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序文
麗末鮮初의 士大夫 -士大夫의 槪念을 中心으로-
1. 머리말 = 1
2. 宋代의 士大夫 = 3
3. 麗末의 士大夫 = 6
4. 鮮初의 士大夫 = 13
5. 맺음말 = 23
15세기 양반론
1. 양반의 개념 = 26
2. 양반의 성립과정 = 31
3. 양반의 제특권
(1) 토지소유 = 38
(2) 軍役 = 41
(3) 교육과 과거 = 43
(4) 官階와 官職 = 49
(5) 刑罰 = 54
4. 양반의 신분적 성격 = 55
朝鮮初期의 文·武散階
1. 머리말 = 61
2. 文·武散階의 整備 = 63
3. 文·武散階의 社會身分 = 70
4. 맺음말 = 78
15세기에 있어서의 官職體系의 變化
1. 高麗的 散職의 혁파 = 81
2. 새로운 散職의 신설 = 86
3. 散官의 활용 = 89
4. 科擧制와 門閥 = 94
高麗·朝鮮初期의 土地所有權에 대한 諸說의 檢討
1. 머리말 = 101
2. 公田과 私田
(1) 土地國有制論 = 103
(2) 土地私有制論 = 110
3. 民田의 實態 = 120
4. 租稅問題 = 131
5. 맺음말 = 139
公田·私田·民田의 槪念 -高麗·朝鮮初期를 中心으로-
1. 머리말 = 143
2. 公田·私田의 개념 = 144
3. 民田의 槪念과 實體 = 152
4. 公田·私田의 收租率 = 159
5. 맺음말 = 169
朝鮮初期 身分史硏究의 再檢討
朝鮮時代 鄕村支配勢力의 推移
1. 머리말 = 198
2. 京在所와 留鄕所 = 201
3. 鄕約과 鄕案 = 208
4. 맺음말 = 217
京在所와 留鄕所
1. 머리말 = 223
2. 事審官 = 225
3. 京在所 = 230
4. 留鄕所 = 235
5. 맺음말 = 240
呂氏鄕約과 朱子增損呂氏鄕約
1. 머리말 = 243
2. 呂氏鄕約의 成立 = 244
3. 朱子增損呂氏鄕約 = 256
4. 맺음말 = 265
朝鮮王朝實錄과 韓國史硏究
1. 머리말 = 269
2. 史官制度의 特性과 實錄編纂 = 271
3. 朝鮮王朝實錄의 史料的 價値 = 278
4. 맺음말 = 282
『經國大典』의 編纂과 『大明律』
1. 머리말 = 285
2. 『經國大典』의 編纂 = 289
3. 『大明律』과 『經國大典』 刑典 = 295
4. 맺음말 = 302
朝鮮時代 奴婢의 身分的 地位
1. 머리말 = 306
2. 奴婢의 種類와 立役
(1) 奴婢의 種類 = 309
(2) 奴婢의 立役과 選上 = 320
(3) 奴婢의 身貢 = 330
3. 맺음말 = 336
朝鮮初期 奴婢의 從母法과 從父法
1. 머리말 = 340
2. 奴婢隨母法의 實施 = 342
3. 從父法의 擡頭 = 347
4. 從父法과 補充軍 = 352
5. 從母法과 從父法의 折衷 = 355
6. 맺음말 = 363
朝鮮後期 黨爭硏究의 方向
1. 머리말 = 366
2. 黨爭의 槪念 = 369
3. 黨爭에 대한 否定的 見解 = 374
4. 黨爭에 대한 肯定的 見解 = 381
5. 앞으로의 方向 = 393
6. 맺음말 = 400
朝鮮後期 黨爭의 原因에 대한 小考
1. 머리말 = 402
2. 朝鮮時代의 黨爭原因論 = 404
3. 日帝時代의 黨爭原因論 = 420
4. 黨爭原因에 대한 諸說의 檢討 = 427
5. 맺음말 = 435
17세기 禮論과 黨爭
1. 머리말 = 440
2. 元宗追崇是非 = 443
3. 己亥(1659)禮訟 = 464
4. 甲寅(1674)禮訟 = 488
5. 맺음말 = 505
索引 = 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