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군개혁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제1절 왜 군대에 개혁이 필요했는가? = 27
1. 군대외적인 배경은 무엇인가? = 28
2. 군대내적인 배경은 무엇인가? = 30
제2절 군개혁 추진은 어떻게 되고 있는가? = 33
1. 군외부를 지향한 개혁의 정도는? = 36
2. 군내부를 지향한 개혁의 정도는? = 38
제3절 왜 군내부의 개혁이 부진했는가? = 43
1. 개혁 부진의 일차적 원인은 무엇이었나? = 43
2. 개혁 부진의 부차적 원인은 무엇이었나? = 44
3. 하부구조적 개혁은 왜 부진했는가? = 47
가. 상급부대의 책임원인은 무엇인가? = 49
나. 하급부대의 책임원인은 무엇인가? = 51
제4절 개혁에 임하는 앞으로의 자세는? = 52
1. 국민의 편에 선 개혁이 되어야 한다 = 53
2. 직업군인의 편에서 신속과감한 개혁을 해야 한다 = 54
3. 모범을 보일 수 있는 솔선수범적 개혁이 되어야 한다 = 55
4. 스스로 하는 자율창의적 개혁이 되어야 한다 = 56
제2장 부대개혁은 어떻게 추진하는 것인가?
제1절 개혁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인가? = 62
1. 개선과 개혁의 의미는? = 62
2. 개혁과 혁명의 차이는? = 63
3. 개혁의 진정한 의미는? = 64
제2절 부대개혁은 어떻게 계획하는가? = 67
1. 개혁방향이 올바로 설정되어야 한다 = 69
가.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 70
나. 과거의 군대는 어떠했는가? = 71
다. 민주주의의 군대란 무엇인가? = 73
2. 개혁의 목표, 중점은 어떻게 찾아내는가? = 76
3. 계획완성시 유의할 사항은 무엇인가? = 79
제3절 부대개혁은 어떻게 실천하는가? = 82
1. 부대개혁시 명심할 사항은 무엇인가 = 83
가. 지휘관과 장교의 솔선수범이 필요하다 = 83
나. 소탐대실의 개혁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85
다. 모두 함께 하는 개혁이 되어야 한다 = 86
2. 개혁추진은 단계화해야 한다. = 88
3. 개혁추진은 분담화해야 한다. = 90
제4절 부대개혁의 성공요체는 무엇인가? = 92
1. 개혁적인 지휘관의 품성이란? = 94
2. 개혁적인 지휘관의 자격이란? = 95
제3장 신뢰와 존경을 받는 훌륭한 지휘관이 필요하다.
서론 : 개혁적인 지휘관의 4대구비 요건은? = 100
제1절 인식의 대전환이 필요하다 = 102
1. 영기점에서 출발한다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 103
2. 변증법적인 인식을 견지해야 한다. = 104
3. 민주적 군대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 106
4. 타율보다는 자율을 중시하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 109
5. 요구하기보다는 베푼다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 111
6. 부하들이 문제라는 인식을 버려야 한다. = 112
7. 가장 무서운 것은 부하라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 114
제2절 개혁에 부합되는 기본자질을 구비해야 한다. = 116
1. 고통감수와 고통분담의 의지가 있어야 한다. = 119
