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 2
서론
1. 문제제기 = 17
2. 이론적 논의 : 노동조합 조직력 약화에 대한 설명 = 25
1) 기존 연구와 그 접근방식 = 25
2) 본 연구의 접근방식 : 제도, 의식, 행동 = 34
3. 개념 및 연구방법 = 38
4. 자료 = 46
제1장 노동자의 영향력
제1절 영향력의 기반 : 쟁의활동과 노조조직화 = 55
1. 쟁의활동과 노동자 영향력 = 55
2. 노조조직률과 조직형태 = 66
제2절 영향력 행사의 수준 및 방식 = 73
1. 단위 노동조합의 활동 = 73
2. 입법·정책결정 과정 개입 = 78
3. 정치적 대표를 통한 영향력 = 84
4. 임금형태 혹은 사회복지체계 = 88
제3절 노동자 영향력에 대한 상이한 평가 = 93
제2장 노동운동의 전환점 : 1987년 '노동자대투쟁'
제1절 '대투쟁'의 성격과 전개과정 = 100
1. '대투쟁'의 개관 = 100
2. '대투쟁'의 배경과 특징 = 110
제2절 사업장 조건과 노동자의 대응 : 유형화 = 121
제3절 '대투쟁'의 심화와 확대 = 130
1. 1988년 총선 참여 = 130
2. 1988년 노동법 개정운동 = 138
제4절 소결 : '대투쟁'의 성격과 한계 = 143
제3장 노동조합 조직화의 구조적 기반
제1절 경제적 기반 = 146
1. 한국 공업화의 특성과 노동력 구성 = 146
1) 공업화의 특징 = 146
2) 노동자층의 성장 = 150
3) 노동력 구성상의 특징 = 155
2. 1987년 이후 경기변동과 고용 = 166
제2절 정치사회적 기반 = 169
1. 국가와 노동자, 노동조합 = 169
1) '피고용자'로서의 노동자 = 169
2) 기업경영 협력체로서의 노동조합 = 175
2. 사용자와 노동조합 = 180
1) 사용자의 노동자관 = 180
2) 사용자의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 = 183
3) 최근 노동조합에 대한 통제방식의 변화 = 187
3. 사회일반의 노동조합에 대한 시각 = 189
제3절 노동조합 조직화의 분석 = 191
1. 노조조직 현황과 조직화 억제 요인 = 191
2. 조직률 증감 요인 = 199
제4절 소결 = 208
제4장 노동자 의식 : 회사소속의식과 연대의식
제1절 노동조건의 변화 = 213
제2절 노동자의 지향 = 224
1. '수단'으로서의 회사 = 224
2. 도구주의의 실제 의미 = 231
3. 이기주의와 개인주의 = 236
제3절 노동조합과 노동자 = 240
1. 노동조합에 대한 관심 = 240
2. 노동조합에 대한 의미 부여 = 244
제4절 회사, 노동조합과 노동자 : 이중적 태도와 그 기반 = 248
1. 복종에서 대립으로 = 248
2. 노사관계를 보는 이중적 태도 = 252
1) 갈등의식과 협력의식의 공존 = 252
2) 협력의식의 실제 내용 : 실리적인 현실수용 = 256
3. 이중적 태도의 사회적 기반 = 261
4. 최근 노동조합에 대한 관심저하의 의미 = 264
제5절 노동자의 행동 : 시기별 변화와 유형화 = 270
1. 시기에 따른 변화 = 270
1) 1987년 이전 = 270
2) 1987년 이후 = 273
2. 유형화 : 기업협력의 제형태 = 276
제6절 소결 = 280
제5장 노동조합 : 내부 역학과 활동노선
제1절 한국 노동조합의 성격과 위상 = 286
1. 한국 노동조합의 역사 = 286
2. 노조의 위상과 노조간부의 입지 = 293
1) 노조의 위상 = 293
2) 노조간부의 이중적인 입지 = 304
제2절 노조지도부의 의식과 지향 = 311
1. 노조지도자의 특성 = 311
2. 노조지도자 내부의 분열 = 314
1) 연대 지향적 노조지도자 = 314
2) 실리적 노조지도자의 형성 = 318
제3절 노동조합의 내부 역학과 행동 : 대규모 사업장 노동조합을 중심으로 = 323
1. 노조의 행동 : 유형화 = 323
1) 연대노선에서 강경한 저항행동으로 = 323
2) 실리적 노선에서 협력으로 = 332
3) 기타 사례들 = 338
2. 노조의 내부 역학 = 342
1) 노조민주주의(union democracy)의 딜레마 = 342
2) 지도력 재생산의 위기 = 351
3) 활동노선상의 딜레마 : 도덕적 '순수주의', '노동자주의' 및 대안의 결여 = 355
제4절 소결 = 359
제6장 노동운동 : 노동조합의 연대와 파편화
제1절 노동운동가 = 363
1. 대학 출신 노동자의 형성과 활동 = 363
2. 운동노선의 분열 = 364
3. '전투적 조합주의'의 한계 = 371
1) '전투적 노선'의 역설 = 371
2) '지도력'의 공백 = 374
제2절 연대의 궤적과 그 한계 = 377
1. 공동행동 차원의 연대 = 377
1) 자연발생적 연대 = 377
2) (항의)연대파업, 집회 = 381
3) 공동 임금교섭 = 383
2. 조직화 = 393
1) 지노협 = 393
2) '민주노조' 전국협의회 = 398
3) (생산직)업종별·산업별 노조협의회 = 409
3. 연대활동에 대한 정리 = 411
제3절 노동자의 정치활동과 노동계급 형성 : 노동자의 정치사회적 고립 = 416
1. 한국 노동자의 탈정치성 = 416
2. '구조적 단층'의 두 차원 = 422
3. '첫 단추 끼는 실천'과 그 누적적 효과 = 427
제4절 요약과 전망 = 431
결론
1. 결론 및 함의 = 435
2. 정책적 논의 = 448
자료 = 455
참고문헌 = 463
영문초록 = 497
찾아보기 = 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