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감기를 달고 사는 아이들을 위한 지혜
1. 감기를 달고 사는 아이들이란 = 17
1 '감기를 달고 사는 아이'란 누구를 말하는가 = 17
2 엄마들이 알고 있는 감기의 실체 = 19
3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들 = 21
4 호흡기 질환을 자주 앓는 아이들에 대한 올바른 이해 = 29
2. 감기를 달고 사는 아이들을 어떻게 치료하나 = 30
1 먼저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 30
2 가능하면 병의 원인을 치료해야 한다 = 31
3 대증요법도 중요한 치료방법이다 = 33
4 적절한 '호흡기 관리'가 중요하다 = 33
5 호흡기 질환은 나이가 어릴수록 낫지를 않는다 = 34
3. 소아의 호흡기 질환이 잘 낫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 36
1 약을 써도 잘 낫지 않는 이유 = 37
2 의사가 약을 쓰는 기본원칙 = 41
제2부 소아 호흡기 질환에 대한 상식
1. 소아 호흡기의 특징 = 45
1 태아 호흡기의 발달 = 45
2 호흡기의 구조와 특징 = 47
2. 소아 호흡기의 기능과 방어기전 = 51
1 호흡기의 역할과 방어능력 = 51
2 편도선은 호흡기 감염을 막아 주는 관문 = 52
3. 어린이는 왜 호흡기 질환에 잘 걸리나 = 55
1 나이가 어릴수록 호흡기 질환에 잘 걸리는 이유 = 55
2 나이에 따라 질병의 종류도 달라진다 = 56
3 나이가 어리면 중이염이나 편도선염도 잘 생긴다 = 58
4. 호흡기 질환의 주요 증상과 치료법 = 59
1 기침 = 59
2 가래(객담) = 62
3 객혈(혈담) = 65
4 호흡 곤란 = 66
5 청색증 = 69
6 콧물, 코막힘, 코골음 = 72
7 흉통 = 74
8 위장관 증상 = 75
9 발열 = 77
5. 감기와 비염은 다른 병인가 = 81
1 감기에 걸리면 급성 비염은 으레 따라온다 = 81
2 코에 충혈제거제를 너무 자주 뿌리면 약물성 비염이 될 수 있다 = 83
6. 어린이 부비동염(축농증)은 약으로 고친다 = 85
1 어린이 부비동염의 일반적인 증상 = 85
2 부비동염의 치료 = 87
7. 호흡기 질환은 서로 연관성이 있다 = 89
1 감기와 하기도(기관지, 폐)질환은 왜 연관성이 있는가 = 90
2 비염이나 축농증이 있는 소아는 기관지염이나 폐렴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된다 = 91
8. 가래 끓는 소리는 왜 나는가 = 93
1 가래는 왜 생기나 = 93
2 가래 끓는 소리는 모두 가래 때문에 나는 것은 아니다 = 94
3 가래 증상의 치료 = 95
9. 가래 끓는 소리가 날 때 의심해 볼 수 있는 병 = 98
1 천명이 들릴 때 의심할 수 있는 병 = 99
2 천명과 구별해야 하는 비정상적인 숨소리 = 100
10. 가래를 빼내는 현명한 방법 = 102
1 수분 섭취 = 104
2 호흡물리요법 = 105
3 약물 요법 = 108
11. 가습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 110
1 가습기의 올바른 사용법 = 112
2 가습기의 종류와 선택방법 = 114
제3부 어린이에게 흔한 호흡기 질환과 그 치료
1. 감기 = 119
1 감기의 시작과 끝 = 121
2 어떻게 치료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 124
3 감기의 예방 = 125
2. 만성 비염(흔히 알레르기성 비염)과 부비동염(축농증) = 127
1 두 가지 병을 구별하려면 위치와 모양을 알아야 한다 = 128
2 만성 비염이 생기는 위치 = 129
3 만성 비염이 있을 때 축농증이 잘 생기는 이유 = 132
4 축농증은 본래 잘 낫지 않게 되어 있다 = 133
5 만성 비염과 축농증의 증상은 어떻게 다른가 = 134
