3. 기존연구의 검토 = 17
4. 연구방법론 = 25
제2장 1930년대 한국문학비평 개관 = 28
1. 1930년대 문단 상황 = 28
2. 문학비평론의 전개 양상 = 36
가) 리얼리즘의 경우 = 39
나) 모더니즘론의 경우 = 51
제3장 김남천의 리얼리즘 문학비평론 = 62
1. 김남천 비평문학의 배경 = 62
가) 사회문화비평 = 62
나) 현실에의 집착 = 67
2. 고발문학론 = 74
가) 자기고발문학론 = 76
나) 사회고발문학론 = 81
다) 고발문학론의 한계 = 96
3. 장편소설론 = 101
가) 모랄론과 풍속론 = 106
나) 장편소설개조론 = 121
다) 관찰문학과 성격론 = 130
라) 소설의 운명 = 152
제4장 최재서의 모더니즘 문학비평론 = 163
1. 최재서 비평문학의 배경 = 163
가) 인식틀의 이중구조 = 164
나) 주지주의의 비판적 수용 = 173
2. 풍자문학론 = 190
3. 지성론 = 208
가) 지성의 실체 = 208
나) 문학의 현대성과 지성의 관계 = 224
다) 모랄의 주체화 = 230
4. 전환기에 있어서의 지성의 변모 = 245
가) 문학양식의 탐구와 리얼리즘의 선택 = 245
나) 모더니즘과 리얼니즘의 공존 = 259
다) 장편소설의 성격론과 논리의 상실 = 268
제5장 김남천과 최재서 문학비평의 성과 = 287
1.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차별성 = 287
2. 비평의 상보적 논리 = 307
제6장 결론 = 322
〈참고문헌〉 = 334
〈비평 자료 목록〉 = 340
[부록] 安懷南 論考
Ⅰ. 머리말 = 357
Ⅱ. 신변소설론 = 361
Ⅲ. 본격소설론 = 373
Ⅳ. 해방과 진보적 민족주의 = 383
Ⅴ. 맺음말 = 395
〈찾아보기〉 = 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