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감사의 글 = ⅲ
서문 = ⅴ
제1장 팽창을 통한 안보의 신화 = 1
Ⅰ. 팽창의 다양한 근거 = 3
1. 도미노이론 : 누적적 이득과 손실 = 4
2. 공격의 이점 = 6
3. 종이 호랑이와 편승 : 위험에 대한 신념 = 7
Ⅱ. 과대팽창 : 제국의 신화의 결과 = 9
Ⅲ. 과대팽창과 제국의 신화의 기원 = 14
1. 현실주의적 설명 = 15
2. 인지적 설명 = 19
3. 국내정치적 설명 = 21
4. 연합 결탁과 연합의 이데올로기 = 24
Ⅳ. 연합정치적 설명의 중요성 = 27
제2장 과대팽창에 대한 세가지 이론 = 31
Ⅰ. 현실주의적 설명 : 무정부상태에 대한 반응= 31
1. 공격적일 때의 이점 = 33
2. 누적적 자원 = 35
3. 상대적 힘의 변화 = 37
4. 다극성 = 38
Ⅱ. 인지적 설명 : 잘못 이끄는 정신적 지름길 = 38
Ⅲ. 국내적 설명 : 연합정치와 이데올로기 = 45
1. 제국주의자 집단의 정치적 이점 = 46
2. 국내정치적 맥락 : 파벌적 이해관계의 강화 = 55
3. 카르텔화된 체제 = 61
4. 민주적 체제 = 69
5. 단일적 정치체제 = 73
6. 연합정치에 관한 결론과 단서 = 76
Ⅳ. 국내구조의 형성 요인들 = 76
1. 산업화의 시기 = 78
2. 산업화 과정 = 81
Ⅴ. 경쟁적인 설명들의 검증 = 83
1. 무엇이 설명되어야 하는가? = 83
2. 원인변수의 측정 = 84
3. 사례선택 = 84
4. 검증 = 87
5. 역사적 판단의 준거들 = 88
제3장 독일과 후발 발전 유형 = 91
Ⅰ. 과대팽창의 경향 : 자기포위의 유발 = 93
Ⅱ. 국제 체제 : 강요된 팽창 = 96
Ⅲ. 전략적 개념 : 편승과 힘의 과시 = 104
1. 전략적 개념 = 104
2. 신화에 대한 평가 = 111
3. 독일의 전략적 개념의 변화 = 113
4. 비스마르크의 전략적 개념 = 114
5. 빌헬름 시대의 전략적 개념 = 116
6. 바이마르의 전략적 개념 = 126
7. 나치의 전략적 개념 = 127
Ⅳ. 인지적 편견 : 1870년의 교훈? = 132
Ⅴ. 국내정치 : 결탁과 신화 창출 = 134
1. 후발 산업화의 유형 = 135
2. 엘리트와 대중의 연합정치 = 137
3. 이데올로기적 정치 = 141
4. 나치 이데올로기 : 정치로부터의 분리인가? = 145
Ⅵ. 결론 = 150
제4장 자급자족 전략을 추구한 일본 = 155
Ⅰ. 과대팽창추세 : 교훈 습득의 퇴조 = 157
Ⅱ. 국제체제 : 군국주의는 겉치레 명분인가? = 160
Ⅲ. 전략적 개념 : 종이호랑이와 이중의 흉안 = 166
1. 종이호랑이 이미지 = 167
2. 균형과 편승 = 170
3. 기회의 창 = 173
4. 누적적 이득과 손실 = 174
5. 이데올로기와 조작으로서의 전략적 개념 = 176
Ⅳ. 인지적 편견 : 서양의 모방, 무사도 신조의 모방? = 179
Ⅴ. 국내정치 : 군국주의와 정치 발전 = 184
1. 후발 발전의 유형 = 185
2. 군부의 힘과 이해관계 = 188
3. 연합형성과 결탁 = 196
4. 제국주의적 연합의 민간세력들 = 200