2. 윗물맑기에 솔선수범이 되어야 한다. = 120
제3절 지휘원칙을 일관성있게 준수할 수 있어야 한다. = 122
1. 임무 위주로 지휘관이 행사되어야 한다. = 123
2. 지휘권은 공명정대하게 행사되어야 한다. = 124
3. 형평의 원칙에 입각한 지휘가 되어야 한다. = 125
4. 일관성있게 지휘권이 행사되어야 한다. = 126
5. 지휘는 합리, 효율, 적법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 127
6. 지휘는 부대단결에 기여해야 한다. = 131
제4절 지휘, 관리, 통솔의 효율적 배합능력이 있어야 한다. = 133
1. 지휘관리에 정통하는 길 = 136
가. 부대지휘철차에 의한 부대지휘 = 138
나. 지휘관 및 참모활동절차에 의한 부대지휘 = 140
다. 변증법적인 부대지휘 = 143
라. CPM.PERT기법을 준용한 부대지휘 =149
2. 지휘통솔에 정통하는 길 = 155
가. 지휘통솔에 정통하기 위한 전제조건 = 156
나. 지휘와 통솔의 적절한 배합 = 157
다. 통솔원칙의 효율적인 지휘적용 = 159
제5절 지휘관의 근무 10계명은 무엇인가? = 173
1. 지휘관은 어항 속의 금붕어임을 항상 명심해야 한다. = 174
2. 부하를 진심으로 사랑한다는 것을 인식시켜야 한다. = 175
3. 하사관의 체면과 권위를 존중하고 인정해야 한다. = 176
4. 원리 원칙과 융통성을 구분하여 지휘에 임해야 한다. = 177
5. 결심은 심사숙고하고 실천은 경중완급을 가려야 한다. = 179
6. 하늘과 같이 부하와 부대를 지휘해야 한다. = 181
7. 모든 교육을 전인교육으로 승화시켜야 한다. = 182
8. 공과 사를 명확히 구분하고 신상필벌을 엄히 구분해야 한다. = 184
9. 특히 금전문제에 투명해서 불신받는 일이 없어야 한다. = 185
10. 부하에게 추억을 많이 만들어 주는 지휘를 해야 한다. = 187
제6절 지휘관은 어떻게 평가되는가? = 189
제4장 개혁적인 부대지휘는 어떠한 것인가?
제1절 지휘관 부임 후 한달까지가 중요하다. = 199
1. 부임 전에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 200
2. 취임행사를 멋있게 치루어야 한다. = 203
3. 부대업무를 신속정확하게 파악하라. = 210
가. 업무파악시 고려할 사항 = 210
나. 업무파악시 관심을 가져야 할 사항 = 211
다. 업무파악은 지휘관 자신이 해야 한다. = 213
제2절 지휘관의 지휘의도를 명확히 알려주라. = 215
1. 지휘목표, 지휘중점, 지휘방향의 설정하달 = 216
2. 부대운영 계획의 적성하달 = 219
제3절 우선 신뢰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 = 221
1. 지휘관 자신이 신뢰를 획득하는 길 = 222
2. 간부로부터 신뢰를 획득하는 길 = 223
3. 병사로부터 신뢰를 획득하는 길 = 226
4. 직속상관과 상급부대로부터 신뢰를 획득하는 길 = 228
제4절 항상 준비된 여유있는 부대로 만들어라. = 230
1. 기본적인 간부교육을 완성시켜라. = 231
2. 브리핑 준비를 항상 갖추고 있어라. = 232
3. 안내할 수 있는 현장이 많아야 한다. = 234
제5절 지휘관은 돈에 깨끗해야 한다. = 235
1. 돈과 지휘관과 군대와 국가 = 236
2. 비자금의 고리를 끊어야 군대가 깨끗해진다. = 238
가. 지휘관의 인식전환이 전제되어야 한다. = 239
나. 지휘관의 단호한 실천의지가 있어야 한다. = 244
다. 청렴지휘관이 될 수 있도록 지원을 해야 한다. = 246
제6절 부하를 알고 지휘에 임해야 한다. = 250
