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근대성과 근대문학 : 리얼리즘.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

근대성과 근대문학 : 리얼리즘.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 (18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나병철
서명 / 저자사항
근대성과 근대문학 : 리얼리즘.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 / 나병철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문예출판사 ,   1995.  
형태사항
382 p. ; 23 cm.
ISBN
8931002807
일반주기
색인포함  
000 00552camccc200205 k 4500
001 000000242319
005 20100805015410
007 ta
008 951219s1995 ulk 001a kor
020 ▼a 8931002807 ▼g 03800 : ▼c \10,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801 ▼2 21
090 ▼a 801 ▼b 1995f
100 1 ▼a 나병철 ▼0 AUTH(211009)5371
245 1 0 ▼a 근대성과 근대문학 : ▼b 리얼리즘.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 / ▼d 나병철 지음.
260 ▼a 서울 : ▼b 문예출판사 , ▼c 1995.
300 ▼a 382 p. ; ▼c 23 cm.
500 ▼a 색인포함
950 0 ▼b \10000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 1995f 등록번호 111060863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1-15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 1995f 등록번호 11106086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청구기호 801 1995f 등록번호 1110608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01 1995f 등록번호 15102903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01 1995f 등록번호 15102903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 1995f 등록번호 111060863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1-15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 1995f 등록번호 11106086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청구기호 801 1995f 등록번호 1110608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01 1995f 등록번호 15102903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01 1995f 등록번호 15102903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리얼리즘,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근대의 세 문화형식들을 중심으로 각각의 역사와 미학적 원리를 근대성의 연관 속에서 고찰하고 특히 그것이 우리 문학 속에서 어떻게 나타났는가를 살핀 책.

이를 통해 오늘의 역사와 문학을 이해하는 동시에 한국 문학의 특수성을 밝히고자 했다. <근대성과 근대문학>, <리얼리즘과 두가지 근대성>, <모더니즘과 미적 근대성>, <포스트 모더니즘과 탈구조주의>등 모두 4장으로 구성.

리얼리즘 논의와 모더니즘- 포스트 모더니즘 논의를 어느 한쪽에 편향됨없이 양쪽의 견해를 균형있게 다루며, 그 차이와 역사성 자체를 논쟁의 장으로 끌어 들이고자 했다.저자는 전근대-근대-탈근대라는 논쟁의 구도가 전통주체화-근대-진보적 전망이라는 새로운 축으로 옮겨져야 함을 주장한다.

이것이야 말로 서구중심적 근대화에서 벗어나 우리 자신의 모습을 되찾은 근대를 성취하는 일이라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나병철(지은이)