5. 이데올로기적 정치와 개념적 반동 = 204
Ⅵ. 결론 = 206
제5장 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사회 제국주의 = 211
Ⅰ. 패권장악을 위한 파머스톤의 노력 = 215
1. 무제한전쟁 직전까지? = 219
2. 현실주의자로서의 파머스톤 : 봉쇄정책? = 225
Ⅱ. 전략적 이념들의 스펙트럼 = 228
1. 공세적 봉쇄의 이데올로기 = 229
2. 파머스톤의 전략적 신념 = 241
3. 통합된 이데올로기 속의 지정학과 자유주의 = 249
4. 반(反)제국주의의 이데올로기 = 254
Ⅲ. 인지적 설명 = 261
Ⅳ. 국내의 연합정치 = 263
1. 선발산업화의 양상 = 264
2. '평형의 시대'에서의 연합정치= 266
3. 사회 제국주의와 파머스톤의 연합전략 = 269
4. 왜 사회제국주의는 설득력이 있었는가? = 282
5. 결론 : 파머스톤의 사회 제국주의 = 287
Ⅴ. 대단원 : 파머스톤 이후의 빅토리아 제국주의 = 290
Ⅵ. 빅토리아 시대의 제국주의 : 이론적 함축 = 293
제6장 소련 정치와 전략적 학습 = 295
Ⅰ. 국제 환경에 대한 합리적 적응인가? = 299
1. 고유한 조건들 = 300
2. 가변적 요인들 = 303
3. 현실주의적 설명들에 대한 사실적 평가 = 318
Ⅱ. 소련의 전략적 개념 = 319
Ⅲ. 인지적 설명들 : 볼셰비키적 근시안의 교정? = 324
Ⅳ. 국내정치 : 위로부터의 혁명의 격세유전 = 330
1. 위로부터의 혁명의 제도와 아이디어 = 332
2. 스탈린주의적 격세유전과 팽창의 정치 = 334
3. 몰로토프, 군부, 그리고 요새화 전략 = 335
4. 즈다노프, 호전적 당, 그리고 해외에서의 진보적 변화 = 338
5. 말렌코프, 인텔리겐챠, 그리고 긴장완화 = 340
6. 흐루시초프와 브레즈네프의 종합 = 341
7. 고르바초프 혁명 = 346
Ⅴ. 결론 = 349
제7장 미국의 냉전적 합의 = 353
Ⅰ. 세계적 개입주의에 대한 현실주의적 설명 = 357
Ⅱ. 전략적 신념 = 363
1. 애치슨과 유럽 우선 국제주의자 = 365
2. 태프트와 아시아 우선 국내주의자 = 368
3. 국방부의 일방주의 = 372
4. 냉전적 세계주의 = 374
5. 전략적 개념의 평가 = 379
Ⅲ. 인지적 설명 = 383
Ⅳ. 국내 정치 = 386
1. 국제주의의 기원과 특징 = 389
2. 일방주의적 국내주의의 기원과 특징 = 391
3. 전후의 대결 = 394
4. 위협의 과장 전술 = 395
Ⅴ. 한국전쟁과 대만에의 개입 = 400
Ⅵ. 냉전적 합의 = 409
Ⅶ. 베트남 = 414
Ⅷ. 결론 = 418
제8장 과대팽창 : 기원과 해결책 = 423
Ⅰ. 결과의 양상 = 423
Ⅱ. 전략적 개념들 = 424
Ⅲ. 국내체제에서의 위치 = 425
Ⅳ. 인지적 설명 = 427
Ⅴ. 국내 연합정치 = 428
Ⅵ. 국내적 설명의 변형 = 433
Ⅶ. 카르텔화의 정도를 결정하는 요인들 = 437
Ⅷ. 이론적 함축 = 439
Ⅸ. 현 시대의 정책을 위한 함축 = 443
역자후기 = 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