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00241484 | |
005 | 20170421163042 | |
007 | ta | |
008 | 951212s1995 ulka 001c kor | |
020 | ▼a 8972911070 ▼g 0318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150.1954 ▼2 22 |
085 | ▼a 150.1954 ▼2 DDCK | |
090 | ▼a 150.1954 ▼b 1995z1 | |
245 | 0 0 | ▼a 사람과 상징 / ▼d 칼 구스타프 융 편저 ; ▼e 정영목 옮김 |
246 | 1 9 | ▼a Man and his symbols |
260 | ▼a 서울 : ▼b 까치, ▼c 1995 | |
300 | ▼a 440 p.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까치글방 ; ▼v 108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Jung, C. G. ▼q (Carl Gustav), ▼d 1875-1961, ▼e 편 ▼0 AUTH(211009)37741 |
700 | 1 | ▼a 정영목, ▼e 역 ▼0 AUTH(211009)28301 |
900 | 1 0 | ▼a 융, 칼 구스타프,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1954 1995z1 | 등록번호 11106024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1954 1995z1 | 등록번호 1110602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1954 1995z1 | 등록번호 11106024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153.8 1995 | 등록번호 15102458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 청구기호 153.8 1995 | 등록번호 15102458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1954 1995z1 | 등록번호 11106024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1954 1995z1 | 등록번호 1110602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1954 1995z1 | 등록번호 11106024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153.8 1995 | 등록번호 15102458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 청구기호 153.8 1995 | 등록번호 15102458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칼 구스타프 융(지은이)
1875년 7월 26일 스위스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바젤 대학교에서 의학을 전공하고 부르크휠츨리 정신병원의 원장 오이겐 블로일러 밑에서 심리학 연구를 시작했다. 자극어에 대한 단어 연상 실험을 연구하면서 프로이트가 말한 억압을 입증하고 이를 ‘콤플렉스’라 명명했다. 1907년 이후 프로이트와 공동 작업을 하면서 그의 후계자로 여겨졌으나, 융은 프로이트의 리비도를 성적 에너지에 국한하지 않고 일반적 에너지라 하여 갈등을 빚다 결국 결별했다. 1914년에 정신분석학회를 탈퇴하고 사회적으로 고립되었으며 내적으로도 고통의 시간을 보낸다. 이때 독자적으로 무의식 세계를 연구해 분석심리학을 창시했다. 그는 인간의 내면에는 무의식의 층이 있다고 믿고 집단무의식의 존재를 인정했으며 또한 각 개체의 통합을 도모하게 하는 자기원형이 있다고 주장했다. 집단무의식을 이해하기 위해 신화학, 연금술, 문화인류학, 종교학 등을 연구했다. 1961년 8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정영목(옮긴이)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며, 현재 이화여대 통역번역대학원 교수로 재직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새버스의 극장』 『아담과 이브의 모든 것』 『문학이론』 『바다』 『미국의 목가』 『에브리맨』 『울분』 『달려라, 토끼』 『인간성 수업』 『로드』 『눈먼 자들의 도시』 『마르크스 평전』 등이 있다. 지은 책으로는 『소설이 국경을 건너는 방법』 『완전한 번역에서 완전한 언어로』 등이 있다. 『로드』로 제3회 유영번역상을, 『유럽문화사』로 제53회 한국출판문화상(번역 부문)을 수상했다.

목차
목차 서론 / 존 프리먼 = 5 제1장 무의식의 연구 / 칼 G. 융 = 15 제2장 고대신화와 현대인 / 조셉 L. 헨더슨 = 117 제3장 개체화 과정 / M. - L. 폰 프란츠 = 183 제4장 시각예술의 상징 / 아니엘라 야페 = 283 제5장 개인분석에 나타난 상징 / 욜란데 야코비 = 351 결론 과학과 무의식 / M. - L. 폰 프란츠 = = 407 주 = 421 역자 후기 = 435 인명 색인 = 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