연세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수원대학교 국문과 교수를 거쳐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명예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 《문학의 시각성과 보이지 않는 비밀》, 《친밀한 권력과 낯선 타자》, 《특이성의 문학과 제3의 시간》, 《소설이란 무엇인가》(공저), 《감성정치와 사랑의 미학》, 《미래 이후의 미학》, 《소설이란 무엇인가》, 《소설의 이해》, 《문학의 이해》, 《전환기의 근대문학》, 《근대성과 근대문학》, 《한국문학의 근대성과 탈근대성》,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넘어서》, 《근대서사와 탈식민주의》, 《탈식민주의와 근대문학》, 《소설과 서사문화》, 《가족 로망스와 성장 소설》, 《영화와 소설의 시점과 이미지》, 《환상과 리얼리티》, 《소설의 귀환과 도전적 서사》, 《은유로서의 네이션과 트랜스내셔널 연대》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문학교육론》(제임스 그리블), 《프롤레타리아의 물결》(박선영), 《냉전시대 한국의 문학과 영화》(테드 휴즈), 《서비스 이코노미》(이진경), 《문화의 위치》(호미 바바),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정치와 문화》(마이클 라이언), 《해체론과 변증법》(마이클 라이언), 《중국문화 중국정신》(C. A. S. 윌리엄스)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5
제1장 근대성과 근대문학 = 15
 1. 역사에 대한 새로운 질문방식 = 15
 2. 서사텍스트와 근대성의 조건 = 20
 3. 근대서사와 근대기획 = 26
  (1) 인식과 서사의 변증법 = 26
  (2) 다양한 계몽사상과 과도기적 근대소설 = 32
  (3) 근대문학과 리얼리즘 = 36
  (4) 두 가지 리얼리즘과 근대문학 = 40
 4. 리얼리즘·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 = 42
  (1) 리얼리즘 / 모더니즘 = 42
  (2) 리얼리즘·모더니즘 / 포스트모더니즘 = 45
  (3) 근대문학의 새얼굴 = 50
제2장 리얼리즘과 두 가지 근대성 = 53
 1. 리얼리즘의 역사적 전개 = 53
  (1) 근대 초기의 문학과 리얼리즘 = 53
  (2) 리얼리즘과 자연주의 = 57
  (3)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출현 = 66
 2. 리얼리즘의 미학적 원리 = 73
  (1) 형상적 인식 = 73
  (2) 인식론 미학 = 83
  (3) 가치론 미학 = 93
  (4) 생산이론 = 96
 3. 두 가지 리얼리즘과 두 가지 근대성 = 104
  (1) 비판적 리얼리즘과 사회주의 리얼리즘 = 104
  (2) 비판적 리얼리즘의 내용과 형식 = 118
  (3)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내용과 형식 = 118
  (4) 두 가지 리얼리즘과 두 가지 근대성 = 127
 4. 우리문학과 리얼리즘 = 133
  (1) 우리 리얼리즘 소설의 역사적 전개 = 133
  (2) 리얼리즘과 이야기시 = 144
제3장 모더니즘과 미적 근대성 = 149
 1. 모더니즘의 역사적 전개 = 149
  (1) 모더니즘의 역사적 조건 = 149
  (2) 모더니즘과 아방가르드 = 153
  (3) 입체파·미래파·표현주의 = 155
  (4)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 = 161
  (5) 영미 모더니즘 = 167
  (6) 실존주의와 모더니즘 = 174
 2. 모더니즘의 미학적 원리 = 180
  (1) 모더니즘과 형식주의 = 180
  (2) 모더니즘 미학 = 184
  (3) 아도르노의 미학과 모더니즘 = 188
 3.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논쟁 = 193
  (1) 블로흐와 루카치 = 193
  (2) 루카치와 브레히트 = 199
  (3) 루카치와 아도르노 = 202
 4. 우리문학과 모더니즘 = 209
  (1) 우리 모더니즘의 역사적 근거와 특수성 = 209
  (2) 룸펜 지식인 소설들 = 212
  (3) 실존의식과 소외의식 = 219
  (4) 모더니즘과 리얼리즘의 결합 = 225
  (5) 우리 모더니즘 시의 역사적 전개 = 229
제4장 포스트모더니즘과 탈구조주의 = 215
 1. 포스트모더니즘의 역사적 전개 = 235
  (1) 리오타르의 포스트모던의 조건 = 235
  (2) 후기자본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 242
  (3) 건축·TV·비디오 = 246
  (4) 네오 아방가르드와 메타픽션 = 250
  (5) 서사성의 부활과 다원적 주제 = 256
 2. 포스트모더니즘과 탈구조주의 = 271
  (1) 니체의 근대이성 비판 = 271
  (2) 해체론과 포스트모더니즘 = 277
  (3) 해체론과 마르크스주의 = 285
  (4) 푸코와 포스트모더니즘 = 293
 3. 포스트모더니즘 논쟁 = 302
  (1)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적 이성 = 302
  (2) 리오타르와 하버마스 = 307
  (3) 하버마스와 데리다 = 313
  (4) 하버마스와 푸코 = 317
 4. 우리문학과 하버마스 = 320
  (1) 우리 하버마스 발생의 역사적 근거 = 320
  (2) 메타픽션의 후일담 소설 = 323
  (3) 성적 욕망의 장치와 환상의 기법 = 329
  (4) 우리 포스트모더니즘 시의 전개 = 343
제5장 새로운 근대성과 근대문학 = 353
 1. 질문에 대한 잠장적인 결론 = 353
 2. 신소설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 = 362
참고문헌 = 367
찾아보기 = 37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