6 축농증이 있다고 코가 막히고 재채기가 나겠는가 = 136
7 축농증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 = 137
3. 후두염 = 140
1 발작성 후두염과 감염성 후두염 = 142
2 급성 후두개염에 걸리면 응급 치료를 받아야 한다 = 144
4. 기도 이물 = 146
1 상기도(목)내에서 발생하는 기도 이물 = 147
2 하기도(기관지)내에서 발생하는 기도 이물 = 148
3 어린이가 이물을 입에 넣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149
5. 기관 기관지염 = 150
1 잠을 못 잘 정도로 기침이 심한 아이들 = 150
2 충분한 수분 섭취와 습도 조절이 치료의 첫걸음 = 151
6. 기관지염 = 153
1 급성 기관지염은 2∼3주내에 기침이 가라앉는다 = 154
2 만성 기관지염은 커서 호흡기 증상을 재발시킨다 = 155
7. 세기관지염 = 156
1 두 살 이하의 아기들에게 생기는 병 = 156
2 기침과 호흡 곤란이 가장 위험하다 = 157
8. 폐렴 = 159
1 왜 어떤 아이는 폐염에 잘 걸리게 되는가 = 160
2 폐렴의 치료 방침 = 161
9. 기관지 천식 = 163
1 기관지 천식은 알레르기에 의해서 오는 경우가 많다 = 164
2 알레르기성이 아닌 기관지 천식(내인성 기관지 천식) = 167
3 기관지 천식은 유전되는가 = 168
4 기관지 천식은 어떻게 진단하는가 = 169
5 기관지 천식의 치료는 꾸준히 해야만 효과를 볼 수 있다 = 170
10. 결핵 = 176
1 소아 결핵은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 176
2 소아 결핵은 흉부 X-선 사진에 이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 177
3 소아 결핵의 진단은 결핵반응검사가 중요하다 = 178
4 결핵은 예방이 중요하다 = 180
11. 소아 호흡기 질환 중 응급을 요하는 질환과 응급처치 = 182
1 기도 폐쇄와 응급을 요하는 질환들 = 182
2 기도 폐쇄가 일어나면 어떻게 되나 = 183
3 기도 폐쇄의 응급처치 : 인공호흡법 = 185
12. 소아 호흡기 질환에 대한 상식 - 그 허와실 = 189
1 부비동염(축농증)을 앓으면 머리가 나빠지는가 = 189
2 코감기, 목감기, 열감기는 서로 다른 병인가 = 190
3 폐렴 및 독감 예방주사의 효과 = 191
4 감기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민간요법 = 196
제4부 어린이와 소아과
1. 소아과란 어떤 곳인가 = 203
1 어린이의 성장과 발육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소아과 = 203
2 소아과에서는 어린이의 특성에 맞는 치료를 한다 = 204
2. 소아과 전문의의 치료는 다른 과 의사의 치료와 어떻게 다른가 = 208
1 육아문제는 반드시 소아과 전문의와 상담해야 한다 = 211
2 어린이의 치료에 전문성이 왜 필요한가 = 212
3 소아과 전문의는 어린이의 병을 전체적으로 보고 판단하여 치료한다 = 214
3. 소아과 전문의를 식별하는 방법 = 216
1 진료과목에 소아과가 적혀 있다고 모두 소아과 전문의는 아니다 = 216
2 소아과 전문의가 진료하는 병원을 식별하는 요령 = 218
4. 소아과 전문의가 되는 과정 = 219
1 소아과 전문의의 수련과정 = 219
2 소아과 전문의의 자격 기준 = 220
5. 소아과 전문의에게 예방접종을 받아야 하는 이유 = 222
1 예방접종은 소아과에서 다루는 기본적이고 중요한 분야 = 222
2 예방접종의 부작용 = 224
3 예방접종시 주의사항 = 225
4 집단접종은 바람직한가 = 225
부록 / 어린이 건강, 이렇게 돌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