1. 지휘관과 부하는 어떠한 관계인가? = 250
2. 부하의 실상을 알고 있어야 한다. = 252
가. 장교들의 고민과 고통은 무엇인가? = 252
나. 하사관의 고민과 고통은 무엇인가? = 254
다. 병사들의 고민과 고통은 무엇인가? = 256
3. 이러한 부하를 어떻게 지휘해야 하나? = 259
가. 간부를 어떻게 지휘할 것인가? = 260
나. 장교 지휘에 유의할 사항은 무엇인가? = 262
다. 하사관 지휘에 유의할 사항은 무엇인가? = 264
라. 병사 지휘에 유의할 사항은 무엇인가? = 269
제7절 지휘관은 본연의 임무에만 충실해야 한다. = 276
1. 본연의 임무와 비본연의 임무 구분 = 278
가. 본연의 임무란 무엇인가? = 278
나. 비본연의 임무는 무엇인가? = 279
2. 본연의 임무와 전투태세완비 = 280
3. 본연의 임무와 부대관리, 교육훈련과의 관계 = 281
제8절 전투태세완비는 어떻게 하는 것인가? = 282
1. 전투력의 계속 보강은? = 284
가. 전투계획의 준비 및 숙지 = 284
나. 완벽한 전투실천준비 = 287
2. 전투력의 손실예방은? = 289
가. 유형전투력의 손실예방 = 289
나. 무형전투력의 손실예방 = 291
제9절 실전적 교육훈련은 어떻게 실시하는가? = 293
1. 군대의 교육훈련을 어떻게 개혁할 것인가? = 295
2. 연역적 교육훈련체계란 무엇인가? = 297
가. 교육훈련방법의 장단점 비교 = 298
나. 군대의 발전적 교육훈련체제 = 298
3. 장교의 교육훈련체계는 어떻게 개혁하는가? = 304
가. 목표와 중점 위주의 교육훈련이 되어야 한다. = 306
나. 단편적이 아닌 총체적 교육훈련이 되어야 한다. = 311
4. 사병의 교육훈련체계는 어떻게 개혁하는가? = 319
가. 무엇이 사병의 교육훈련을 어렵게 만드나? = 320
나. 병기본자세를 어떻게 확립해야 하나? = 322
다. 병기본전투전기는 어떻게 배양하나? = 326
5. 장교교육기관의 당면개혁과제 = 331
가. 교관판단서 작성을 의무화해야 한다. = 332
나. 교수체계도를 교육에 활용해야 한다. =336
다. 3단계 교관자격심사제도를 적용해야 한다. = 339
라. 필수교육과목을 신규로 정과교육화해야 한다. = 342
제10절 즐거운 병영생활이 되어야 한다. = 346
1. 왜 즐거운 병영생활이 되어야 하나? = 347
2. 즐거운 병영은 어떻게 만드는 것인가? = 249
가. 부대지휘의 3원칙을 지켜야 한다. = 349
나. 하극상을 척결하기 전에 상극하를 없애야 한다. = 353
3. 병영생활은 어떻게 지도해야 하나? = 355
가. 교육훈련은 어떻게 지도해야 하나? = 356
나. 내무생활은 어떻게 지도해야 하나? = 357
4. 즐거운 병영조성의 6대과제는 무엇인가? = 364
가. 우선 병사들에게 자신감을 부여해야 한다. = 365
나. 병사들의 고민을 최대한 해결해 주어야 한다. = 366
다. 병사들의 기본권을 보장해 주어야 한다. = 368
라. 내무생활의 부조리를 없애야 한다. = 368
마. 부대환경을 성의껏 개선해 주어야 한다. = 370
바. 생사고락의 기풍을 조성하고 인식시켜야 한다. = 371
5. 사고없는 부대가 되어야 한다. = 373
가. 철저하고도 핵심적인 부대관리를 해야 한다. = 375
나. 철저한 신상파악과 신상관리를 해야 한다. = 376
다. 상극하의 요인을 일절 배제해야 한다. = 378
6. 병영생활의 지도요령을 연구하고 개발해야 한다. = 379
가. 부하에게 베풀 것은 최대로 베풀어야 한다. = 380
나. 부하에게 요구할 것은 반드시 요구하라. = 381
다. 병영생활의 효율적인 지도방안소개 = 382